Q. 배터리 산업이 급격히 성장 진화하고 있는데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천연흑연은 자연에 흑연 상태로 존재하는 광물을 통해 얻습니다. 탄소 성분이 오랜 시간 동안 고온·고압 상태로 층층이 쌓인 판상형 형태를 이루고 있죠. 천연흑연은 인조흑연에 비해 흑연화도가 높고 저가이며, 높은 리튬 이온 저장용량을 나타냅니다. 하지만 입자 형상이 침상 혹은 판상구조를 보이고 불규칙한 구조로 인해 표면적이 크고 edge 면의 노출이 많아서 전지에 적용 시 전해질의 침투나 분해반응에 의해 edge 면이 박리나 파괴되어 비가역 반응이 크게 일어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래서 높은 용량을 보이는 특성에 반해 고충전출력 특성은 인조흑연에 비해 떨어집니다. 충방전은 판상형 사이의 틈으로 리튬 이온이 이동하면서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인데, 천연흑연은 전류의 이동경로가 양옆 2곳밖에 없어 충전과 방전 효율이 떨어집니다. 또 배터리를 계속 사용하게 되면 층이 벌어져 부풀게 되는 스웰링 현상도 자주 발생하게 됩니다. 하지만 가격이 싸다는 무시할 수 없는 장점이 있습니다. 인조흑연은 리튬 이온의 이동 경로가 많아, 효율이 높아 급속충전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 천연흑연보다는 안정적인 구조를 지녀 스웰링 현상이 상대적으로 적게 일어나기 때문에 배터리로 사용될 때 수명이 길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인조흑연의 원료는 석유계 타르로 만들어진 코크스, 석탄계 타르로 만들어진 코크스가 있습니다. 그 두 코크스의 특성이 약간 다른데, 그중 바늘 형태를 띠는 침상코크스가 주된 원료로 사용됩니다. 코크스는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적당한 크기와 모양으로 가공하는 공정(분쇄-조립)과 열처리(흑연화) 공정을 거치면 인조흑연이 됩니다. 대체로 인조흑연이 천연흑연에 비해 값이 비싸며, 용량도 낮은 편입니다. 하지만 용량 유지율 면에서는 인조흑연이 천연흑연에 비해 우수한 편이고 빠르게 충전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인조흑연은 2,500 ℃ 이상의 고열을 가해서 흑연의 결정 구조를 만들기 때문에 천연흑연보다 안정적인 결정구조를 가집니다. 그래서 리튬 이온의 반복적인 충방전에도 결정구조의 변화가 작아서 상대적으로 수명이 깁니다. 일반적으로 인조흑연계 음극활물질은 천연흑연보다 2~3배 정도 수명이 길기 때문에 오랜 수명을 필요로 하는 배터리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Q. 음식을 섭취하면 신체는 어떻게 소화를 시킬까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음식이 지나가는 통로 외에도 소화에 도움을 주는 기관이 더 있는데, 침샘, 간, 쓸개, 이자 등이다. 이들은 소화액을 분비해서 음식물을 분해한다. 입 안에 있는 침샘은 침을 분비하는데 침은 탄수화물을 분해해서 단맛을 낸다. 간에서는 지방의 분해를 도와 주는 쓸개즙을 만든다. 쓸개즙은 만들어지는 장소와 저장되는 장소가 다르며 만드는 것은 간이 담당하지만, 저장하는 것은 간 밑에 있는 쓸개가 담당한다. 쓸개는 쓸개즙을 저장하고 있다가 때가 되면 십이지장으로 보내 지방의 분해를 도와 준다. 그런데 십이지장에 모이는 소화액에는 하나가 더 있다. 바로 이자액인데, 위 바로 아래에 있는 이자가 만든다. 이렇게 소화는 많은 기관들이 협동해서 이루어진다.영양소의 흡수분해된 영양소의 흡수는 대부분 작은창자에서 일어난다. 작은창자 안에는 주름이 많이 있고, 이 주름에는 융털이라는 작은 털이 나 있다. 이 융털은 집에서 쓰는 수건의 표면과 비슷하다. 수건의 표면을 보면 물을 많이 닦아 낼 수 있게 작은 실들이 얽혀 있다. 융털도 이와 마찬가지로 닿는 면적을 넓게 해서 영양소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출처:네이버 지식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