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
2024년 3월 2일 작성 됨
Q.
탄산에 설탕을 넣으면 기포가 나는 이유??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탄산에 설탕, 소금 등을 넣으면 기포가 많이 발생하는데요.설탕이나 소금은 울퉁불퉁한 표면을 가지고 있어 표면적이 굉장히 넓은데요. 이 표면적이 핵생성 사이트(물질이 모이도록 하는 중심역할) 의 역할을 하며 기포들이 빠르게 모이게 합니다. 그래서 이런 물질이 탄산용액에 들어가면 녹아있는 이산화탄소 기포가 되기 쉬워 훨씬 더 빠르게 빠져나가게 됩니다.김빠진 탄산도 대기압에서의 이산화탄소 용해도보다는 아직 많이 이산화탄소가 녹아있는 상태라서 계속해서 이산화탄소가 빠져나가고 있습니다.이때 설탕이나 소금을 넣으면 빠져나가는 속도가 빨라져 기포가 더 잘 보이게 됩니다.이런 현상은 설탕 소금 뿐 아니라 모래, 멘토스 베이킹 소다 등 의 표면이 거친 물질이면 일반적으로 다 일어나게됩니다.
기계공학
2024년 3월 2일 작성 됨
Q.
AI가 하드웨어가 많이 중요한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AI기술에서 소프트웨어도 중요하지만 현재 GPU가 뜨는 이유는AI가 무언가를 생성할 때 굉장히 많은 연산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GPU가 중요한 이유는 CPU와 달리 병렬처리 방식으로 여러개의 연산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GPU성능이 좋지 않다면 AI를 통해 무언가를 생성하는데 굉장히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빠른 결과물 생산을 위해 고성능 GPU는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하드웨어인 고성능 GPU는 현재 AI사용에 대한 수요보다 공급이 부족한 측면이 있습니다.소프트웨어는 복제가 가능하지만 GPU는 결국 재료를 수급해서 만들어야하기 때문입니다.
생물·생명
2024년 3월 2일 작성 됨
Q.
유전자 조작으로 새로운 생물체를 만들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에도 유전자 조작을 통해 새로운 생물체를 만드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습니다.예를들어 대장균에 인슐린 유전자를 넣어서 인슐린을 생산하는 대장균을 만드는 것이죠.그리고 유전공학으로 동물의 복제도 이미 진행되고 있는 실험입니다.복제 양 돌리는 이미 1997년에 복제에 성공한 양이죠.그 이후에도 많은 동물 복제 실험이 성공했습니다.이론적으로 인간도 복제가 가능할 것이라고 보지만, 윤리적인 문제로 아직 실험이 진행되지는 않았습니다.식물의 경우 동물보다는 복제가 쉬운편에 속합니다. 식물의 경우 유전자를 다룰 필요 없이 조직배양을 통해 쉽게 복제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3월 2일 작성 됨
Q.
공룡의 뼈만 보고 외형을 만드는 과정은 상상에 의존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동물의 뼈를 통해 모습을 복원할 때 실제의 모습 그대로 재현하는 것은 사실 많이 힘든 일입니다.최대한 과학적인 근거를 들어서 복원하기는 하지만 뼈를 통해 알 수 있는 외형정보는 한정되어 있습니다.뼈로 유추할 수 없는 부분은 남아있는 다른 조직을 통해 최대한 유추하고, 그로도 알 수 없는 부분은 현재 생존해 있는 다른 동물들에서 따오기도 합니다.실제로 공룡의 경우도 예전에는 파충류의 느낌이 강한 피부를 가지고 있었지만최근에는 깃털이 달려있거나 화려한 피부색을 가진 것으로 생각되죠.하마나 곰의 뼈만으로는 우리가 알고있는 하마나 곰의 외형을 유츄하기 힘든 것도 하나의 예시라고 볼 수 있습니다.어느정도의 크기는 유추되지만, 붙어있는 근육이나 지방의 부피 그리고 털의 유무는 뼈만 가지고는 예측하기 힘들기 때문에 어느정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은 항상 염두해두어야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3월 1일 작성 됨
Q.
달걀은 하나의 세포라고 하는데요. 그러면 전체가 세포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엄밀히 말하면 발생이 일어나는 부분은 노른자의 겉부분의 배반입니다.노른자는 난황을 많이 포함한 하나의 세포로 볼 수있습니다.흰자는 노른자를 보호하기위한 역할을 하고 병아리가 되는 부분은 아니므로어떤 부분이 세포인지 정확히 말한다면 노른자가 하나의 세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3월 1일 작성 됨
Q.
인간이 다른 동물에게 바이러스를 퍼뜨릴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가능합니다.인간이 동물에게 옮긴 바이러스로 일어나는 병을역인수공통감염병이라고합니다.코로나 사태가 진행중일때집에서 기르던 개와 고양이에게 코로나가 전염된 사례가 있습니다.또 오래전 침팬치와 고릴라가에게 전염병이 돌았는데 이것이 인간에게서 옮아간 바이러스가 원인인 것으로 밝혀지기도 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3월 1일 작성 됨
Q.
물의 어느점 0도, 끊는점 100도는 왜?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의 어는점이 0도 끓는점이 100도인 이유는우리가 사용하는 섭씨온도가1기압에서 물이 어는 온도를 0도1기압에서 물이 끓는 온도를 100도 라고 하자고 사람들이 기준을 정해서 만든것이기 때문입니다.물이 우연히 0도에서 얼고 100도에서 끓는것이 아니라 섭씨온도가 물의 상태변화를 기준으로 만들어진 것일뿐입니다.
토목공학
2024년 3월 1일 작성 됨
Q.
오늘 껌이랑 초콜릿을 같이 먹었는데..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초콜릿에 카카오버터같은 지방성분이 포함되어있기때문입니다. 껌을 질기게 만드는 수지는 물에 잘 녹지않는 반면에 기름에는 잘 녹습니다.
토목공학
2024년 3월 1일 작성 됨
Q.
시각장애인이 꿈을 꾸면 앞이 보이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선천적으로 빛을 볼수 없는 경우 시각을 제외한 감각(소리 등)으로만 꿈을 꾼다고합니다. 뇌가 빛에의한 정보를 습득한 적이 없기 때문입니다.후천적으로 시각을 잃은 경우는 그대로 빛이 있는 꿈을 꾼다고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3월 1일 작성 됨
Q.
고병원성 바이러스가 돌연변이가 일어나면서 오히려 전염성이나 병원성이 낮아지는 현상은 왜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바이러스는 숙주가 살아서 활동해야 널리 퍼질수 있습니다.돌연변이의 경우 정해진 방향성이 있는것은 아니고랜덤하게 병원성이 증가할수도 있고 감소할수도 있습니다. 전염성의 경우도. 치사율이 높으면 숙주가 사망할 가능성이 높고 숙주가 사망하면 전염될 확률도 낮아져 전파속도가 낮아집니다.다만 치사율과 병원성이 낮으면 숙주가 감염되어도 활동이 가능하고 전파확률도 높아집니다.결국 치사율 높은 바이러스는 점점 감소하고 반대의경우 증가할 가능성이 높게됩니다.자연선택과 비슷한 현상입니다.
201
202
203
204
2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