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최근 들어본 마빈스 국가들은 정확히 어떤 국가들을 지칭하는 것인가요?
마빈스 국가라고 하는 곳은 멕시코, 호주,베트남, 인도네시아,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6개 국가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 국가들의 영문명 이름 앞글자를 따서 만든 단어에요.
Q. 스노브효과와 베블런 효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건가요?
스놉효과 효과의 ‘스놉(Snob)’이라는 단어는 잘난 체하는 속물을 의미하는 단어를 의미하는데, 마치 까마귀 떼 속에서 혼자 떨어져 고고하게 있는 백로의 모습과 같다고 해서 ‘백로 효과’라고 부르기도 해요. 이러한 스놉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고가의 제품이나 혹은 소비가 많은 제품의 양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과시효과를 주도록 만들게 되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데 스놉효과의 예로는 연예인들 몇몇이 다시 유선이어폰을 끼고 다니는데, 일반 사람들은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에어팟이나 버즈등의 무선이어폰의 사용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과는 다른 행동으로 이러한 행동들이 스놉효과라고 볼 수 있어요그리고 베를런 효과는 미국의 사회학자인 베를런이 1899년 출간한 저서 [유한계급론]에서 상층계급의 두드러진 소비는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하여 자각 없이 행해진다라고 말한 데서 유래한 단어로서, 상류계급층의 소비 문화인 과시 욕구의 소비로 가격이 오르거나 턱없이 비싼 가격임에도 일부 계층이 과시욕이나 허영심등으로 인해서 수요가 감소하지 않는 현상을 말해요이러한 베블런 효과는 남들이 보면 속물이라고 생각되는 행동을 한다고 하여서 '속물근성'에서 유래하게 된 속물효과와 비슷한 단어이며 이를 활용한 마케팅으로는 백화점의 VVIP 마케팅이 이러한 베블런 효과를 활용한 것이라고 생각해주시면 좋아요
Q. GDP에서 명목 GDP가 있고 실질 GDP가 있는데 그 차이는 무엇인가요?
명목GDP라고 하는 것은 한 국가 내에서 정부, 기업, 가계 등의 모든 경제 경제주체가 일정한 기간동안 생산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시장가로 평가하여 합산하여 계산해요이러한 명목GDP에는 국내에 거주하지 않는 노동자가 제공한 노동과 자본 등의 생산요소에 의해 창출된 것들도 모두 포함시켜서 계산을 하게 되며, 이를 통해서 명목GDP와 실질GDP는 다음과 같이 계산해요명목 GDP : 물가상승이 반영된 현재 물가로 계산한 국내총생산실질 GDP : 금액 변동을 제거 후 생산량 변동만 반영한 기준 금액으로 계산한 국내총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