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제는) 은(퇴한) 수(의사) 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는) 은(퇴한) 수(의사) 입니다.

이은수 전문가
프리랜서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암수가 없는 식물도 많은건지 궁금합니다
네, 자웅동주 식물은 암꽃과 수꽃이 한 나무에 함께 피어납니다. 예를 들어, 소나무는 암꽃과 수꽃이 같은 나무에 피며, 옥수수도 수꽃은 줄기 끝에, 암꽃은 줄기 중간에 달립니다. 호박이나 오이도 자웅동주 식물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혈액형이 왜 아주 다양화되지 않은건가요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의 항원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데, ABO 혈액형 시스템은 A, B 항원의 유무에 따라 결정되므로 세 가지 조합만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매미는 숫매미만 운다고 하는데 그이유는
수컷 매미만 우는 이유는 암컷을 유인하여 짝짓기를 하기 위해서입니다. 수컷 매미의 발성 기관은 암컷을 유혹하는 소리를 내는 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혈액형에 따라서 바이러스 면역도가 왜 다른건가요
혈액형에 따라 적혈구 표면의 당 사슬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세포에 결합하고 침투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쳐 면역도에 차이가 발생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혈액형이 왜 A B C가 아니고 O형이 있는건가요
과거에는 혈액형을 A, B, C형으로 분류했지만, C형 혈액에는 A형이나 B형 항원이 없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없다'는 의미의 독일어 'Ohne'의 첫 글자를 따서 O형으로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Rh항원이 실제50개가 넘는다는데 어떤 항원이 문제가 있나요
Rh 항원 중 임상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D 항원입니다. Rh 양성과 음성을 구분하는 기준이 바로 D 항원의 유무이며, D 항원이 없는 Rh 음성 혈액을 가진 사람이 Rh 양성 혈액을 받을 경우, D 항원을 외부 항원으로 인식해 면역 반응이 발생합니다. 이는 항-D 항체를 생성하여 이후 Rh 양성 혈액과 접촉 시 심각한 항원-항체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다른 Rh 항원들도 존재하지만, 대부분은 D 항원만큼 강력한 면역 반응을 유발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임상적 중요성이 낮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혈액형마다 항원 항체반응의 구체적인 원인이 무엇인가요
혈액형에 따라 적혈구 표면에는 특정 항원이 존재하며, 혈장에는 해당 항원에 반응하는 항체가 없지만, 다른 혈액형의 항원에 반응하는 항체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A형 혈액은 A항원이 있고 항-B항체를 가지며, B형 혈액은 B항원이 있고 항-A항체를 가집니다. 다른 혈액형이 수혈되면 항원이 체내 항체와 결합하여 적혈구 응집 및 파괴를 유발하는 면역 반응이 일어납니다. 이는 체내 면역체계가 "자기"와 "비자기"를 구분하여 외부 물질로 인식된 항원을 공격하기 때문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동물들은 혈액형이 어떤식이고 사람과 차이가 무엇인가요
동물들도 각자 고유한 혈액형이 있으며, 이는 사람과 달리 종마다 다른 항원 시스템에 따라 분류됩니다. 예를 들어, 개는 13개 이상의 혈액형(DEA 시스템)이 있고, 고양이는 A, B, AB 세 가지 혈액형이 있습니다. 소와 말도 각각 10종 이상의 복잡한 혈액형 시스템을 가지며, 이들은 수혈 시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사람의 혈액형이 ABO와 Rh 시스템으로 구분되는 것과 달리, 동물은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항원의 특성이 종마다 다르게 발달한 것이 주요 차이점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지렁이나 달팽이 같이 암수가 한 몸인 자웅동체 생물이 있는데요. 물고기중에도 자웅동체 생물이 있나요?
네, 물고기 중에도 자웅동체 생물이 존재합니다. 대표적으로 농어목의 일부 물고기들이 자웅동체에 해당하며, 암수 생식기를 동시에 가지거나, 필요에 따라 성별을 바꾸는 특징을 보입니다. 특히 망둑어류나 일부 흰동가리(예: 니모로 알려진 클라운피쉬)는 환경적 요인에 따라 성별이 변하거나 양성 생식을 할 수 있는 사례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생존과 번식을 극대화하기 위한 진화적 전략으로 여겨집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7만년전 인류가 2천명이하로 멸종할 뻔 이유가 무엇인가요
7만 년 전 인류가 멸종 위기에 처했던 주된 이유는 초대형 화산 폭발로 알려진 토바 화산 폭발로 인해 지구 기온이 급격히 하락하며 발생한 생태적 위기 때문입니다. 이 화산 폭발로 엄청난 양의 화산재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면서 태양광이 차단되어 지구는 "화산 겨울" 상태에 들어갔고, 이로 인해 생태계가 붕괴하며 식량 부족과 생존 환경 악화가 심각해졌습니다. 이러한 환경적 스트레스가 인류 개체 수 감소로 이어졌다고 추정됩니다.
106110621063106410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