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별 중 가장 밝은 별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육안으로 관찰이 가능한 별들 중 가장 밝은 별은 태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태양을 제외한다면 항성중에서는 큰개자리의 코부분에 위치한 시리우스를 들 수있습니다. 시리우스는 태양보다 23배나 밝지만 거리가 8.6광년 떨어져 있어 비교적 어두워보입니다. 행성까지 포함한다면 밤하늘에서는 금성이 가장 밝다고 볼 수 있습니다.별에 관련한 이야기는 주로 별자리에 관한 이야기가 많습니다.방금 알려드린 시리우스가 포함된 큰개자리는 그리스 신화의 사냥꾼인 오리온의 사냥개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양계에서 가장 뜨거운 행성은 수성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수성이 태양에 가장 가까워 수성의 표면온도가 가장 뜨겁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수성의 경우 금성과 달리 대기가 없기 때문에 태양으로부터 받은 열을 잘 저장하지 못합니다.그래서 태양빛을 받고있는 면은 굉장히 온도가 높아지지만 그 반대편은 금방 식어버립니다.그래서 온도는 100~700K로 굉장히 일교차가 많이 납니다.반면 금성은 굉장히 두터운 대기를 가지고 있어 태양으로 부터 들어온 열이 온실효과에 의해 잘 방출되지 못합니다. 그래서 700~750K의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고사리는 홀씨로 번식한다고 하는데 그럼 유전자가 모두 동일한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고사리는 생활사에서 포자체와 배우체라는 두종류의 세대를 거칩니다.우리가 흔히 아는 유성생식방법과는 조금 다른데요.포자로 번식할 때 포자는 n개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긴 하지만 포자체의 2n개의 염색체에서 반을 가져오지만 감수분열하여 상동염색체쌍에서 랜덤하게 반반씩을 가져오기때문에 모든 전엽체가 동일한 유전자를 가지진 않습니다. 그리고 포자에서 자라난 전엽체는 각각 정자와 난자를 생성해 수정란을 만들고 이것이 다시 우리가 흔이아는 고사리 형태(포자체)로 자라납니다. 이 경우 2n개의 염색체를 가지게 됩니다.그래서 우리가 흔히 아는 고사리는 유전자가 모두 동일하지는 않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드라이아이스에 화상을 입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드라이아이스는 고체상태의 이산화탄소이며 영하 78.5도 이하의 매우 낮은 온도인 물질입니다.이렇게 낮은 온도에 피부가 접촉하게되면 피부조직이 급속히 얼어서 손상을 입습니다.이런 방식으로 세포가 죽어서 나타나는 손상이 화상과 비슷하기 때문에 '냉동화상' 이라고 부릅니다.드라이아이스는 영하78.5도 이상의 온도부터 승화하여 기체 이산화탄소로 변하는데 물에 드라이아이스를 담그면 이런 기체 이산화탄소가 일부 물에 녹아들어가며 물에 약간의 탄산이 생성됩니다. 일종의 탄산수가 되는데, 일상적인 대기압에서는 우리가 흔히 먹는 탄산음료 만큼의 농도는 아닌 적은 양이 물에 녹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한국에서 밤하늘에 자주 관찰되는 별자리로는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별자리는 계절에 따라서 보이는 종류가 조금씩 달라지게 됩니다.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지구의 위치가 이동하기 때문에 별자리의 위치가 달라지고 태양빛에 의해 관찰할 수 없는 시간에 뜨기도 합니다. 그래서 계절별로 대표적인 별자리를 알려드리자면,봄철에는 사자자리와 처녀자리여름철에는 전갈자리와 거문고자리가을철에는 안드로메다자리와 페가수스자리겨울철에는 쌍둥이자리와 오리온 자리 등을 잘 관찰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적외선과 자외선 둘다 색깔이 없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적외선치료기에서 한 파장의 빛만 나오는 것이 아니라 일정범위의 파장의 빛이 나오기때문입니다. 붉은색은 가시광선영역의 빛이 나온것입니다.또한 가시광선과 적외선을 구분짓는 파장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고 사람들마다 볼수있는 파장이 약간의 개인차가있습니다.적외선 치료기는 주로 가시광선 영역에 가까운 길이의 파장을 가지는 근적외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런 모호한 경계에서 붉은색이 더 잘보인다고 할 수 있습니다.근적외선보다 긴파장의 적외선과 원적외선은 일반적으로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 않습니다. 실제로 우리 몸에서도 적외선이 나오고 있지만 적외선카메라 같은 장비를 사용하지 않으면 볼 수 없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버뮤다 삼각지대의 실종관련 과학적 근거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예전에는 버뮤다 삼각지대에서 많이 일어나는 실종사건에대해 다양한 추측들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근거없는 추측들이었습니다. 최근의 견해는 단순히 해당지역의 통행량이 많았던 것이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해당지역은 지리적 특성상 선박과 비행기가 자주지나다닐 수 밖에 없는데, 통행량이 많으면 그만큼 사고횟수도 다른곳보다 많겠죠. 그런 점이 부풀려져서 미스테리한 장소로 여겨지게 되었습니다.실제 버뮤다 삼각지대를 지나다니는 선박과 비행기 수 대비 사고와 실종 비율을 계산해보면 다른지역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부모의 경험등이 인간이나 동물에게도 유전이 될 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후천적으로 습득한 경험은 유전되지 않습니다.유전은 생식을 통한 유전물질전달로 이루어지는데 스포츠 훈련과 같은 후천적인 경험은 유전물질에 변화를주지 않습니다.스포츠 선수들의 2세가 부모의재능을 물려받았다는 것은 우선 부모의 '선천적'인 신체적 특성을 물려 받은 것이있고. (키와 같은 유전적 요인)스포츠적인 기술 같은 부분은 부모의 경험에 의한 교육방식에 의해 해당 능력을 배운 것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자웅동체의 생물들은 번식기같은 기간이 딱히 없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자웅동체의 생물 중 자가수정이 가능한 종도있지만 자가수정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지렁이는 대표적인 자웅동체 생물이지만 자가수정으로 번식하지 않고 짝짓기를 통해 번식합니다.혼자서 번식이 가능하다해도 짝짓기를 통해 번식하는것이 유전적 다양성의 측면에서는 유리합니다.번식기는 자웅동체 여부보다는 각 생물종들의 특성으로 볼 수 있습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양자 역학과 고전물리학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양자역학은 미시적인 세계, 전자같은 작은 물질들의 세계에서 나타나는 역학을 설명합니다.고전역학은 거시세계, 즉 우리가 일상에서 볼 수 있는 크기의 세계에서의 역학을 설명합니다.(하지만 또 너무 크거나 빠른 물체는 고전역학만으로설명할 수 없고 상대성이론이 필요합니다.)양자역학은 미시세계에서의 물질의 상태는 오직 확률적으로표현된다고 설명하지만고전역학은 어떤 물체의 현재상태를 알고있으면 미래를 정확히 예측가능하다고 설명합니다.현대로 들어서며 관측방식이 발전하면서 양자세계를 관측 가능 하게되었는데 양자세계는 고전역학으로는 설명불가능한 현상들이 발견됩니다. 그래서 그 현상들을 설명하는 양자역학이 정립되었습니다.고전역학에서의 현상도 큰 물체를 이루는 모든 양자들을 계산한다면 양자역학으로도 계산가능하겠지만 현실적으로 일상의 물체들은 너무 많은 양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아직까지의 기술로는 계산하기 힘들것입니다.
20120220320420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