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황성원 전문가
혜강종합관리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1일 전기량은 얼마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1일 전기량은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전력통계정보시스템에 접속하면 항상 사용량을 볼 수가 있습니다. 29일 최대전력이 82,616 MW 라고 나와있습니다. ㅎ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바나듐이온 배터리의 강점은 무엇이며, LFP 배터리와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바나듐이온 배터리는 전기를 전달하는 주성분인 전해질을 바나듐이라는 광물로 만듭니다. 이를 리튬으로 만들면 휴대폰이나 전기차에 주로 쓰이는 리튬이온 배터리, 납으로 만들면 내연기관 자동차에 들어가는 납 배터리가 됩니다.바나듐 이온 배터리는 발화 가능성이 0%라서 외관을 알루미늄 혹은 비닐 등으로 감싼 일반 배터리와 달리 종이로 쌀 수 있습니다. 바나듐이온 배터리 효율성은 리튬이온 배터리 평균 효율성(90%)보다 높은 96%이며 바나듐이온 배터리는 충전과 방전을 수 천 번 반복해도 출시 상태의 용량 100%에 가까운 99%로 유지됩니다.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원자력 사용후 핵연료 폐기를 가장 완벽하게 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사용후핵연료'라고도 불리는 고준위방사성폐기물의 경우 폐기하는데 더 까다롭습니다. 이는 많은 열과 방사능을 방출하기 때문에, 현재 원전 내 수중저장소에 보관하면서 열과 방사능을 낮춰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후 이를 처리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재처리'를 통한 활용과 '직접 처분(500m 이상 땅 속 깊이 처분)'하는 것입니다. 다만 재처리는 공정이 복잡하고, 특히 핵무기 개발이라는 외교적 이슈와 엮여 있기에 국내에서는 시도하지 않고 있습니다.사용후핵연료를 부식과 압력에 장기적으로 견딜 수 있는 용기에 넣어 지하 500~1,000m 깊이의 안정된 지질층에 수백~수천 년 이상 묻는 방식인 심지층 처분의 경우, 관련 부지 선정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기도 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우리나라 건물을 지을때 내진설계는 의무 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내진설계의 의무규정이 처음 도입되었던 것은 1988년이며, 의무 적용 대상은 연면적 10만㎡ 이상 또는 6층 이상의 건축물이었는데요. 이후 1995년, 2015년 개정을 통하여 연면적 500㎡ 이상 또는 3층 이상인 모든 건축물에 대한 내진설계를 의무화하였습니다. 2017년 12월부터 연면적 200㎡ 이상 또는 2층 이상 또는 높이가 13m 이상인 모든 건물로 확대되어 내진설계 의무화가 적용되고 있는데요. 이외의 내진설계의 의무 대상으로 3층 이상의 목조 구조 건물,국가 문화유산이 포함됩니다.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프레온가스는 북반구의 선진국에서 주로 사용하는데 남극의 오존홀이 왜 더 큰가요?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남극 지역에 오존홀이 극명하게 나타나는 이유는 남극 대륙을 주변을 순환하는 남극순환류라고 하는 대기의 운동때문입니다. 이 남극순환류가 남극 지역으로의 대기 순환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남극 상공에 생긴 오존홀의 경우 다른 지역의 대기로부터의 오존의 유입을 막는 것입니다.이러한 이유로 남극 상공에서 오존홀이 가장 극명하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6316326336346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