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형에 따라서 바이러스 면역도가 왜 다른건가요
혈액형에 따라서 바이러스나 질병의 면역도가 다른특징을 보인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혈액형애 따라 왜 바이러스 면역도가 왜 다른 특징을 보이나요
안녕하세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코로나19) 사태 이후 특정 혈액형과 감염력, 중증도 등의 관계를 연구한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었었는데요, A형이 코로나19에 잘 감염되고 중증 발전 가능성이 높은 반면, O형은 코로나19에 다른 혈액형 사람보다 강하다는 연구들이 대표적인 사례들로 손꼽힙니다. A형은 코로나19에 취약하고 중증으로 진전되기 쉬운 혈액형으로 분류되는데요, 션 스토웰 미국 하버드대 의대 브리검여성병원 연구원팀은 A형 혈액을 가진 사람이 코로나19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블러드 어드밴시스에 공개한 바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코로나19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용체 결합 도메인(RBD)’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해왔는데요,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표면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용체 결합 영역(RBD)을 숙주세포 표면의 수용체(ACE2)에 결합하면서 체내에 침투하게 됩니다. 스토웰 교수팀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수용체 결합 도메인(RBD)’이 A와 B, O형 혈액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 지 실험했으며, 그 결과 RBD가 다른 혈액형에 비해 A형 혈액에 더 잘 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혈액은 적혈구 표면에 있는 항원 단백질의 유무와 조합에 따라 A형, B형, AB형, O형으로 분류되는데요, 예를 들어 A형 혈액은 A형 항원과 B형 항체를 갖고 있고 B형 혈액은 반대로 B형 항원과 A형 항체 갖고 있습니다. 연구팀은 A형 혈액의 항원이 RBD와 더 잘 결합해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고 분석했습니다. 하지만 한편에선 이를 반박하는 연구 결과도 나왔는데요, 코로나19와 혈액형과 관련이 없다는 유전자 분석결과입니다. 코로나19 환자의 유전체(게놈·한 생명체가 지닌 유전물질 전체)를 분석하는 203개 팀이 참여한 자발적 국제 연구 협력 프로젝트인 ‘코로나19 환자유전학이니셔티브(COVID-19 hg)'는 코로나19 환자와 정상인(대조군)의 유전체 데이터를 각각 대량으로 확보한 뒤 비교해 유독 환자군에서 더 많이 발견되는 염기서열 영역을 찾는 분석을 진행했으며, 그 결과 ABO 혈액형을 결정하는 유전자가 존재하는 영역과 코로나19 환자와의 유의미한 연결고리는 찾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혈액형에 따라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면역 반응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적혈구 표면의 항원과 바이러스의 상호 작용, 면역 세포의 활성도 차이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혈액형 항원은 바이러스가 세포에 부착하는 데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특정 혈액형의 경우 바이러스가 세포에 더 잘 부착되거나 덜 부착될 수 있습니다. 또한, 혈액형에 따라 면역 세포의 활성도나 사이토카인(면역 조절 물질) 생성량에 차이가 나타나면서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방어 능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영향은 바이러스의 종류, 개인의 유전적 배경,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복잡하게 상호 작용하기 때문에 특정 혈액형이 특정 바이러스에 대해 항상 더 강하거나 약한 것은 아닙니다. 혈액형과 감염 질환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진행 중이며,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분야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혈액형에따라 다른 항원에의한 차이일 수 있습니다.
연구에따르면 코로나바이러스의경우 O형의 중증도가 더 낮은경향이 있는데, 혈액 내 항원에의해 증식이 방해될 수 있기때문이라고합니다.
혈액형에 따라 적혈구 표면의 당 사슬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세포에 결합하고 침투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쳐 면역도에 차이가 발생합니다.
혈액형에 따라 바이러스나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 다르다는 주장은 오랫동안 제기되어 왔지만 이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과학적인 증거도 충분하지 않습니다. 즉, 과학적인 증명은 없는 상황입니다.
혈액형과 면역력에 관계가 있다는 주장에 대한 근거는 설명드릴 수 있을 듯 합니다.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의 당 단백질 종류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러한 당 단백질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우리 몸에 침입할 때 첫 번째로 접촉하는 부분입니다. 즉, 혈액형에 따라 이 당 단백질의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특정 바이러스가 특정 혈액형의 세포에 더 잘 달라붙거나 덜 달라붙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혈액형에 따라 면역 체계가 특정 병원체에 대해 다르게 반응할 수 있다는 가설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혈액형을 가진 사람은 특정 항체를 더 많이 생성하거나, 염증 반응이 더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죠.
실제 일부 연구에서는 특정 혈액형이 특정 질병에 더 취약하거나, 반대로 더 강한 저항력을 보인다는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예를 들어, A형은 장독소형 병원성 대장균에 감염되기 쉽고, O형은 노로바이러스에 쉽게 감염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앞서도 말씀드렸지만,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아직까지 결과가일관되게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즉, 원인이 혈액형이라는 결과를 도출할 수 없고 결과가 연구자에 따라 크게 다르게 나타나는 상황인데, 혈액형 외에도 유전적 요인이나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요소들이 면역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혈액형이 바이러스 면역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은 있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과학적인 증거는 아직 부족한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혈액형에 따라서 바이러스나 질병의 면역도가 다른다는 연구는 근거가 떨어져 보입니다.
결국 혈액성의 구분은 각 혈액형의 항체 여부에 따라서 결정이 되기 떄문이죠
면역력은 혈액형 보다는 평소 식습관과 운동이 중요할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