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7월 10일 작성 됨
Q.
새는 걸어다닐때 왜 머리를 흔드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몇몇 새들은 동체시력이 떨어져 걸을 때 머리를 흔들게 됩니다.걷는 동작을 분석해보면 실제로는 머리를 흔들며 걸어간다기보다는머리가 한 지점에 고정되고 몸이 따라가는 방식으로 걸어갑니다.또한 걷지않고 손으로 들어서 옮겨줄 때도 이런 행동을 합니다.머리가 한 지점에 잠시 고정되어서 주변 환경을 정지된 화면으로 잠시 인식하여 부족한 동체시력을 보완하고 주변 위협을 감지합니다.그래서 감지할것이 딱히 없는 배경에서 걸어가게 하면 머리를 흔들지 않고 걸어가기도 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10일 작성 됨
Q.
거미는 무슨 원리로 인해 거미줄을 뽑아낼 수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거미는 배아래쪽의 항문 근처에 실젖(방적돌기)이라는 기관을 가집니다. 여기에 수백개의 작은 실관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관 안쪽은 거미줄을 생성하는 실샘과 연결되어 있습니다.거미줄의 주 성분은 단백질인데 거미의 특정 세포들에서 합성되고 실샘에 저장됩니다.실샘에 저장되어있는 이 거미줄 단백질은 액체상태로 존재합니다.필요할 때마다 실샘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를 실관을 통배 배출하는데, 밖으로 나온 단백질은 공가와 접촉하여 굳게되며 우리가 보는 거미줄처럼 변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10일 작성 됨
Q.
전기뱀장어는 실제로 전기를 배출하는걸로 아는데 어떻게 전기를 배출할 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전기뱀장어는 몸안에 전기판이라는 특이한 조직을 가집니다. 생물들은 세포 안과 밖의 이온의 농도차를 형성해서 전기적 신호를 만들 수 있습니다.우리 몸의 신경세포도 그런 방법으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합니다.전기판도 같은 원리로 전기를 만들어 냅니다.전기판의 세포막의 단백질들이 에너지를 소모하여 안과 밖의 이온들의 농도차를 형성하고 이것이 결국 전위차를 만들어냅니다. 머리쪽은 +극 꼬리쪽은 -극으로 대전됩니다. 전기판 하나라면 큰 전압을 만들 수 없지만 이런 전기판이 몸 속에 수천개가 존재하고 직렬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뇌에서 전기를 방출하라고 신호를 보내면 전기판의 세포들이 이온채널을 모두 열어서 농도차를 형성하고 있던 이온들이 자유롭게 이동하게됩니다. 이 때 높은 전압의 전기가 발생하게 됩니다.전기뱀장어는 피부 아래에 몸을 보호하는 두꺼운 지방층이 있어서 전기로부터 손상을 받지 않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10일 작성 됨
Q.
거북이하고 자라는 그 생김새가 굉장히 비슷해서 헷갈릴 때가 있는데요 그 둘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자라와 거북 모두 자라과에 속하여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하지만 자세히 보면 외형에서도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거북이의 등껍질은 딱딱하고 무늬가 있지만 자라의 경우 좀 더 부드러우며 무늬가 없습니다. 그리고 자라는 거북이와 다르게 날카로운 이빨을 가집니다. 또한 성격이 사나운 편 입니다.자라는 머리의 코부분이 특이하게 길게 나와있어 머리를 보고도 구별이 가능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10일 작성 됨
Q.
때론 말 못하는 식물들이 사람보다 낫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힘든 사회에 대해 비유적인 말씀을 하신 것 같습니다.사람들은 살아가면서 다른 사람들과 많은 갈등을 겪으며말로써 상처를 주기도 하며 거짓말을 하기도 합니다.난은 말을 못하며 결국 거짓말을 하거나 말로 상처를 주지 않기 때문에 사람보다 나으며서로가 거짓말을 하는지 고민하거나 그로인해 상처받을 걱정이 없으므로 부럽다고 하신 것으로 생각됩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10일 작성 됨
Q.
