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6월 21일 작성 됨
Q.
인간의 상체와 하체는 무엇을 기준으로 나누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상체와 하체는 필요에 따라 조금씩 다른 기준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보통은 허리를 기준으로 구분하지만, 골반을 기준으로 나누기도 하며 배꼽을 기준으로 나누기도 합니다.
2024년 6월 21일 작성 됨
Q.
인간이 이대로 진화를 거듭하면 et형체형으로 갈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진화는 환경압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며 환경에 따라 특정하게 반복되는 패턴을 예측할 수는 있지만특정 종이 어떤 식으로 진화할 것인지는 예측하기 힘듭니다.예를들면 빛이 충만한 환경에서는 눈이 발달하는 진화가 발생할 것입니다.잘 보는것이 생존에 유리하기 때문입니다.하지만 이와 다른 예측하기 힘든 형질들이 매우 많습니다.인간의 경우도 아주아주 먼 미래에 어떤 방식으로 진화를 할지 예측하기는 힘듭니다.특히 진화란 종의 분화라는 점이 수반됩니다. 종이 분화하려면 한 종이 다른 지역으로 분리되고 서로 아주 오랜시간 유전적 교류가 없어야 합니다.지구에서는 이미 교통수단이 매우 발달하여 인간에게서 종의 분화가 일어나기는 어렵습니다.만약 화성으로의 이주가 현실로 다가와서 사람들이 화성으로 이주하고, 지구에 남은 사람들과 아주 오랜시간 교류가 없다면 이 두 집단은 아마 다른 종으로 분화할 것입니다.이렇게 되면 인간이 진화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ET형 체형으로 진화가 일어나려면 ET형 체형이 어떤 환경에서 다른 체형보다 생존과 번식에 유리해야합니다.가능성을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지만, 인간의 한 집단이 분리되고 ET형 체형이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환경에서 아주아주 오랜시간 멸종하지 않고 세대를 거듭한다면 ET같은 외형으로 진화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2024년 6월 21일 작성 됨
Q.
요즘 사랑벌래라고 이슈가 많이되고 있는데. 사랑벌래는 해충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현재 대량발생으로 이슈가 된 러브버그는 붉은등우단털파리 라는 종으로 사람을 물거나 질병을 매개하지 않아서 해충이 아니며유충들이 썩은 낙엽같은 유기물을 분해하기 때문에 오히려 익충으로 보기도 합니다.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로 고온 다습한 환경이 조성된 것을 원인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대량발생은 주로 북한산을 중심으로 수도권에서 발생하고 있으며,2022년 대량발생 때와 비교하여 범위가 더 넓어졌다고 합니다.
2024년 6월 21일 작성 됨
Q.
펭귄이 철새라고 하던데 남극에서만 사는게 아니엿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여러 펭귄의 종들(약18종 둥 7종)은 남극에 알을 낳기 위해 방문합니다.펭귄 종마다 남극에 머무르는 시간은 다르지만 남극에서만 계속 지내는 텃새는 아니라고 합니다.새끼를 낳고 기른 후 남극을 떠난다고 알려져 있는데 현재는 연구의 초기단계라 많은 것이 밝혀져 있지는 않다고 합니다.최근조사에서 위치추적기를 부착한 마젤란 펭귄은 서식지에서 1천8백km이상 멀리 이동하기도 한 개체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024년 6월 21일 작성 됨
Q.
러브벌레가 갑자기 급증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최근 러브버그 대량 발생으로 인해 많은 분들이 불편함을 겪고 있습니다.몇년 전 부터 시작된 러브버그의 대량발생은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 혹은 산림파괴가 원인으로 추측되고 있습니다.러브버그는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잘 생존하고 잘 성장합니다.러브버그는 많은 알을 낳기 때문에 환경조건이 좋으면 성충까지의 생존률이 좋아 대량 발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대량발생은 유충들이 성충으로 자라 짝짓기를 하는 번식기이기 때문입니다.성충의 수명은 약 일주일이며 번식이 끝나면 암컷과 수컷 모두 죽기 때문에 대량발생이 오래 지속되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됩니다.
201
202
203
204
2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