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해열진통제(이부프로펜,타이레놀,아스피린)의 작용원리에 대해서
안녕하세요이부프로펜(이소부틸프로판페놀산),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 아스피린(아세틸살리실산)은 세가지 모두 비 스테로이드성 진통제로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억제하는 방식을 사용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비스테로이드성 항 염증제는 공통적으로 COX효소를 억제하는 기작을 사용합니다.각각의 효능은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인 원리는 같습니다. 하지만 스테로이드성 진통제의 경우 다른 방식으로 진통효과를 냅니다.세포막을 구성하는 인지질에 붙어있는 아라키돈산을 떼어내는 인지질가수분해효소A2를 억제하는데, 아라키돈산이 통증의 원인인 류코트리엔이나 프로스타글란딘 등의 전구체이기 때문에 원인 물질 생성을 억제하여 진통소염효과를 낸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라키돈산은 몸의 다양한 국소반응을 조절하는 다양한 호르몬의 전구체이기도 하기 때문에 스테로이드성 진통제는 장기적으로 사용하면 부종이나 고혈합 골밀도 감소 같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어 의사의 처방을 받아야만 구입할 수 있습니다.이 외에 마약성 진통제를 예로 들 수 있는데중추신경계에 직접 작용하여 통증 전달 자체를 억제하여 진통효과를 냅니다.신경계에 직접 작용하는 만큼 효과가 강해서 수술후나 기타 다른 원인의 심각한 통증이 있을 때 처방합니다.효과는 좋지만 중독성이 강해서 굉장히 주의깊게 사용해야합니다.
Q. 배양육은 어떤방식으로 만드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배양육은 실험실에서 세포를 배양하는 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만들어집니다.여러가지 동물의 배양육을 만들 수 있지만 동물의 종류와 관계없이 방식은 비슷합니다. 1.만들고자 하는 고기의 동물에게서 근육샘플을 일부분 채취합니다.2.근육샘플에서 근율줄기세포를 분리합니다.3.여분의 근육줄기세포는 냉동보관하고, 사용하는 근육줄기세포를 배양기에서 1차배양합니다. 이때 세포배양을 위해서 체내환경과 유사한 배지를 처리합니다. 근육줄기세포는 기질외 표면에 부착하여 증식하기 때문에 1차배양시 플레이트 바닥에 세포 한개 두께의 얇은 막 형태로 증식합니다. 4.두꺼운 조직을 만들기위해 바이오리액터에서 다시 배양합니다. 바이오리액터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이 경우 조직을 입체로 자라게 해야하므로 구슬형태의 세포외기질을 넣고 여기에 근육줄기세포가 붙게한 후 배양액을 회전시켜 배양액 안에 근육줄기세포가 떠서 증식하게 합니다. 이후 배양액 조성을 바꾸어서 근육줄기세포를 근육세포로 분화시킵니다.근세포를 증식시킵니다. 증식된 근세포들을 배양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지방이나, 혈관세포 등을 추가 조합하여 진짜 고기와 식감이 비슷하게 만듭니다. 예전에는 패티처럼 으깬 고기로 생산되었는데 최근에는 바이오3D프린팅 방식이 많이 발전해서 실제 고기와 비슷한 질감을 구현할 수 있다고합니다.현재도 일부 배양육들이 상용화 되어 판매되고 있고, 해당 과정들이 더 간편해지고 비용절감이 많이 된다면 더 빠르게 상용화 될 수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