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성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성영 전문가입니다.

이성영 전문가
단국대학교/치의학과
신경과·신경외과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Q.  사랑니발치신경마비가올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사랑니를 발치할 때 항상 신경손상이 오는 것은 아니며, 사랑니의 뿌리가 아랫턱 큰신경과 붙어있는 경우 등에서 신경손상의 가능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주의깊게 사랑니를 발치함으로써 신경손상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발치시 신경이 일시적으로 눌림으로써 일시적인 신경손상이 발생합니다.신경손상이 발생하면 치과 마취를 한 느낌이 그대로 지속되며, 이런 경우에는 신경이 절단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대부분은 일시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회복되며 약 복용 등을 통해 회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하지만 신경이 눌린 경우에 낮은 확률로, 혹은 부주의한 수술로 신경에 손상이 생긴 경우 등에서는 신경이 영구적으로 회복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성형외과
성형외과 이미지
Q.  교정장치 부착시 썼던 접착제가 이에남아있는데 스케일링으로 제거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해당 재료는 치아와 접착을 한 상태로, 스케일링만으로는 제거되지 않습니다. 별도로 해당 재료를 갈아내는 처치가 필요합니다.치아 표면의 접착재료를 원래 교정을 진행했던 치과가 아닌 다른 치과에서 제거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작은어금니쪽이 시려요 방법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해당 증상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우선, 치과에 내원하셔서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시리다고 내원하시는 경우들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1. 잇몸염증이나 치주염으로 잇몸이 들뜬 경우 - 잇몸이 부어 치아와의 접촉이 약해짐으로써 치아 뿌리에 자극이 노출되어 시린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치과에 내원하여 스케일링이나 필요시 잇몸치료 등의 치료를 통해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2. 치경부(치아의 잇몸의 경계부분)가 마모된 경우 - 치경부는 치아의 가장 바깥쪽 물질인 법랑질(에나멜)이 가장 얇은 부위로, 단단한 음식이나 질긴 음식을 즐겨 드시거나 씹는 힘이 강한 경우, 칫솔질을 좌우로 심하게 하는 경우 등, 마모가 가속화되어 법랑질 다음 층인 상아질이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시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3. 그외 치아의 다른 부위에 깨진 부위나 금이 간 경우단순히 잇몸이 좋지 않아 찬물이나 뜨거운 물에 시린 경우에는 스케일링이나 잇몸치료 등으로 호전될 수 있으나, 치주염이 심한 경우에는 치료가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치아에 이상이 생겨 예민해진 경우 초기에는 찬물에 시리거나 통증이 있을 수 있으며 뜨거운 물에는 반응이 없지만(급성 치수염), 신경이 점점 변성되어 가면서 점점 찬물에 대한 반응은 약해지고 뜨거운 물에 대한 반응이 커질 수 있습니다(만성 치수염). 급성인 경우에는 단순히 자극을 제거하는 것으로(ex. 떼워주는 등의 치료) 치료가 종결되지만, 만성 치수염의 경우 자극을 제거하더라도 신경이 변성되어 되돌아오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신경치료가 필요합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이가 시려요. 충치가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해당 증상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우선, 치과에 내원하셔서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시리다고 내원하시는 경우들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1. 잇몸염증이나 치주염으로 잇몸이 들뜬 경우 - 잇몸이 부어 치아와의 접촉이 약해짐으로써 치아 뿌리에 자극이 노출되어 시린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치과에 내원하여 스케일링이나 필요시 잇몸치료 등의 치료를 통해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2. 치경부(치아의 잇몸의 경계부분)가 마모된 경우 - 치경부는 치아의 가장 바깥쪽 물질인 법랑질(에나멜)이 가장 얇은 부위로, 단단한 음식이나 질긴 음식을 즐겨 드시거나 씹는 힘이 강한 경우, 칫솔질을 좌우로 심하게 하는 경우 등, 마모가 가속화되어 법랑질 다음 층인 상아질이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시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3. 그외 치아의 다른 부위에 깨진 부위나 금이 간 경우단순히 잇몸이 좋지 않아 찬물이나 뜨거운 물에 시린 경우에는 스케일링이나 잇몸치료 등으로 호전될 수 있으나, 치주염이 심한 경우에는 치료가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치아에 이상이 생겨 예민해진 경우 초기에는 찬물에 시리거나 통증이 있을 수 있으며 뜨거운 물에는 반응이 없지만(급성 치수염), 신경이 점점 변성되어 가면서 점점 찬물에 대한 반응은 약해지고 뜨거운 물에 대한 반응이 커질 수 있습니다(만성 치수염). 급성인 경우에는 단순히 자극을 제거하는 것으로(ex. 떼워주는 등의 치료) 치료가 종결되지만, 만성 치수염의 경우 자극을 제거하더라도 신경이 변성되어 되돌아오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신경치료가 필요합니다.
