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화학
화학 이미지
Q.  컵라면을 전자레인지에 조리하면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렌지 조리가능한 컵라면은 크게 상관없지만전자렌지 조리용이 아닌 일반컵라면은 컵라면용기 그대로 잔자렌지에 돌릴시 용기에서 환경호르몬이 녹아나올 수 있습니다.뜨거운 물로 조리하는 정도는 컵라면 용기에 영향이 크게 없지만 전자렌지에 돌릴 경우 고온에 용기 자체가 녹을수도 있습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에어프라이기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에어프라이어는 뜨거운 바람을 음식에 쐬어 조리하는 장치입니다.내부의 열선으로 온도를 올리고 내장된 팬이 뜨거운 공기를 음식 주변으로 순환시켜서 마이야르 반응을 통해 음식이 조리되며 수분이 많이 날아가 바삭바삭하게 됩니다.일종의 팬달린 오븐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에어프라이어 용 식품은 에어프라이어 특성상일반 튀김옷을 입힌 제품은 푸석푸석해지기 쉽기때문에 일반적으로 튀김옷 자체에 기름이 더 많이 첨가되어 있는 등의 방법으로 에어프라이어 조리시에도 음식의 맛이 좀 더 낫게 만든 제품이 많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강아지 복제 과정에서 모체견은 어떻게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복제를 하기 위해 말씀하신 모체견에서 세포핵을 추출하기 위해 소량의 체세포를 추출합니다.추출되는 체세포는 생존에 영향을 주지않을 만큼 소량이기 때문에모체견은 복제과정에서 건강에 별다른 영향을 받지않습니다. 따라서 그냥 일반적인 생활을 할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다이아몬드는 어떻게 강한 경도를 가질 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다이아몬드는 탄소원자로만 이루어진 물질입니다.흑연도 탄소원자로만 이루어진 물질입니다.하지만 흑연은 무르고 다이아몬드는 단단한데,이것은 탄소원자의 결합방식의 차이에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흑연의 경우 탄소원자 하나를 중심으로 3개의 탄소원자가 결합되는 형식으로 평면구조를 이룹니다.(벌집모양)평면 아래에 다음 층이 위치하면서 결합되는데, 층간 결합은 반 데르 발스 힘에 의한 결합으로 평면결합의 공유결합보다는 약해서 잘 끊어지게됩니다.다이아몬드의 경우 탄소원자 하나를 중심으로 4개의 탄소가 공유결합되는 형식으로 결정구조를 이룹니다.모든 결합이 공유결합으로 이루어져 층이 없고 균일한 강도를 가집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밤에 정전기로 불꽃이 생기는 과학적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정전기가 발생할 때 실제로 불꽃이 생기게 됩니다.순간적으로 엄청난 전압이 발생하여 불꽃이 생기는데,주유소같이 인화성물질을 많이 취급하는 장소나 분진이 많은 장소에서는 정전기 때문에 실제로 화재가 일어나기도 합니다.밤에 불꽃을 보게된 것은 일상생활에서 정전기로 일어나는 불꽃이 일반적으로 작고 순간적으로 일어나밝은 낮에는 상대적으로 관찰하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계절별 별자리가 있다는데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고 있기 때문에 계절의 변화가 생기게 됩니다.따라서 태양을 중심으로한 지구의 위치가 계절별로 다르게 되는데요.따라서 태양과 같은 방향에 있는 별자리는 계절에 따라 볼 수 없게됩니다. 태양빛이 너무 밝기 때문입니다.다만 매번 같은 별자리를 보는 것 같은 이유는 자전축에 가까운 별자리는 계절과 관계없이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북극성을 중심으로 약37도의 각도 이내의 별들은 일년 내내 볼 수 있습니다.태양의 방향과 상관없이 우리 머리 위쪽으로 위치하기 때문입니다.자전축에서 멀리 떨어진 별자리 일수록 관찰가능한 시간이 계절의 영향을 많이 받게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사람이 물속에 손을 오래 담그면 쭈글쭈글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예전에는 물에 오래 있으면 손발가락이 쭈글쭈글하게 변하는 현상을 물과 체내의 삼투압차이 때문에 물이 흡수되어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생각했습니다.하지만 유독 손 발만 쭈글쭈글해지고 바닷물 같이 농도가 높은 물에서도 오래있으면 손가락이 쭈글쭈글해지기 때문에 완벽하게 해당 현상을 설명할 수 없었는데요.관련 현상과 관련된 실험에서 팔이 마비된 환자들에게서는 해당 현상이 일어나지 않다는 점 때문에 자율신경계와 관련된 현상이라고 생각되고 있습니다.손발이 물에 오래 노출되면 신경계에서 능동적으로 손발을 쭈글쭈글하게 만든다는 것인데요.실제로 물에서 손발이 쭈글쭈글해질 경우 마찰력이 증가하여 미끄러운 물체를 잡는데 유리하다는 점에서 생존과 관련된 몸의 능동적 작용으로 볼 수 있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압력밥솥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빠른 시간 내에 밥을 익힐 수 있는 이유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기압이 높으면 물의 끓는점이 높아집니다.압력밥솥은 이런 원리를 사용하여 밥솥 내부의 압력을 주변 기압보다 높게 유지시켜 물이 높은 온도에서 끓게 만들어 밥이 높은 온도에서 익게 만들어 밥맛을 좋게합니다.쾌속취사는 고온에서 취사하긴하지만 뜸들이는 시간 등을 생략해서 일반 취사와 밥맛이 다를 수 있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소가 배가 옆쪽으로 빵빵하면 뚫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소의 경우 먹이를 소화하는 과정에서 메탄가스가 발생합니다.그런데 이런 메탄가스가 이상발효로 과도하게 발생해 몸 밖으로 배출되지 않고 내장에 쌓이게 되어 부풀다가 내장이 터져 죽을 수 있는데요.배가 지나치게 빵빵하게 부풀어있는 경우 이런 상황으로 판단하여기구를 사용해 구멍을 뚫어 가스를 인위적으로 배출시켜 줍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중력이 아주 작은 행성에서는 아래쪽? 남쪽?으로 가면 떨어지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중력의 방향은 행성의 내부입니다.그래서 남쪽으로 가도 중력은 동일하게 행성의 내부쪽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떨어지지 않습니다.중력이 아주아주 약한 행성으로 가정한다면 남쪽으로 가면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어디서든 점프를 하면 우주로 날아가게 될 것입니다.흔히 북반구에서 사용되는 지도에 북쪽을 위, 남쪽을 아래로 그려놓기 때문에 착각할 수 있습니다.북반구에 사는 우리가 생각하기에 남반구가 아래쪽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남반구에 사는 사람들은 북반구가 아래쪽이라고 생각합니다.사실 행성도 위 아래 구분이 없는 우주에 떠있는 것이며 어디가 위고 아래인지는 그냥 사람이 편의를 위해 정한 기준일 뿐입니다.
20120220320420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