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Doctor of Public Health 전상훈입니다

Doctor of Public Health 전상훈입니다

전상훈 전문가
을지대학교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동물원의 처음으로 코끼리는 언제부터 나타난 것일까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코끼리를 동물원에서 볼 수 있게 된 역사는 상당히 오래되었습니다. 최초로 기록된 코끼리의 동물원 전시는 고대 문명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고대 로마와 이집트에서 이미 코끼리를 궁정에서 기르거나 전시용으로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하지만 현대적 의미의 동물원에서 코끼리가 일반에게 공개적으로 전시된 것은 19세기 중반 이후로 보입니다. 유럽과 북미에서의 동물원 개발과 함께, 전 세계에서 다양한 동물을 수집하는 열풍이 불면서 코끼리 역시 인기 있는 전시 대상이 되었습니다. 코끼리를 동물원으로 가져오는 과정은 복잡하고 도전적입니다. 이는 크기가 크고 사회적인 동물인 코끼리의 특성 때문에 더욱 그러합니다. 역사적으로는 야생에서 포획한 후 이동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는 많은 윤리적, 생태적 문제를 야기했습니다. 현대에는 보다 엄격한 규제와 보호 조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국제적인 야생동물 거래에 관한 협약(CITES)과 같은 국제적인 협약을 통해 관리되고 있습니다. 오늘날 코끼리를 동물원에서 기르는 것은 주로 번식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인공 번식을 통해 코끼리의 지속 가능한 관리를 도모하며, 야생 개체군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려고 합니다. 이를 통해 새끼 코끼리가 태어나 동물원에서 자라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종의 보전과 교육적 목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동물원에서 코끼리를 관리하는 것은 그들의 복잡한 사회적 요구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전문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일이기도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한국에서는 왜 이구아나나 도마뱀같은게 보이지 않는 것일까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국에서 이구아나나 코모도 드래곤과 같은 대형 또는 열대 지역의 파충류가 자연적으로 관찰되지 않는 이유는 주로 기후적, 지리적 조건에 원인이 있습니다. 한국은 온대 기후대에 위치해 있으며, 겨울은 매우 추워 열대 또는 아열대 기후에서 번성하는 대형 파충류들이 적응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기후 조건은 이들 파충류의 생맂거 요구사항과 일치하지 않아 충분한 생존 및 번식 환경을 제공하지 못합니다. 게다가, 한국은 지리적으로 북반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변 바다와 육지로 둘러싸인 반도 형태이므로 대규모 생태 이동이 자연적으로 발생하기 어려운 조건을 가집니다. 이는 열대 지역의 대형 파충류가 자연적으로 한반도로 이주하는 것을 제한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한국 내에서 관찰되는 파충류는 주로 작은 크기의 도마뱀과 뱀 종류로, 이들은 한국 기후 조건에 잘 적응하여 생존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꿀벌은 정말 침을 한번 쏘면 죽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꿀벌의 침은 바브(barbs)가 있어서 대상의 피부에 깊숙이 박히게 됩니다. 바브는 톱니 모양의 뒤로 향한 돌기를 말하며, 꿀벌이 침을 쏘고 난 후에 이를 빼내려고 할때 침의 바브 때문에 침이 피부에 깊숙이 박혀 쉽게 빠지지 않습니다. 꿀벌이 침을 빼내려고 할 때 침봉(독침이 달린 부위)과 일부 내장이 함께 떨어져 나오기도 하는데, 이로 인해 심각한 손상을 입고 결국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반면, 말벌과 같은 다른 많은 벌들은 바브가 없는 침을 가지고 있어, 침을 여러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침을 쏘고도 침봉이 손상되지 않아 다시 빼내어 반복적으로 공격할 수 있습니다. 꿀벌의 이런 방어 시스템은 유기체로서는 큰 손실을 의미하지만, 군집을 보호하기 위한 집단적인 생존 전략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꿀벌은 군집의 안전을 ㅜ이해 자신의 생명을 희생하는 극단적인 예를 보여 줍니다. 이러한 특성은 꿀벌이 집단 내에서 공동의 목표를 위해 개체가 아닌 집단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사회성 곤충의 일원임을 잘 보여 줍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석유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에 대한 가설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석유의 형성에 관한 가설들 중 가장 통용되는 이론은 바이오젠 가설(Biogenic Hypothesis)입니다. 이는 석유가 고대의 유기물적 잔재에서 유래했다고 설명합니다. 이 가설에 따르면, 고대 해양이나 호수의 미생물 및 식물 플랑크톤이 사망한 후 산소가 결핍된 조건 하에서 유기물이 퇴적물 속에 매몰되어 장기간에 걸쳐 화학적 및 물리적 변화를 겪으며 석유와 천연가스로 변환됩니다. 이 과정은 키로제네시스(kerogenesis)와 카타제네시스(catagenesis)라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는 각각 유기물이 케로겐(Kerogen)으로 변하는 과정과 케로겐이 더 높은 온도와 압력에서 유화학적 화합물로 분해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반면, 아비오젠 가설(Abiogenic Hypothesis)은 석유가 지구 내부 깊숙한 곳에서 비생물학적 과정을 통해 생성된다고 주장합니다. 이 가설은 석유의 원천이 지구 깊은 곳의 맨틀에서 비롯된 탄소와 수소가 화학적 반응을 통해 생성된 탄화수소일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이 이론은 토머스 골드(Thomas Gold)에 의해 주장되었으며, 그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성된 탄화수소가 지각을 통해 상승하여 석유를 형성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바닷 속 동물들 중에서 극피동물은 어떤 동물을 지칭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극피동물(Echinodermata)은 그들의 독특한 방사상 대칭과 외부 석회질 구조로 잘 알려진 해양 무척추동물의 계통입니다. 이들은 주로 해양 바닥에서 발견됩니다. 극피동물에 속하는 대표적인 종류로는 해삼(Holothuroidea), 불가사리(Asteroidea), 성게(Echinoidea), 불가사리(Starfish), 해가시(ophiuroidea) 등이 있습니다. 해삼은 그들의 길고 원통형의 몸체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대체로 해양 바닥에서 느리게 이동하면서 유기물을 섭취합니다. 불가사리는 다섯 개 또는 그 이상의 팔을 가지고 있는 생명체로, 이 팔들은 중앙의 원반에서 방사형으로 퍼져 나와 먹이를 포획하는 데 사용됩니다. 성게는 몸 주변을 보호하는 뾰족한 가시를 가지고 있으며, 주로 해조류를 섭취하면서 생활합니다. 해가시는 몸통과 팔 부분이 뚜렷하게 구분되며, 이들은 더욱 유연하고 빠르게 움직이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극피동물들은 각기 다른 생태적 틈새를 차지하며, 해양 생태계 내에서 포식자, 분해자, 또는 기타 생태적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해양 샡애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6516526536546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