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미국 월배당주에서 100프로 지급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엔비디아 커버드콜 ETF(예: NVDY)의 배당률이 100%를 넘는 경우가 실제로 있습니다. 이 ETF는 엔비디아 주식의 높은 변동성을 활용해 매월 콜옵션을 팔아 옵션 프리미엄을 배당으로 지급하는 구조인데, 최근 12개월 기준 배당률이 40~120%까지 치솟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는 엔비디아 주가가 크게 오르거나 변동성이 극단적으로 높을 때 일시적으로 가능한 수치로, 장기적으로 지속되기 어렵고 원금 손실 위험도 큽니다. 사기라기보다는 초고위험·고수익 구조로, 높은 배당만 보고 투자하면 큰 손실을 볼 수 있으니 신중히 접근해야 합니다.
Q. 우리나라에서 인구분포 조사 및 구분을 할때, 청소년기, 장년기, 노년기등의 나이범주를 어떻게 구분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 인구분포 조사 시 연령대는 주로 통계청 기준에 따라 유소년(0~14세), 생산연령(15~64세), 고령(65세 이상)으로 크게 나눕니다. 세부적으로 청소년기는 13~18세, 청년기는 19~34세, 중년은 40~49세, 장년은 50~64세, 노년기는 65세 이상으로 구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각종 정책이나 법령에 따라 세부 연령 구분이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공식 통계에서는 위와 같은 구간이 가장 널리 활용됩니다.
Q. 현금자산 보유를 어느 정도 가지고 있어야 중산층 분류에 포함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 중산층에 포함되기 위한 현금자산 기준은 생각보다 높은 편입니다. 통계 자료를 살펴보면, 가구소득 중간 계층(3구간)의 평균 보유자산이 약 6억 원 수준인데, 이 중 현금성 자산의 비중을 고려할 때 상당한 금액이 필요합니다.현금자산 기준실제 중산층으로 인식되기 위한 현금자산 규모는 1억 원 이상으로 보는 시각이 많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논의되는 중산층 기준 중 하나가 "통장의 예금잔고가 1억 원 이상"이라는 점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더 높은 기준으로는 현금성 자산 3억 원 이상을 보유해야 진정한 중산층이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이는 30대 중반 기준으로 10억 원 이상 아파트를 무부채로 소유하고 연봉 1억 원 이상을 받는 조건과 함께 제시되는 기준입니다.중산층 인식과 현실흥미로운 점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중산층 기준이 실제 통계보다 훨씬 높다는 것입니다. 2025년 기준으로 전국 평균 순자산이 5억 4천만 원이지만, 사람들이 생각하는 '중산층다운' 자산은 무려 9억 7천만 원에 달합니다.현금 보유량은 중산층을 정하는 기준 중 53.8%가 중요하다고 응답할 정도로 핵심 요소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특히 자영업자의 경우 현금흐름이 불규칙하기 때문에 직장인이나 공무원보다 더 많은 금융자산을 보유하는 경향을 보입니다.결론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중산층으로 인식받기 위해서는 최소 1억 원 이상의 현금자산을 보유해야 하며, 보다 안정적인 중산층 지위를 위해서는 3억 원 수준의 현금성 자산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Q. 자녀가 없는 사람들이 많은데, 상속을 할 자녀가 없다면, 대부분 가지고 있는 자산을 어떻게 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자녀나 가족 등 법정 상속인이 전혀 없이 혼자 살다가 사망하면, 남긴 재산은 일정 절차를 거쳐 결국 국고로 귀속됩니다. 다만, 생전에 함께 생활하거나 특별한 연고가 있던 사람이 있다면 법원에 청구해 일부 재산을 받을 수 있지만, 이마저도 없으면 최종적으로 국가가 그 재산을 가져가게 됩니다. 따라서 상속인을 남기지 않은 채 혼자 생을 마감하면, 본인의 재산은 법에 따라 국가 소유가 되는 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