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식물끼리도 나름의 방법으로 대화를 한다는데 어떤 방법이죠?

식물도 의사를 표현하고

식물끼리도 대화를 한다는 소릴 들어봤습니다만

사람들은 동물에게만 영혼이 있다믿고

생각한다 믿는 게 일반적인데

식물도 그럼 영혼이 있고

대화를 한다는 건가요

그럼 대체.입과 귀가 있는 게 아닌데

그 들은 어떤 방식으로

의사소통을 한다는 말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식물은 입이나 귀가 없어 사람들이 생각하는 대화 방식으로는 의사소통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식물들은 화학 물질을 방출하여 다른 식물이나 곤충, 미생물 등과 상호작용합니다. 예를 들어 식물이 해충에 공격받으면 방어 물질을 분비하고, 이 물질의 신호를 다른 식물들이 감지하여 스스로를 보호하는 방식입니다. 또한 뿌리를 통해 영양분과 신호 물질을 주고받아 군집 내에서 소통합니다. 식물들은 이런 화학적 신호를 주고받으며 환경 변화에 적응하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는 등 나름의 의사소통 방식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식물이 인간의 개념에서 대화를 한다는 언어적 의사소통과는 다르지만 화학적, 물리적 신호를 통해 정보를 교환하거나 상호작용을 할 수 있습니다. 한 식물이 해충에 의해 공격받을 때 해당 식물은 주변의 다른 식물에게 경고하는 화학 신호를 방출할 수 있습니다. 또 식물의 뿌리 시스템은 뿌리 사이의 물리적 접촉을 통해 정보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 식물 간에도 서로 소통을 하지만, 이때의 소통은 인간 사이의 소통과 같이 감정을 교류하거나 대화를 나눈다는 것은 아닙니다. 식물은 외부로부터의 위협을 감지하고 방어하는 기제를 가지고 있는데요, 이러한 기제의 핵심이 식물 세포 간의 의사소통이며 이는 신호 전달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즉 식물이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상처를 입으면 위험 신호를 다른 세포들에게도 전달하고 방어 체계를 갖추는 것입니다. 이러한 체제는 '원형질 연락사'를 통해 이루어지는데요, 원형질 연락사란 서로 이웃한 식물세포의 세포벽 내에 원형질막으로 형성된 통로를 통해서 영양분, 미네랄, 세포 신호 물질 등이 이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식물도 식물 나름의 방법으로 의사소통을 하는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인간의 언어처럼 복잡성이 있는 것은 아니고, 또 음성신호 보다는 화학신호를 사용합니다.

    식물은 다양한 화학물질을 합성하여 방출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특정 곤충이 자신을 갉아먹으면 다른 식물들에게 경고를 할 수 있는 화합물을 방출합니다.

    이런 화합물은 공기중에서 퍼져나가고 다린 식물들에게 도달합니다.

    그럼 다른 식물들이 위협을 미리 알아차리고 곤충이 싫어하는 다양한 물질을 합성하기 시작합니다.

    일부 옥수수는 딸깍거리는 특정 주파수의 소리를 낼 수 있고 이것으로 소통할 수 있다고 합니다.

  • 식물은 뇌나 중추신경계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동물과 같이 의사소통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식물끼리 대화를 한다는 것은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은 주장이며, 식물의 반응은 주로 환경 자극에 대한 자동적인 반응으로 이해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식물은 전기 신호, 토양 미생물, 다른 동물 및 곤충 등을 통해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서로 의사소통 및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로 영혼이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서는 밝혀진 게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 말씀처럼 식물들 사이에서도 의사소통이 이루어집니다.

    식물의 의사소통은 보통 잎사귀, 나뭇가지, 뿌리 등에서 분비한 화학물질을 통해 이루어지며, 식물이 분비한 화학물질이 대상 생명체의 감각기관에 접촉함으로써 식물의 '의도’가 전달되는 형태입니다.

    또한, 최근 연구결과에 의하면 식물 역시 외부로부터의 위협을 감지하고 방어하는 기제를 가지고 있는데, 그 기제의 핵심은 세포 간 의사소통에 있다고 합니다. 식물은 외부의 공격으로 상처를 입으면 위험 신호를 전달하고 방어 태세를 갖춘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