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진영 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영 입니다.

김진영 전문가
중앙대학교
Q.  1980년대 일본의 경제력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1980년대 일본은 다음과 같은 요인들로 경제 강국으로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1. 높은 저축률과 투자일본인들의 높은 저축률을 바탕으로 기업들이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여 설비투자와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할 수 있었습니다.2. 노동집약적 산업에서 첨단기술 산업으로 이행1960-70년대 섬유, 철강 등 노동집약적 산업에서 전자, 반도체, 자동차 등 기술집약적 산업으로 산업구조를 고도화했습니다.3. 기업 간 협력과 질서 있는 노사관계 기업 간 계열화를 통한 협력과 종신고용, 연공서열 등 안정적인 노사관계가 생산성 향상을 가져왔습니다.4. 적극적인 해외시장 개척값싼 인건비와 높은 기술력을 앞세워 전자, 자동차 등에서 세계시장을 적극 공략했습니다.그러나 1980년대 후반부터 버블 현상이 시작되는데 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1. 저금리 기조에 따른 과잉 유동성일본은행의 저금리 정책으로 인해 기업과 가계로 자금이 과도하게 몰리면서 부동산, 주식 등에 투기가 확산되었습니다.2. 엔고 효과1980년대 플라자합의 이후 급격한 엔화 강세로 인한 기업실적 호조 기대감이 작용했습니다. 3. 공급과잉에 따른 과잉투자정부의 무리한 투자 유치, 기업들의 과잉투자로 인해 생산능력이 수요를 초과하는 상황에 이르렀습니다.결국 1991년 버블이 꺼지면서 자산가격 폭락, 디플레이션, 잃어버린 10년이라 불리는 장기불황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Q.  전쟁이 나면 안전자산으로 몰리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네, 전쟁 발발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높아지면 일반적으로 안전자산으로 돈이 몰리는 경향이 있습니다.주요 안전자산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1. 미국 국채 등 선진국 국채2. 달러화, 엔화, 스위스프랑 등 주요 안전통화3. 금4. 현금특히 미국 국채와 달러화는 가장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꼽힙니다. 전쟁 리스크가 높아지면 투자자들이 이들 자산으로 몰리면서 가격이 오르게 됩니다.만약 이란과 이스라엘 간 전쟁이 현실화된다면 중동 지역 리스크가 커지면서 미국 국채와 달러화로 자금이 들어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중동산 원유 공급 차질 등으로 에너지 가격이 급등할 경우 인플레이션 우려도 동시에 높아질 수 있어 상황을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한편 주식, 원자재 등 위험자산은 전쟁 리스크가 높아지면 가격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Q.  내년도에 국내 전기차 보조금은 어떻게 삭감하여 변경될것으로 보이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아직까지 정부에서 구체적인 전기차 보조금 삭감 기준이나 수준에 대해 공식 발표한 바는 없습니다. 다만 업계 및 언론 보도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보조금 지원 체계가 개편될 것으로 예상됩니다.1. 차량 가격 기준 조정현재는 9천만 원 이하 전기차에 대해 최대 800만 원의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내년에는 이 가격기준을 낮추어 저가 전기차 중심으로 보조금을 지원할 전망입니다.2. 보조금 금액 차등 지원 전기차 가격에 따라 보조금 금액에 차등을 둘 것으로 보입니다. 고가 전기차일수록 보조금이 삭감되고 저가 전기차에 보조금이 집중 지원될 것으로 예상됩니다.3. 총량 한도제 등 도입예산 상황에 따라 전기차 보조금 총액에 한도를 두고 이를 초과하면 지원이 중단되는 총량제 등의 방식이 도입될 가능성이 있습니다.정부는 예산 제약과 전기차 보급 활성화라는 두 가지 목표를 모두 고려하여 구체적인 개편안을 마련할 것으로 보입니다. 일부 업계에서는 50% 이상 대폭 삭감될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Q.  비트코인의 반감기가 무엇이고 그 영향은?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비트코인 반감기(halving)란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새로운 비트코인을 채굴할 때 받는 보상이 약 4년마다 절반으로 줄어드는 현상을 말합니다.초기에는 블록마다 50BTC의 보상을 받았지만, 2012년 첫 반감기를 거쳐 25BTC, 2016년에는 12.5BTC가 되었고 2024년 4월 20일경에는 6.25BTC로 반감기가 예정되어 있습니다.반감기가 되면 비트코인 공급량 증가율이 떨어지게 되어 장기적으로는 비트코인의 희소성이 높아지고 가치가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입니다.과거 반감기 때를 전후로 비트코인 가격이 상당히 오른 사례가 있었습니다. 2012년 반감기 전후로 10달러 수준에서 1000달러 이상으로 급등했고, 2016년에도 500달러에서 20000달러 넘게 급등한 바 있습니다.하지만 반감기 시점 자체만으로 단기적 가격 예측은 어렵고 시장 수급, 규제 환경, 기술 발전 등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주기 때문에 향후 가격 전망에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Q.  미국에서 실업율 발표인가? 그거 하면 왜? 주식이 난리 나나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실업률 발표 등 주요 경제지표 발표 시기에는 주식시장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실업률 같은 핵심 경제지표는 경제 상황을 가늠하는 중요한 척도가 되므로 증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칩니다.실업률이 예상보다 좋게 나오면 경기가 호조를 보이고 있다는 신호가 되어 투자 심리가 좋아지면서 주가가 오를 수 있습니다. 반대로 실업률이 예상보다 나쁘게 나오면 경기 둔화 우려가 커져 주가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주식 투자자들은 주요 경제지표 발표일에 예의주시하며, 발표 결과에 따라 매수/매도 전략을 세우기 때문에 변동성이 커질 수 밖에 없습니다. 주식 포지션이 있다면 지표 발표 전후로 주가 변화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717273747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