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이 아기새는 어느 새의 새끼일까요??
안녕하세요날개 무늬를 보면 어치의 유조로 추정됩니다.어치는 한국 전역에서 번식하고, 4~6월 알을 낳는다고 합니다.해당 장소에 두면 보통 어미새가 다시 데려간다고 하네요.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전기뱀장어의 경우 어떻게해서 전기를 발생시킬수가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전기뱀장어의 꼬리 부분에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근육이 있습니다.신체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내장이 머리쪽에 대부분 위치합니다. 전기를 만드는 근육이 겹겹이 쌓여있는 형태로 위치하는데, 이것이 직렬회로와 같은 역할을 하고 높은 접압의 전기를 만들게 됩다고 합니다.전기뱀장어는 전위차를 ATP와 이온펌프를 이용해서 만드는데 이것은 다른 생물들의 세포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입니다.예를 들면 신경세포에도 나트륨-칼륨 펌프가 있어 ATP를 소모해서 전위차를 만들고, 이것을 자극의 전달에 사용합니다.전기뱀장어의 전기 생산도 같은 원리이고, 다만 많은 전기근육세포가 직렬로 연결되어 강한 전압을 낼 수 있습니다.높은 전위차를 만들려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충전해서 사용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전기뱀장어는 두꺼운 지방층을 가져 자신의 전기에 감전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식물이나 나무는 물이 뿌리로만 들어오나요??
안녕하세요.식물의 경우 뿌리의 농도를 높게 유지해서 뿌리 밖에서 뿌리 안쪽으로 물이 들어오도록 합니다.뿌리는 표면적도 넓기 때문에 식물은 대부분의 물을 뿌리를 통해 흡수합니다.이외의 식물의 많은 부분은 물이 출입하지 못하도록 방수층이 형성되어 있습니다.그래서 기공으로만 기체와 수분의 유입을 할 수 있게 하여 수분손실을 조절합니다.많은 식물의 잎은 표피가 큐티클로 덮혀있어 비가와서 잎에 물이 떨어지면 흡수되지 않고 방울처럼 뭉쳐 떨어집니다.또 목 식물의 주피도 코르크층을 형성해 물이 흡수되기는 힘들고 방수역할을 합니다.잘리거나 상처가 나서 안쪽의 세포층이 드러난 경우 물이 유입될 수 있습니다.뿌리 말고 나머지 겉부분은 우리의 피부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아데노신의 피로의 신호를 뇌에 전달해주는 것 말고 다른 작용은 어떤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신경조절 물질인 아데노신은 각성 억제 외에도 혈관을 확장시켜 여러 기관의 혈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그리고 그렐린 수용체에 작용하여 식욕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제비 먹이로 파리를 잡아 줘도 되나요?
안녕하세요.제비는 새끼에게 모기, 파리, 잠자리, 등 다양한 곤충을 먹이로 줍니다.파리를 먹이로 주어도 크게 이상이 없을 것 같습니다.다만 살충제로 잡은 파리나 곤충은 주면 안됩니다.이 외에 밀웜도 먹일 수 있고, 양념 안된 번데기도 괜찮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머리카락은 하루에 몇mm까지 자랄까요
모발은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보통 하루에 0.12~0.37mm 자란다고 합니다. 20대일 때 가장 빠르고 나이가 들 수록 느려집니다.또 남성보다는 여성이 빠르게 자라고, 겨울보다는 여름에 빨리 자랍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식물끼리도 나름의 방법으로 대화를 한다는데 어떤 방법이죠?
안녕하세요.식물도 식물 나름의 방법으로 의사소통을 하는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다만 인간의 언어처럼 복잡성이 있는 것은 아니고, 또 음성신호 보다는 화학신호를 사용합니다. 식물은 다양한 화학물질을 합성하여 방출할 수 있습니다.예를들어 특정 곤충이 자신을 갉아먹으면 다른 식물들에게 경고를 할 수 있는 화합물을 방출합니다.이런 화합물은 공기중에서 퍼져나가고 다린 식물들에게 도달합니다.그럼 다른 식물들이 위협을 미리 알아차리고 곤충이 싫어하는 다양한 물질을 합성하기 시작합니다.일부 옥수수는 딸깍거리는 특정 주파수의 소리를 낼 수 있고 이것으로 소통할 수 있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바이러스는 전자레인지에 데우면 죽을까요??
안녕하세요.바이러스는 단백질과 유전자로 되어있어대부분의 바이러스는 끓이게 되면 열 때문에 단백질 구조가 변하면서 기능을 잃게 됩니다.보통 100도의 끓는 물에서 1분 이상 데우는걸 추천하는데 전자레인지도 금방 온도가 올라가므로 1분이상 뜨겁게 데우면 될 것같습니다.편의점 도시락 처럼 전자레인지에 데우라고 적힌 시간이 있을 경우 해당 시간만큼 데우면 거의 모든 세균과 바이러스가 생존할 수 없다고 합니다.하지만 음식물이 노출된 후 시간이 지난뒤 데우면 세균 등에 의해 생긴 독소 등은 열로 제거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인공장기를 배양하여 공급한다먄 거부반응은?
안녕하세요.만약 세포로 인공장기를 배양이 가능하게 되면이식을 받는 사람의 세포로 배양하여 장기를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이 경우 배양된 장기가 본인의 장기와 면역적으로 똑같기 때문에 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현미경으로 발효식품 속 유산균 관찰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현미경으로 유산균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400배 정도의 배율로도 관찰이 가능합니다.말씀하신 방법처럼 단위 면적을 나누고 면적안의 수를 세어 계산하는 식으로 셀 카운팅을 합니다.이때 사용되는 도구는 Hemocytometer 입니다. 현미경으로 관찰할 때 배율에 따라 격자를 보이게 합니다.검색해 보시면 Hemocytometer를 사용한 셀카운팅 방법이 많이 게시되어 있습니다.
1411421431441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