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실물경기변동이론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을 다루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전통적인 경기 변동 이론이 추세치인 경제 성장과 추세치에서의 이탈인 경기 변동을 나누는 것과 달리 실물 경기 변동 이론은 이를 한 큐(...)에 해결한다. 미시 경제학의 노동 이론에서 다루어지는 임금 변화 시의 대체 효과와 기간간 소비 이론의 기간간 대체 효과, 기간간 노동 공급의 대체 효과, 자본재에 대한 투자 완성의 건설 기간(time to build) 등이 이들의 이론 설명에 쓰인 재료들. 가만히 살펴보면 알 수 있지만 사실 거시 경제학의 탈을 쓴 미시 경제학이라고 할 수 있는데, 실물 경기 변동 이론이 루카스 비판에 대응하여 나온 것이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이해하기 쉽다.주로 경제 주체들의 행태에 대한 함수식을 설정하고, 거기에 들어가는 파라미터를 베이지언 방식으로 추정하는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이 경기 변동을 설명하는데 신기하게도 그 결과물이 실제 수치들과 잘 맞아떨어져 새고전학파 경제학자들은 만세를 불렀지만, 케인지언들은 답이 없어요를 연발...할 듯했지만, 사실 문제가 많은 이론이다. 일단 경제주체의 합리적 기대를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근래의 행동경제학처럼 '제한된 합리성'을 가정한다면 어떨까? 캐리어 대신 드라군이 간다. 거기다 불황기에 음의 기술충격이 온다는 게 가능할까? 설사 음의 기술충격이 있다고 해도 금융위기 같은 전형적인 수요 측 문제에 대해선 답변이 궁해진다.이에 따라 실물경기변동론자들이 변신을 꾀하며 대책을 내놓았으니 그것은 케인즈 학파를 먹어버린다는 것.현재 실물경기변동론은 동태적 확률 일반균형(DSGE; 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 모형의 한 형태가 되었고, 그것의 케인즈학파 버전은 원래의 실물경기변동이론과 유동성제약, 화폐정책, 실질임금 경직성 등이 혼재되어 있는 상상태이다.출처:나무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