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7월 9일 작성 됨
Q.
눈뜨고 재채기를 할 수 없는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재채기를 할 때 사람들은 반사적으로 눈을 감습니다. 흔히 눈뜨고 재채기를 하면 안구가 튀어나오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라고는 하지만 여러 사람들이 시도해본 결과 안구가 튀어나오지 않았습니다.재채기만으로는 안구가 튀어나올 정도의 힘을 가하지 못합니다. 특수한 경우로 안구가 튀어나오는 질병인 그레이브스 병을 가진 환자가 눈을 뜬 채재채기를 하다가 눈이 빠져나온 사례는 있습니다.재채기를 할 때 눈과 코의 신경들 중 연결되어 있는 것이 있 때문에 반사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2024년 7월 9일 작성 됨
Q.
눈동자 색이 다양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눈동자의 색은 홍채에 들어있는 색소에 따라 결정됩니다. 멜라닌 색소가 많이 있을수록 검정색~흑갈색에 가까운 눈동자색을 가집니다.홍채의 멜라닌 색소가 적으면 파란색이나 초록색 등의 여러 색의 눈동자를 가지게 됩니다.홍채의 색은 일반적으로 유전됩니다. 갈색계통의 색이 우성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세계인구의 절반이 갈색~검정색눈을 가집니다.눈동자 색은 한가지 유전자로만 결정되는 것은 아닙니다.상염색체에 존재하는 유전자도 있지만 성염색체에 존재하는 관련 유전자도 있습니다.그래서 남자와 여자냐에 따라서 눈동자 색의 비율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2024년 7월 9일 작성 됨
Q.
새들이 단체로 이동할 때, V자로 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철새들이 먼 거리를 날아서 단체로 이동 할 때 V자 대형을 이루며 날아갑니다.비행은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는 행동인데 새가 날개짓을 할 때 그 뒤의 양쪽 끝에 상승기류가 발생합니다.상승기류를 타며 날면 에너지를 덜 소모하면서 날 수 있습니다.선두에 날아가는 새는 리더는 아니고 처음 날 때 앞자리를 잡은 새입니다.선두의 새는 공기저항을 그대로 받기 때문에 쉽게 지치며 선두의 새가 지치면 뒤에서 날던 새가 자리를 바꾸어 줍니다.
2024년 7월 9일 작성 됨
Q.
이 벌레?곤충?은 무엇인가요? 천장에 뭐가 좀 크게 붙어있길래 껌인가 싶었는데 만져보니 날라다니네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나방류의 곤충입니다. 전체적인 모양을 보면 잎말이나방으로 추정됩니다. 등 무늬가 잎말이나방 중 수컷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과 가장 비슷합니다.유충때 사과나무를 갉아먹고 사는데 때문에 과수농사에 좋지않은 영향을 미쳐 해충으로 분류되지만사람에게 직접적으로 해가되지는 않습니다.
2024년 7월 9일 작성 됨
Q.
깔따구? 모기랑 비슷한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모기와 비슷한 작은 날벌레는 깔따구가 맞습니다. 성충일 때 짝짓기를 하고 물이 있는 곳에 알을 낳고 유충이 태어나면 물 속에서 살아갑니다.4~5급수의 더러운 물에서도 살아갈 수 있어서 더러운 물에서 다른 생물들보다 많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유충일 때 물에 포함된 양분들을 먹어 분해하면서 물의 정화에 어느정도 기여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141
142
143
144
1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