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미경으로 발효식품 속 유산균 관찰할 수 있나요?
청국장이나 요구르트, 요거트 , 치즈, 유산균(락토핏 같은 유산균이요!) 같은 발효 식품 속에 있는 유산균을 관찰해보고 싶은데 현미경으로 관찰 가능한가요? 관찰한 후 유산균이 가장 많이 든 음식을 찾아보고 싶은데 가능할까요? (방법 명칭은 생각나지 않는데, 예를들어 단위 면적에 있는 사람 수를 구한 뒤 전체 면적에서 단위 면적을 나누고 거기에 단위 면적에 있던 사람 수 곱하는 방법이요! 여름에 해운대에 있는 사람 수를 구할때 사용한다고 들었어요)
유산균 또한 균이기에 광학현미경으로 관찰이 가능하며, 농도에 따른 균의 수도 유추할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네,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셔도 발효식품에 들어있는 유산균을 관찰하실 수 있습니다. 흔히 시료 내에 들어있는 미생물의 수를 다 세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hemocytometer를 이용해서 cell counting을 진행합니다.
유산균은 일반적으로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할 수 있습니다. 유산균의 크기는 대략 0.5~2.0 μm 범위에 있습니다. 질문자님이 생각하고 있는 방법과 유사하게 특정 면적 단위 내에서 유산균의 수를 계수해보시길 바랍니다. 현미경의 시야 내에서 유산균의 수를 세고 이를 현미경 시야의 면적으로 나누면 유산균의 밀도 추정이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현미경으로 유산균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400배 정도의 배율로도 관찰이 가능합니다.
말씀하신 방법처럼 단위 면적을 나누고 면적안의 수를 세어 계산하는 식으로 셀 카운팅을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도구는 Hemocytometer 입니다.
현미경으로 관찰할 때 배율에 따라 격자를 보이게 합니다.
검색해 보시면 Hemocytometer를 사용한 셀카운팅 방법이 많이 게시되어 있습니다.
네, 발효 식품 속 유산균을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습니다. 발효 식품에서 시료를 채취한 후 염색을 하면 유산균의 모습을 현미경 하에서 직접 볼 수 있습니다.
여러 발효 식품에 존재하는 유산균의 밀도를 정량적으로 비교하려면 표준평판법(standard plate count)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시료를 일정한 배율로 희석한 후 배지에 도말하여 배양한 뒤, 형성된 집락 수를 세어 단위 부피당 세균 수를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식을 통해 청국장, 요구르트, 치즈 등 각 발효식품에 존재하는 유산균 수를 계수하고 비교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어떤 식품에 유산균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지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 현미경을 사용하여 발효식품 속 유산균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유산균은 크기가 약 1um 전후이며, 광학현미경이나 위상차현미경과 같은 현미경을 통해 관찰이 가능합니다.
실제 흔히 구할 수 있는 요거트 속 유산균을 600배율로 관찰한 사례가 있으며, 이를 통해 유산균의 형태와 움직임을 볼 수도 있죠.
실제로 발효식품 속 유산균을 확인할 수 있고, 균 특성상 하나의 개체를 개별로볼 수는 없을것이고 콜로니형태로 뭉쳐진 모습을 볼 수 있을것입니다.
왜냐하면 시중에 판매하는 제품들안에는 이미 어느정도 많이 자라있는 유산균 군체들을 유통하기때문입니다.
물론 희석용액에 잘 희석시켜 개체하나하나단위로 풀어헤친 뒤 용액상태 그대로 슬라이드글라스에 납작하게 점착시킨뒤 매우많이 확대해서 볼 수 있기는 합니다.
보통 수백나노미터에서 수 마이크로미터 단위까지 작은 개체들이 존재하기때문에 관측이 용이하지 않기는 합니다.
어찌되었든 분명한사실은 실제유통제품 안의 유산균은 관측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