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3월 12일 작성 됨
Q.
갑상샘에서 방출되는 호르몬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갑상선에서는 주로 티록신(T4)과 트리요오드사이로닌(T3)이 분비됩니다. 두 호르몬은 주로 이화작용에 관련된 호소들의 합성을 촉진하여 에너지 생성을 유도합니다. 특히 간과 근육에서 강하게 작용하는데 간과 근육의 글리코겐을 분해하고 지방세포의 지방을 분해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게 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3월 11일 작성 됨
Q.
식물 세포에 있는 세포벽과 세포막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세포막은 지질로이루어진 유동성이 있는 막입니다.세포막은 유동성이 있기 때문에 세포의 모양이 변할수있고 막에 박힌 단백질같은 물질도 위치를 바꿀 수 있습니다.세포에 물이 너무 흡수되면 세포막이 터져 세포가 파괴되기도 합니다.세포벽은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세포를 둘러싼 단단한 구조물입니다. 세포막과는 다르게 유동성이 거의 없고 단단합니다. 식물이 동물과 다르게 단단한 이유도 세포벽 때문입니다. 세포벽은 세포의 이동과 변형을 막는 대신 단단한 구조로 세포를 보호합니다.식물이 물을 많이 흡수해도 세포가 잘파괴되지않는 이유는 세포벽이 세포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커지지 않게 상자처럼 보호하기 때문입니다.
생물·생명
2024년 3월 11일 작성 됨
Q.
호르몬과 신경 작용의 차이점은?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둘다 신체에 특정한 반응을 일으키는 점은 비슷하지만일반적으로호르몬의 경우 작용의 결과가 비교적 느린 대신 지속적이고신경에 의한 작용은 반응이 즉각적인 대신 덜 지속적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3월 11일 작성 됨
Q.
달은 스스로 빛을 내나요? 아니면 반사를 하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밤에 보이는 달빛은 달이 스스로 내는 빛이 아니라 주로 태양빛을 반사하는 것입니다.달이 스스로 빛을 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달과 태양 지구의 위치에 따라 눈에 보이는 달의 모양이 달라지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3월 11일 작성 됨
Q.
은하의 중심부와 주변부는 사실상 무의미한 게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는 중심의 개념을 특정 할 수 없습니다.우주의 넓이가 굉장히 넓기 때문에 전체를 관측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우리가 관찰가능한 우주 내에서 모든 은하들은 서로 멀어지고 있기 때문에 어느 지점에서 보아도 주변 공간이 팽창하는 것으로 보입니다.우리가 관찰가능한 범위를 관찰가능한 우주로 보며 우리를 중심으로 구형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우리의 위치를 중심으로 주변을 관찰하기 때문에 관찰가능한 우주의 중심은 우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관찰가능한 우주 너머는 미지의 영역입니다.아마 우리가 속한 은하가 우주 주변부에 있다는 말이 아니라,태양계가 우리 은하의 주변부에 위치한다는 말 일 것으로 추측됩니다.태양계는 우리은하 중심에서 약 2만 8천광년 떨어진 거리에 있으며 중심과 가장자리의 중간쯤에 위치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3월 11일 작성 됨
Q.
우주공간에서 화염방사기를 쏘는게 가능한가요 ?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공간에는 불이 붙을만큼의 산소가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불이 붙지않습니다.지구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화염방사기라면 산소가 없는 우주 공간에서는 불을 쏘는게 불가능 할 것입니다.하지만 우주 공간자체가 불을 일으키지 못하게 하는 것은 아닙니다.화염을 일으키는 연료와 산소를 동시에 공급하며 열을 가하면 우주에서 화염을 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지구에서 사용하는 화염방사기와는 다른 설계가 필요할 것입니다.그리고 지구상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폭팔물 같은 경우도 대게 분자구조 내에 산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우주 공간에서 불꽃을 내며 폭팔할 수 있습니다.
토목공학
2024년 3월 11일 작성 됨
Q.
낙타는 장시간 물을 마시지 않아도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낙타는 사막과 같이 건조한 기후에서 수분을 최대한 아낄 수 있도록 적응한 동물입니다.낙타는 다양한 기작으로 수분의 손실을 최소화 합니다.우선 낙타의 호흡기관의 구조가 호흡시 날숨에서 수분이 최대한 빠져나가지 않는 구조로 되어있습니다.또 낙타의 적혈구는 사람과 다르게 타원형으로 생겼는데,사람이 갑자기 빠르게 너무 많은 물을 마시면 혈액의 농도가 낮아져 적혈구가 터져 사망할 수 있지만,낙타는 타원형으로 생긴 적혈구에 의해 더 많은 물을 빠른 속도로 마셔도 적혈구가 터지지 않아 한번에 많은 물을 마셔서 물이 있을 때 체내에 많은 물을 비축할 수 있습니다.10분만에 100L이상의 물을 마셔도 이상이 없다고 합니다.위장의 구조도 이렇게 빠르게 마신 물을 버틸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또 낙타의 혹에 저장된 지방은 분해될 시 H2O가 생성되기 때문에 체내 수분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3월 11일 작성 됨
Q.
파섹의 거리는 몇키로 정도를 이야기 하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1파섹은 1pc라고 적을 수 있으며 지구가 공전하면서 발생하는 연주시차가 1각초인 별까지의 거리를 뜻합니다.1pc = 약3.26156광년 = 약 30조 9,000억km 입니다.
생물·생명
2024년 3월 11일 작성 됨
Q.
생명 가계도 질문 좀 받아주세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반성 유전은 성염색체에 있는 유전자에 의해 일어나는 유전 현상입니다.3인가족이나 4인 가족인것은 상관이 없고자식이 아들이냐 딸이냐에 따라서 관련이 있습니다.4인 가족일 때는 각 자식의 경우를 각각 따질 뿐입니다.질문자님이 그림에 그린 것은 자식이 딸일 때 가능한 유전 조합입니다.A유전가가 X염색체에 위치한다고 가정하면해당 그림에서아들이면 XY 염색체를 가져야하기 때문에 어머니가 aa 아버지가 AY 조합을 가지면딸의 경우 Aa로 우성형질 아버지에게서 받은 X염색체 상의 A 유전자로 인해 항상 우성 표현형을 가지고아들의 경우 Y염색체가 있어야해서 Aa로 나올 수 없고 aY로 나오게 되어 항상 열성 형질의 표현형을 가지게 됩니다. 즉 아들은 어머니에게서 받은 X염색체의 a유전자만이 발현되는 것입니다.그래서 어머니의 어떤 유전 형질이 열성 표현형으로 발현되는데 아들이 우성 표현형을 가지면 해당 유전자는 성 염색체에 위치하지 않는다 라고 추론할 수 있습니다.
기계공학
2024년 3월 11일 작성 됨
Q.
로봇이 이제 단순기능이 아닌 ai들어가면 어떻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 것 처럼 자동화 되는 것을 향해서 발전할 것입니다.택배사업의 경우도 휴머노이드 로봇 까지는 아니더라도 드론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이미 있고음식배달도 이미 로봇을 활용하고 있으니까요.최근에 몇몇 대기업에서 발표한 휴머노이드 로봇이 점점 더 기능이 사람처럼 정교해지고 있는 것으로 보아먼 미래에는 상당히 많은 산업이 자동화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하지만 현재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기능이 사람만큼 정교하지는 못하고 제작 비용도 너무 비싸기 때문에 상당기간동안은 그대로 사람을 쓸 것으로 예상됩니다.
196
197
198
199
20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