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이나 나무는 물이 뿌리로만 들어오나요??
안녕하세요.
식물이나 거대한 나무가 물을 흡수할 때
바닥의 뿌리로부터 흡수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무조건 뿌리로만 흡수를 하는것인가요??
공기중의 물이나 비가 올때 잎에 떨어지는 물을 흡수할 수는 없는건가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뿌리 외에도 흡수 할 수 있습니다. 비가 내릴때 잎에 물방울이 맺히면 일부 식물은 이 물방울에서 직접 물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뿌리를 통해 토양에서 물과 미네랄을 흡수하는 주된 수단입니다.
식물은 주로 뿌리를 통해 물과 무기양분을 흡수하지만, 뿌리 외에도 줄기와 잎을 통해 일부 물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비나 이슬 등 공기 중의 수분이 잎에 닿으면 잎의 기공을 통해 일부가 흡수됩니다. 그러나 이렇게 흡수되는 양은 매우 적어서 식물의 생존을 위해서는 뿌리를 통한 물 흡수가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따라서 식물에게 물을 주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토양을 충분히 물주기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식물의 경우 뿌리의 농도를 높게 유지해서
뿌리 밖에서 뿌리 안쪽으로 물이 들어오도록 합니다.
뿌리는 표면적도 넓기 때문에 식물은 대부분의 물을 뿌리를 통해 흡수합니다.
이외의 식물의 많은 부분은 물이 출입하지 못하도록 방수층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기공으로만 기체와 수분의 유입을 할 수 있게 하여 수분손실을 조절합니다.
많은 식물의 잎은 표피가 큐티클로 덮혀있어
비가와서 잎에 물이 떨어지면 흡수되지 않고 방울처럼 뭉쳐 떨어집니다.
또 목 식물의 주피도 코르크층을 형성해 물이 흡수되기는 힘들고 방수역할을 합니다.
잘리거나 상처가 나서 안쪽의 세포층이 드러난 경우 물이 유입될 수 있습니다.
뿌리 말고 나머지 겉부분은 우리의 피부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대체로 물은 식물의 뿌리로부터 흡수됩니다. 뿌리에서 흡수한 물과 무기 양분을 식물체 전체로 공급하는 원동력이 되는데요, 식물의 잎은 모두 줄기를 통해 뿌리와 연결되어 있는데, 잎 속에 있는 물이 기공을 통해 빠져 나가면서 줄기와 뿌리에 있는 물을 끌어올려 물과 무기 양분이 식물체 전체로 공급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물의 이동방향은 수분 퍼텐셜이 낮은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식물 체내에서는 뿌리 -> 줄기 -> 잎으로 물이 이동하는 것이며, 잎에서 기공을 통해 대기 중으로 증발합니다.
식물은 뿌리를 통해 토양으로부터 물과 영양분을 흡수하지만, 잎도 물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을 이슬이라고 합니다. 잎의 표면에 있는 작은 구멍인 기공을 통해 수증기나 비가 떨어진 물을 흡수하여 수분을 공급받을 수 있습니다.
식물과 나무는 주로 뿌리를 통해 물을 흡수하지만, 유일한 방법은 아닙니다.
식물은 잎의 기공을 통해 약간의 물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기공은 가스 교환을 위한 개방부나 구멍으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들어오고, 일부 산소가 호흡을 통해 대기로 방출되죠. 그러나 이 방법은 뿌리를 통한 물 흡수보다 효율적이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식물과 나무는 주로 뿌리를 통해 물을 흡수하지만, 잎을 통해서도 어느 정도 물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식물은 잎을 통해서도 물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다만, 뿌리가 가장 많은 물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뿌리가 물 흡수의 가장 큰 핵심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