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홍기윤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홍기윤 전문가입니다.

홍기윤 전문가
LG디스플레이
Q.  과학적으로 마이야르 반응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모든 식품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일어나는 반응으로, 색깔이 갈색으로 변하기 때문에 갈변화 현상이라고도 한다. 1912년 프랑스의 과학자 루이 카미유 마이야르(Louis Camille Maillard)가 처음으로 발견하여 그의 이름이 붙었다. 사람이 먹는 포도당은 안정된 물질이기 때문에 몸속에 들어와도 여간해서는 다른 분자들과 반응하지 않지만, 170∼180℃의 고온으로 가열하면 아미노산과 잘 반응한다.예를 들어, 오븐에서 빵을 구울 때 갈색으로 변하게 된다. 이때 빵은 갈색으로 변하면서 구수한 맛을 내게 되는데, 음식의 향과 맛을 좋게 해주는 이러한 메일라드 반응의 효과 때문에 식품회사들은 과자·칩·빵·시리얼 등을 구울 때 이 메일라드 반응을 조리 비법으로 이용해 왔다.그러나 2002년 4월 스웨덴 국립식품청이 감자 튀김과 시리얼, 구운 빵에서 아크릴아마이드라는 물질을 처음으로 발견한 뒤 유럽·미국·일본은 물론, 같은 해 11월에는 한국에서도 이 물질이 발견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아크릴아마이드 파동이 일어났다. 아크릴아마이드는 쥐에게는 암을 일으키지만, 인간에 대한 발암성은 확인되지 않은 발암 가능성 물질로, 그동안 이 물질이 음식에서 어떻게 저절로 생겨나는지 밝혀지지 않은 상태였다.그러다 영국과 스위스 연구팀이 170℃가 넘는 고온에서 포도당을 가네이열하면 아스파라진 같은 아미노산이 포도당과 반응해 메일라드 반응이 일어나고, 이 반응으로 인해 새로운 물질인 아크릴아마이드가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러나 아크릴아마이드는 고온에서 기름에 튀길 때 만들어지기 때문에 120℃ 이상에서 굽거나 튀기지 않으면 메일라드 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아크릴아마이드도 생성되지 않는다.출처:네이버 지식백과ㅡ
Q.  비가 내릴 때 비를 적게 맞는 방법은?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같은 거리를 간다면, 빨리 움직일수록 비를 적게 맞아요. 느림보 거북처럼 천천히 걸으면 상당히 많은 비를 맞지만 빨리 달리면 비를 맞는 시간이 짧아서 적은 양의 비만 맞게 됩니다. 따라서 걸을 때보다 뛸 때 조금이라도 비를 덜 맞을 수 있어요. 보통 사람의 경우에는 뛰어갈 때보다 걸어갈 때 40% 정도 비를 더 맞는다고 합니다.비를 맞을 때 몸의 어느 부분이 더 많이 맞을까요? 걸어갈 때는 머리와 팔에 많이 맞고, 뛰어갈 때는 몸을 앞으로 숙이기 때문에 얼굴과 가슴에 비를 많이 맞아요. 그래서 뛰어갈 때 앞쪽이 많이 젖어 비를 더 많이 맞는다고 오해하기 쉽답니다.비를 적게 맞으려면 몸을 최대한 웅크려 비를 맞는 부분을 적게 하고, 빨리 달려야 합니다.출처:네이버 지식백과
Q.  장마전선은 한번 생기면 어떻게 며칠동안 존재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서로 다른 성질을 갖는 두 기단 사이에 형성되는 전선(front)의 종류 중 두 기단의 세력이 비슷하여 경계면이 빠르게 이동하지 않고 거의 같은 곳에 머물러 있는 것을 정체전선(stationary front)이라고 한다. 장마전선은 우리나라에서 형성되는 대표적인 정체전선으로 북태평양기단과 오호츠크해기단, 또는 시베리아기단이 만나 동서로 길게 전선면을 형성하며 생긴다.장마전선의 특성북태평양기단과 오호츠크해기단은 서로 온도 차이는 있지만 두 기단 모두 습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해마다 6월 하순에서 7월 하순까지 약 한 달여 간 두 기단이 세력 다툼이 지속되며 정체전선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편서풍으로 서쪽의 기상상태가 이동하여도 전선은 여전히 우리나라에 놓이게 되고, 구름이 많이 생기며 집중적으로 비가 내리게 된다. 장마전선이 북상했다는 것은 북태평양기단이 오호츠크해기단보다 세력이 우세하여 두 기단의 경계면이 북쪽으로 올라간 것이며, 장마전선이 남하했다는 것은 오호츠크해기단의 세력이 우세하다는 뜻이다. 이와 같이 두 기단의 세력 우세에 따라 장마전선이 오르락내리락 하다가, 태양의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북태평양기단의 세력이 강해지면서 오호츠크해기단을 북쪽으로 밀어내면 장마는 끝나게 된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북태평양기단의 영향으로 덥고 습한 한여름 날씨가 된다. 위성사진에서 두 기단의 경계선을 따라 동서 방향으로 띠모양의 구름이 분포되어 있는 것을 볼수 있는데, 이것이 장마구름이다.출처:네이버지식백과
Q.  술을 너무 많이 마시면 블랙아웃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블랙아웃 현상은 술에 들어있는 에탄올의 독소가 뇌의 기억 입력과정 활동을 차단하면서 발생합니다. 기억을 전달하는 신경전달물질이 활동을 멈추면서, 만취 상태의 새로운 기억이 뇌에 저장되지 않는 것입니다. 몸속에 들어온 알코올이 뇌에서 이성적 판단을 담당하는 대뇌피질을 마비시키면서 감정·본능이 활성화돼 평소와 다른 과격한 행동을 하기도 합니다.
Q.  인버터 에어컨은 24시간 사용해도 전기요금이 적게나오나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인버터 에어컨은 설정온도까지 도달하면 실외기 작동을 중단하지 않고 최소한의 적기만을 사용해 설정온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전기세가 적게 나온다고 합니다.기존 정속형에어컨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실외기 작동을 멈추고 다시 온도가 올라가면 다시 실외기를 작동하면서 전기 손실이 생기게 됩니다
1111121131141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