정맥을 통한 영양공급이 가능한데, 왜 우리는 음식을 먹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정맥으로 영양공급을 받아서 에너지를 얻어서 생명을 지속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여러가지 문제로 인해 이것만으로 온전한 생명유지는 한계가 있습니다.소화기관은 소화과정에 관여하면서 강화됩니다.정맥으로만 영양을 받고 소화기관이 일을 하지 않을 경우 소화기관이 약해지고 기능이 저하됩니다.이 경우 장벽의 면역기능이 감소되어 감염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또 정맥으로하는 영양공급은 인체에 필요한 모든 영양소를 공급할 수 없습니다.비타민이나 미네랄 등은 불균형이 오기 쉽습니다.또한 직접적으로 많은 영양소가 혈관으로 들어오면서 간에 부담을 주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행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10일 작성 됨
Q.
양파를 써는 과정에서 무슨 화학작용이 일어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양파를 썰게되면 양파의 세포가 손상되면서 양파내에 분리되어 존재하던 황화합물이 양파의 효소에 의해 프로페닐스르펜산으로 바뀌어 휘발되어서 공기중으로 퍼지게됩니다.이 분자가 눈으로 도달해 안구표면에 닿으면 안구 표면의 세포들에 있는 여러 센서역할을 하는 수용체를 자극합니다.이 경우 눈이 매운느낌이 들며 눈은 이를 눈을 공격받은 것으로 간주하여 눈에서 눈물을 방출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10일 작성 됨
Q.
손에 상처가 나 피를 먹으면 소화가 되나요 아니면 혈관으로 재 공급되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피를 이루는 구성성분이 대부분 매우 크기때문에 직접적으로 흡수될 수 없습니다.흡수될 수 있으려면 포도당 아미노산 처럼 크기가 작은 단위체 분자정도로 크기가 작아야합니다.혈액에 포함된 성분 중에 포도당이나 여러 이온물질들 같이 작아서 장에서 바로 흡수가 되는 것은 소화기관에서 흡수되어 다시 혈관을 타고 이동합니다.하지만 흡수될 수 없는 큰 물질은 다른 음식들과 마찬가지로 소화과정을 거친 후 흡수될 수 있습니다.. 소화과정을 거쳐 피를 이루는 구성성분인 여러 종류의 세포들과 단백질들은 흡수될 수 있는 아미노산 포도당 지질로 분해되어 흡수되고 몸에 필요한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됩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9일 작성 됨
Q.
세균과 바이러스는 어떻게 다른 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세균은 단세포 미생물로 세포의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세포질 안에 DNA를 가져 여러가지 생명활동을 하며스스로 증식을 할 수 있는 생물입니다.반면 바이러스는 세포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집니다.단백질로 이루어진 캡슐 안에 약간의 효소와 DNA나 RNA같은 유전물질을 가집니다.스스로는 증식할 수 없고 다른 세포에 침입하여 세포의 여러 물질을 사용해서 자신을 복제하여 증식할 수 있습니다.생물의 여러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여 생물로 분류하지는 않습니다.이런 특성 때문에 일반적으로 세균보다 100배 작은 매우 작은 크기를 하고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9일 작성 됨
Q.
뱀은 도마뱀이 다리를 잃으면서 진화한 모습일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뱀과 도마뱀은 뱀목 이라는 그룹에 같이 속합니다. 그만큼 친척뻘의 가까운 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평상시 뱀을 제외하고 다리가 달린 것들을 도마뱀이라고 부르지만 계통상으로는 한 그룹에 속합니다.뱀은 뱀아목이라는 하위분류로 구분합니다.뱀과 도마뱀은 같은 조상을 가집니다.화석증거에 따르면 약 1억5천만년전 뱀과 도마뱀의 조상은 다리를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봅니다.그리고 현대의 뱀들도 비단뱀 같은 일부 뱀은 몸 속에 작게 다리뼈 부분이 남아있다고 합니다.뱀의 유전자에도 다리를 만드는 유전자는 포함되어 있습니다. 비단뱀은 알속의 발달 과정 중에 다리가 자랍니다. 하지만 더 발생하면서 다리가 사라지고 다리뼈의 흔적만 남게됩니다.그리고 도마뱀의 유전자 중에는 다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유전자가 있다고 합니다. 또한 다리가 없는 도마뱀도 있습니다.이런 이유로 현재 도마뱀 중 몇몇은 조상이 뱀처럼 다리가 퇴화했는데 오랜 시간이 지나 다시 생겨났을 가능성도 있습니다.그렇기 때문에 뱀과 도마뱀의 구분은 유전자의 관점에서 구분되는 것이 정확합니다.
71
72
73
74
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