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Doctor of Public Health 전상훈입니다

Doctor of Public Health 전상훈입니다

전상훈 전문가
을지대학교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잠을 잘때 꿈을꾸는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꿈은 주로 렘 수면(REM sleep) 동안에 발생합니다. 렘 수면은 Rapid Eye Movement의 약자로, 이 단계에서는 눈동자가 빠르게 움직이고, 뇌파 활동이 깨어 있을 때와 유사하게 매우 활발합니다. 렘 수면은 수면 주기 중 여러 번 반복되며, 하나의 주기가 끝날수록 렘 수면의 지속 시간이 길어집니다. 렘 수면 동안 뇌의 특정 부분이 활성화되며, 이 중에는 시각 연관 영역, 감정을 처리하는 영역, 기억을 저장하고 처리하는 부분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뇌 영역의 활성화는 꿈의 시각적 이미지와 감정적 내용을 생성합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속도가 광속보다 빠른 것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속도가 빛의 속도보다 빠른 경우에 대한 질문은 현대 물리학, 특히 상대성 이론에서 매우 흥미로운 주제 입니다. 일반적으로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빛의 속도는 우주에서 어떤 정보나 물체가 이동할 수 있는 최대 속도입니다. 이 속도 이상으로 물체가 이동하는 것은 이론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여겨집니다. 빛의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한다는 가정 하에,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는 시간이 허수(imaginary number)가 될 수 있다는 수학적 결과가 나옵니다. 이는 시간을 나타내는 수식에서 제곱근 내의 값이 음수가 되기 때문입니다. 상대성 이론에서 시간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됩니다 : τ = sqrt(1 - (v/c)²) * t 여기서, τ는 이동하는 물체의 시간, v는 물체의 속도, c는 빛의 속도, t는 정지한 관찰자의 시간입니다. 속도 v가 빛의 속도 c를 초과하면 (v/c)²의 값이 1을 초과하게 되어 1 - (v/c)²는 음수가 되고, 이 때문에 제곱근의 값이 허수가 됩니다. 속도가 빛보다 빠를 경우 차원이 바뀐다는 표현은 일반적인 물리학적 설명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이러한 상황은 이론적으로만 탐구될 뿐이며, 물리적 현실에서는 관측되거나 증명된 바 없습니다. 이론적 모델에서 "차원이 바뀐다"는 개념보다는 "시간의 특성이 변한다"로 묘사하는 것이 더 정확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특정 유전자 변이가 질병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특정 유전자 변이가 질병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전학과 면역학의 중요한 연구 주제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유전적 요인이 개인의 질병에 대한 취약성 또는 저항성을 어떻게 결정하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대표적인 예를 몇가지 들어 유전자 변이가 질병에 대한 저항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열거해드리겠습니다.지중해 빈혈은 혈색소의 이상 생산과 관련된 유전 질환이며, 특히 베타-탈라세미아는 이 질환의 일종입니다. 베타-탈라세미아 유전자 변이를 가진 사람들은 빈혈 증상을 보이지만, 이 변이가 말라리아에 대한 특별한 저항성을 제공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말라리아 원충이 적혈구를 감염시키는 데 있어 탈라세미아로 인해 변형된 적혈구는 원충의 생존과 번식을 어렵게 만듭니다. 이러한 생리적 변화는 말라리아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서 유전자 변이가 세대를 거치며 자연 선택의 결과로 유지되는 이유를 설명해 줍니다. 인간 백혈구 항원(Human Leukocyte Antigen ; HLA) 복합체는 면역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정 HLA 유전자 변이는 특정 자가면역 질환에 대한 저항성 또는 취약성을 결정 짓습니다. 예를 들어, HLA-B27 변이는 강직성 척추염의 발병 위험을 높이지만, 다른 면역 관련 질병에 대해서는 보호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인간의 식습관 변화가 장내 미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인간의 식습관이 장내 미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며, 최근 연구에서는 이 관계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고 있습니다. 식습관은 장내 미생물의 구성 및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서구화된 식단 즉 고지방, 고단백, 고가공 식품이 많고, 섬유질이 부족한 식단은 장내 미생물 군집에 상당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서구식 식단은 일반적으로 섬유질이 적고 지방과 단백질이 높습니다. 섬유질은 장내 좋은 미생물의 성장을 촉진하며, 이들 미생물은 섬유질을 발효하여 단쇄지방산을 생성합니다. 섬유질이 부족할 경우 이러한 유익한 미생물의 다양성과 수가 감소하며, 이는 장내 환경의 건강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새들은 왜 앞으로 걸어 다닐때 목을 앞뒤로 움직여야만 하나요 ?
안녕하세요. 새들이 걷는 동안 머리를 앞뒤로 움직이는 행동은 주로 시각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러한 행동 패턴은 시각 정보의 연속성을 보장하고, 더욱 효과적으로 주변 환경을 관찰할 수 있게 합니다. 새들의 이러한 머리 움직임은 특히 동적인 환경에서의 시각적 초점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77177277377477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