피부과
피부과 이미지
Q.  백신 맞은 부위는 긁으면 안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주사를 맞은 부위는 주사로 인해 피부에 상처가 생긴 상태기 때문에, 손으로 긁는 등의 행동을 통해 손의 세균이 해당 상처부위를 통해 2차 감염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마찬가지 이유로 접종 당일은 샤워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성형외과
성형외과 이미지
Q.  어금니 임플란트했는데 통증이생기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해당 증상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은 불가능합니다.다만 임플란트 자체의 문제보다는, 임플란트 주위의 염증의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임플란트를 식립한 경우에는 본래 치아보다 음식이 끼기 쉽고 빠져나오기 어려워, 관리가 잘 되지 않는 경우에는 임플란트 주위의 염증이 쉽게 생길 수 있습니다.염증이 심해진 경우에는 치아와 마찬가지로 임프란트 주위의 뼈의 파괴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치과에 내원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피부과
피부과 이미지
Q.  이빨 발치한 부분에 이물질이 들어갔는데 이거 어떡하죠??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발치 부위에 음식물 찌꺼기가 들어가 나오지 않는 경우 세균이 증식하여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런 경우에는 이쑤시개 등을 이용하여 무리하게 빼는 경우 잇몸의 상처 등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이보다는 가글을 통해 빼는 것이 좋습니다.그럼에도 잘 나오지 않는 경우에는 생리식염수와 주사기를 이용하여 해당 발치 부위 안쪽으로 뿌려주시면 쉽게 나옵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귀에서 딱 딱 소리가 나는데...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해당 증상은 청력 약화 등에 의해 발생하는 이명의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이명은 귀에서 들리는 소리에 대한 주관적인 느낌을 말합니다. 즉, 실제로 외부에서 소리가 없는 상황에서 소리가 들린다고 느끼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원인에 따라 주변사람에게도 들리는 경우도 있고 들리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이는 환청과는 다르며, 환청은 음악이나 목소리 등 의미가 있는 소리가 들리는 반면 이명은 '삐-'하는 소리나 '윙-' 하는 소리 등 의미가 없는 소리가 들립니다.청각신경의 손상이나 종양, 귀의 염증, 뇌질환, 두경부 외상, 치매 등의 뇌질환, 약물 복용, 전신질환, 스트레스나 피로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피로나 스트레스 등에 의해 일시적으로 나타난 경우는 충분한 휴식으로 증상이 사라지지만, 증상이 완화되지 않을 경우에는 신경안정제, 항우울제, 진정제 등의 약물로 치료를 하며, 보청기나 이명차폐기를 사용할 수 있고, 이명 재훈련 치료, 회피요법, 수술적 방법으로 치료를 시행합니다.증상이 지속될 경우 정확한 검사 및 치료를 위해 이비인후과나 신경외과에 내원하시는 것이 좋습니다.평소에 이명을 유발할 수 있는 음식이나 약물의 복용을 피하는 것이 좋으며 스트레스와 피로의 관리가 필요하고 금연, 금주 하셔야 합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코로나 백신 접종 후 무증상일때 항체가 형성 안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최근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백신 접종 후의 이상반응 여부나 정도가 항체 생성률과 관련이 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라는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접종 후 아무런 증상이 없다고 해서 심한 증상을 나타낸 경우에 비해 항체 생성률이 떨어지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접종 후 심한 발열이나 근육통 등이 나타났다고 하더라도 항체 생성률이 높은 것은 아니라고 하였습니다.다만 나이가 어리거나 여성에서 이상 반응이 좀 더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는 결과를 보고하였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코로나백신맞으면타이레노ㄹ먹어야된다는데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 접종 후 발열이나 근육통으로 타이레놀 복용했을 하더라도 백신 효과에는 큰 영향이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또한 백신 접종 후 발열이나 근육통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경우가 많아 해열 진통제인 타이레놀의 복용이 권장되기도 합니다. 백신 접종 후 타이레놀을 접종하지 않는다고 해서 백신 효과가 떨어지는 것은 아니고, 백신 접종 후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 발열과 근육통이기 때문에, 해열진통제인 타이레놀의 복용이 권장되는 것으로, 해당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라면 타이레놀을 복용할 필요는 없습니다.타이레놀의 주성분은 아세트아미노펜으로, 해열진통작요을 하지만 소염작용이 없어 백신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타이레놀이 없는 경우라면 아세트아미노펜 계열의 대체약을 복용하셔도 무방합니다.하지만 백신 전에 복용하는 경우 면역력이 떨어져 백신 접종 후 충분한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있습니다.때문에 백신 접종 전에 미리 타이레놀을 복용하기 보다는, 백신 접종 후에 발열이나 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라면 타이레놀을 복용하시면 되겠습니다.
6166176186196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