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은 어떻게 뿌리로 물을 흡수하는 건가요?
땅에 물이 적셔지면 식물의 뿌리가 물을 흡수한다고 알고 있는데 식물의 뿌리를 뽑아보면
딱히 흡수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 않습니다
식물은 흙에서 뿌리의 어떤 가능으로 그리고 어떤 방법으로 물을 흡수할 수 있나요?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 뿌리압,증산작용,모세관현상,물의 응집력이 모여서 된다네요. - 1. 뿌리압; 나무를 잘랐을때 물이 올라오지요. 뿌리가 물을 밀어올리는 힘. - 2. 증산작용; 잎의 물이 대기중으로 날아가면 잎 세포의 농도가 높아진다. - 그러면,농도가 낮은 흙 속의 물이 뿌리의 물관으로 흡수된다. - 3.모세관 현상; 직경이 작은 관을 물위에 세우면,관 밖의 물 높이 보다 관 안의 물높이 - 가 더 높아지는 현상으로 ,식물의 물관은 하나의 작은 관의 역할을 한다. - 4. 물의 응집력; 물 분자는 서로 끌어 당기는 힘이 있는데, 이 응집력으로 뿌리에서 잎까지 - 물기둥이 형성된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 식물이 뿌리를 통해 물을 흡수하는 원리는 삼투압에 의한 것입니다. - 삼투압은 쉽게 말해 평형을 맞출려고 하는 성질입니다. - 땅에 물이 많으면 식물뿌리는 평형을 맞추기 위해 흡수가 되는 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 식물은 뿌리로 물을 흡수하고, 그 물을 잎으로 보내서 광합성을 합니다. 광합성은 식물이 태양의 빛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을 산소와 포도당으로 바꾸는 과정입니다. 포도당은 식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산소는 식물과 동물의 호흡에 사용됩니다. - 식물은 뿌리로 물을 흡수하는 데는 '삼투압'을 이용합니다. 삼투압은 용질이 농도가 높은 곳에서 농도가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현상입니다. 뿌리 세포는 잎 세포보다 농도가 낮기 때문에, 물이 뿌리 세포로 이동합니다. 물이 뿌리 세포로 이동하면, 뿌리 세포는 부풀어 오르고, 그로 인해 뿌리 세포가 땅을 꽉 잡을 수 있게 됩니다. - 뿌리 세포로 흡수된 물은 잎에 있는 기공으로 이동합니다. 기공은 잎의 표면에 있는 작은 구멍으로, 이산화탄소와 물이 이동하는 통로입니다. 물이 기공으로 이동하면, 잎 세포는 수분이 부족해지기 때문에, 잎 세포에서 물이 증발합니다. 이 증발 작용은 물을 잎으로 끌어올리는 힘을 발생시킵니다. 이 힘을 '수분 흡인력'이라고 합니다. 
- 식물의 뿌리에는 많은 수의 작은 가시 모양인 뿌리 헤어가 있습니다. 이 뿌리 헤어는 뿌리 표면을 크게 증가시켜 흡수 표면적을 증가시킵니다. 뿌리 헤어는 물과 함께 흙 속의 미세한 흙 입자, 미네랄, 영양분 등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 뿌리의 표피세포는 세포벽이 상대적으로 얇고 투과성이 높아 물과 미네랄 성분이 뿌리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합니다. 이러한 표피세포들은 물을 지속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뿌리 내부로 물을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 뿌리 내부에서는 수송 조직인 목관조직(xylem)을 통해 물이 상승됩니다. 목관조직은 뿌리에서부터 식물의 상부로 물과 함께 미네랄 성분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특수한 세포 구조입니다. 이러한 수송은 식물의 증발작용, 즉 수분이 잎으로 이동하여 증발되는 것에 의해 유발됩니다. 증발 작용은 잎의 기공을 통해 수분이 수증기로 변하면서 발생하며, 이로 인해 뿌리에서 물이 끌어올려지는 "상승" 현상이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 뿌리는 많은 가지세포로 이루어져 있고, 그 가지세포들의 표면에는 미세한 모세관이 있습니다. 이 모세관을 통해 흡수 표면을 증가시켜 물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습니다.뿌리에는 모세관이 존재하여 물과 함께 영양분을 흡수합니다. 모세관은 뿌리의 세포 사이를 통해 물을 운반하며, 이를 통해 식물의 다른 부분으로 영양분과 물을 전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 대부분의 생물체를 이루고 있는 막들은 거의 모두 가 반투과성막으로 되어 있다. 식물이 뿌리에서 물 을 흡수할 때 뿌리세포와 흙 속의 물을 비교하면 흙 속의 물은 저농도이고 뿌리세포 속은 상대적으로 고농도이다. 이 때 농도평형을 이루기 위해 흙 속에 있는 저농도의수분이 고농도의 뿌리세포 속으로 세 포막을 통해 스며들게 된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 식물은 뿌리에 물을 흡수하는 데에 뿌리털을 사용합니다. 뿌리털은 뿌리의 표면에 돋아나 있는 작은 털로, 물이 잘 흡수되도록 되어 있습니다 뿌리털은 물에 젖으면 부풀어 오르고, 이때 뿌리털의 표면에 있는 미세한 구멍을 통해 물이 흡수됩니다. 뿌리털은 뿌리의 표면적을 크게 늘려주어 물을 더 많이 흡수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 식물이 양분을 흡수하는 원리는 바로 삼투압 현상입니다. - 농도에 따른 압력 차에 의하여 공급이되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