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
2024년 3월 11일 작성 됨
Q.
사람은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고 하는데 공기를 흡입하면 질소등등도 같이 흡입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호흡할 때 숨을 들이쉬면 폐에는 말씀하신 것처럼 공기에 포함된 질소 등도 함께 흡입됩니다.들숨과 날숨에서 산소의 비율이 다른데요.적혈구의 헤모글로빈에 산소가 결합하기 때문입니다. 폐에는 많은 혈관이 위치하는데 혈관을 따라 혈액에 포함된 적혈구가 순환하면서 기체교환을 합니다.폐에서 산소와 헤모글로빈이 결합하고,몸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는 내보내게 됩니다.그래서 들숨과 날숨에서 산솨와 이산화탄소의 양이 달라지게 됩니다.질소의 경우도 혈액에 녹아들어가지만적혈구의 도움 없이 압력에따라 녹아들어갑니다.압력이 일정하면 이미 혈액에 녹아있던 질소가 빠져가나는 양과 다시 녹아들어오는 양이 같아서 들숨과 날숨에서 질소의 양은 거의 차이게 없게됩니다.깊은 수중에 잠수하는 경우처럼수압이 높은 곳에서는 인체에 질소가 더 많이 녹기 때문에 질소중독 같은 현상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3월 11일 작성 됨
Q.
우리가 보는 달은 태양계에서는 어디에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어떤 천체를 기준으로 공전하고 있는지를 기준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말씀하신 토성 목성 천왕성 같은 행성은 태양을 중심으로 돌고있습니다.달의 경우는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하는데이처럼 행성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천체를 위성이라고 합니다.지구의 달 뿐아니라 목성 토성 등의 큰 행성 주변에 많은 위성이 있습니다.위성도 태양계에 소속된 전체입니다.
생물·생명
2024년 3월 10일 작성 됨
Q.
정자는 난자에 어떻게 1개만 들어가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정자가 난자 속에 들어가간 직후 얇고 투명한 층이 생기는데 이는 정자가 뚫을 수 없는 막입니다.그래서 이후에는 다른 정자가 들어갈 수 없습니다.다만 가끔 동시에 두개의 정자가 들어가기도 하는데 이는 염색체 수 이상으로,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 발생하지 못하고 유산되게 됩니다.
화학
2024년 3월 10일 작성 됨
Q.
섭씨나 화씨온도가 궁금한데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섭씨온도는 물의 어는점을 0도로 측정한 온도임은 알고계신 것 같습니다. 절대 온도는 쉽게 말하면 물질의 실제 온도이며 0K일 경우는 절대영도라고 하며, 물리학에서 이론적인 온도의 최저점입니다.섭씨0도의 경우 절온도로 약 273K입니다.섭씨 10도는 약283K이고, 섭씨 20도는 약293K 입니다.즉 실제 온도는 두배가 아닌것입니다.만약 섭씨 -10도와 섭씨 0도의 온도를 배수로 비교하라고 하면 두배라고 할 수 있을까요?섭씨 10도와 섭씨 20도와 동일한 차이인데 두 배라고 말하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화학
2024년 3월 10일 작성 됨
Q.
수소정수기가 있던데 수소수가 무엇이며 인체에 어떤 영향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예전에 물에 수소를 첨가한 수소수라는 것이 판매되었는데요.건강에 좋다는 마케팅을 했었는데식역처에서 검증 결과 항산화 효과나 질병치료에 효과가 없다고 밝혔습니다.많은 전문가들도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학술적 근거가 없다고 했습니다.일종의 유사과학 제품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3월 10일 작성 됨
Q.
이글루가 따뜻한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눈은 차갑지만 절연체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이글루가 열을 보존할 수 있는 이유입니다.이글루 안쪽은 비교적 작은 공간이기 때문에 온도를 유지시키는 것이 비교적 쉽습니다.사람에게서 발생하는 열로도 실외와는 확연히 다른 차이를 보입니다.
화학
2024년 3월 10일 작성 됨
Q.
헬륨가스를 마시면 왜 목소리가 변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헬륨은 공기보다 밀도가 낮은데소리의 경우 기체의 밀도가 낮을 수록 이동속도가 빨라지고 진동수가 증가합니다.그래서 헬륨을 흡입하면 입 안에 헬륨이 남아 소리가 빠르게 이동하면서 진동수가 증가해 고음이 됩니다.
화학
2024년 3월 7일 작성 됨
Q.
생명체가 물질대사를 할 수 있는 조건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이 발생을 할때 물질대사를 하지 못한다는 관점이 이해하기 어렵습니다.물질대사는 생명이 유지되기위해서는 끊임없이 일어납니다.수정란에서 난할이 일어나는 초기과정에도 물질대사는 계속일어납니다.물질대사는 생물의 세포내에서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일어나는 모든 물질변화를 말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3월 7일 작성 됨
Q.
날씨가 춥다고 느껴지면 닭살이 돋던데 이런 현상은 왜 일어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주변온도가 내려가면 체온을 유지하기위해자율신경계가 작용하여 털을 곤두세우게 됩니다.이러면 털사이에 공기층이 커져서 보온이 더 잘되게 됩니다.즉 닭살이 돋는 것은 체온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일어나는 몸의 조절기작 중 하나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3월 7일 작성 됨
Q.
은하수라는 것은 천체 물리학으로 생각했을 때 어떤 대상을 보고 있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은하수는 실제로 수 많은 별들의 집합입니다.은하수는 태양계가 위치한 우리은하의 단면으로 볼 수있는데우리 위치에서 은하 중심부 쪽을 바라보면 그 방향의 별들이 보이는 것입니다.은하수는 우리은하의 별들이 모인 집합이라고 할 수있습니다.
196
197
198
199
20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