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홍기윤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홍기윤 전문가입니다.

홍기윤 전문가
LG디스플레이
Q.  겨울철이 여름철에 비해서 정전기가 더자주발생하게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정전기가 생기는 이유는 ‘마찰’ 때문입니다. 물체를 이루는 원자 주변에는 전자가 돌고 있습니다. 원자핵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전자들은 마찰을 통해 다른 물체로 쉽게 이동을 합니다. 이때 전자를 잃은 쪽은 (+)전하가, 전자를 얻은 쪽은 (-)전하를 띠게 되어 전위차가 생기는데요. 생활 속에서 주변의 물체와 접촉하면 마찰이 일어나죠? 그때마다 우리 몸과 물체가 전자를 주고 받으면 몸과 물체에 조금씩 전기가 저장됩니다. 한도 이상의 전기가 쌓였을 때 적절한 유도체에 닿으면 그 동안 쌓았던 전기가 순식간에 이동하게 됩니다. 심한 경우에는 스파크를 일으키며 이동하는데 이러한 경우를 정전기라고 합니다.사람마다 정전기가 유독 잘 통하는 사람이 있는데요. 그 이유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정전기는 건조할 때 잘 생깁니다. 수증기는 전기친화적인 성질이 있어, 주변의 전하를 띠는 입자들을 전기적 중성상태로 만듭니다. 따라서 습도가 비교적 높을 때에는 정전기가 잘 생기지 않습니다. 그래서 정전기는 여름철보다는 겨울철에 잘 발생합니다.
Q.  벌집구조를 왜 육각형으로 만드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둘레의 길이가 같으면서 넓이가 최대가 되는 도형은 원임을 추측할 수 있다. 한정된 재료를 가지고 최대한의 꿀을 담을 수 있는 도형을 그려야 하는 꿀벌에게는 원이 가장 적합해 보인다.그런데 원은 여러 개를 이어 붙이면 틈새가 생기기 때문에 공간의 낭비가 생기게 된다. 그 틈 사이로 바람이 지나가 온도가 떨어질 수도 있고, 물이나 먼지 등이 차거나 적들이 파고들 수도 있다. 따라서 최소의 재료로 가장 튼튼한 최대의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는 정육각형이 가장 알맞다. 만일 벌이 한 마리씩 단독 생활을 하는 곤충이라면 벌집은 원(실은 원기둥)이 되었을 것이다. 물론 극도로 효율적인 집을 짓는 꿀벌의 본능은 수학이 아닌 오랜 '자연선택'의 결과이지만.출처:네이버지식백과
Q.  라니냐는 또 뭐죠? 기상관련해서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엘니뇨 현상과는 반대로 적도 무역풍이 강해지면서 적도 부근의 서태평양 해수 온도는 평년보다 상승하게 되고, 동태평양 해수 온도는 저온이 되는 해류의 이변 현상을 말한다. 라니냐 현상은 엘니뇨 현상의 시작 전이나 끝난 후, 평균보다 강한 적도 무역풍이 지속될 때 발생하는 기후 변동 현상이다. 라니냐 현상이 발생하면 원래 찬 동태평양의 바닷물은 더욱 차가워져 서쪽으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인도네시아 · 필리핀 등의 동남아시아에는 격심한 장마가, 페루 등 남아메리카에는 가뭄이, 북아메리카에는 강추위가 나타날 수 있다.출처:네이버지식백과
Q.  현무암과 화강암의 색깔은 왜 다른건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현무암은 사장석(회색-흰색), 휘석(검은색-짙은녹색)으로 이루어 지고 소량의 감람석(녹색)과 약간의 유리질 물질(검은색)을 가지고 있습니다.전체적인 색깔은 짙은 회색 혹은 검은색을 띕니다.화강암은 석영(투명한 회색), K-장석(분홍색-흰색), 사장석(회색-흰색)이 주를 이루고 흑운모(검은색)를 소량으로 가지고 있습니다.전체적인 색깔은 (옅은) 회색을 띕니다.만들어진 위치라 함은 마그마 혹은 용암이 식은 위치를 얘기 하시는 것인가요? 그렇다면 암석의 색깔과 암체가 식은 위치는 크게는 상관이 없다고 봐도 될 것 같습니다. 위에 설명한 대로 현무암질 마그마(용암)와 화강암질 마그마의 성분이 다르고 이것은 각각 다른 광물들을 정출시킵니다. 고로 색깔의 차이는 구성 광물의 차이이고 이것은 마그마(용암)의 성분차에 기인합니다.
Q.  카스피해는 어떻게 바다인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카스피’라는 고대 종족명에서 유래된 카스피해는 아시아 · 유럽 · 러시아 · 이란의 경계를 이루는 세계 최대의 염호로서, 평균 염도는 북부가 0.3%, 남동부는 14%다. 어떤 수역은 염도가 30%에 달하는 곳도 있어 문자 그대로 ‘소금의 보고(寶庫)’라고 할 수 있다. 물에는 그밖에 칼슘과 유산염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카스피해의 수면은 일반적으로 해양의 수면보다 평균 28m나 낮으며, 수역에 따라 그 깊이가 다르다. 북부는 얕아서 가장 깊은 곳이래야 25m에 불과하나, 중부의 최고 깊이는 788m이며 남부는 980m까지 이른다. 이러한 수위의 변동은 물의 유입량과 증발량의 비례에 의해 좌우된다. 이와 같이 수위의 변동이 심하기 때문에 호수 면적도 수시로 달라진다.1930년에 42만 4,300km2이던 면적이 1942년에는 3만km2나 줄었다. 기후도 남북이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북부는 겨울 평균기온이 영하 7~11도이고 여름은 영상 25~26도이나, 남부는 겨울에도 영상 5~9도이고 여름에는 25~27도다. 일찍이 헤로도토스는 저서 『역사』에서 카스피해를 ‘무한한 바다’가 아니라 폐쇄된 수역으로 보면서 길이는 15일간, 너비는 8일간 항해하는 거리라고 지적하였다. 그의 이러한 지적은 정확하다. 카스피해는 바다가 아니라 호수이며, 길이와 너비의 비례가 2:1이라는 것도 사실이기 때문이다.출처:네이버지식백과
1161171181191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