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전문가
CELL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입에서 역류한 침이 눈까지 갈수도 있나요?
먼저 입에서 역류한 침이 눈까지 가는 경우는 정말정말 드뭅니다.물론 눈과 코, 입은 연결되어 있지만, 그 연결 경로는 침이 쉽게 넘어갈 수 있는 구조는 아닙니다.눈물은 눈물샘에서 나와 눈을 적신 후, 눈물점과 눈물소관을 거쳐 코 안의 비루관으로 배출됩니다. 이 경로는 눈물 배출을 위한 일방통행에 가깝습니다.또한 코와 입은 비강과 구강으로 나뉘며, 비인두를 통해 연결되지만, 침이 코를 넘어 눈까지 거슬러 올라가기는 무척 어렵습니다.따라서 베개에 얼굴을 박은 상태에서 침이 코로 역류했다고 하더라도, 그 침이 눈까지 직접 들어가서 눈을 자극했거나 두통을 유발했을 가능성은 낮습니다.결론적으로, 침이 코로 역류한 상황과 머리 통증은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침이 눈으로 직접 넘어가서 통증을 유발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오히려 코 점막 자극이나 부비동 압력 변화, 또는 자세로 인한 근육 및 신경 압박 등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모기 등이 사람 몸 주변에 멤도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네, 사람은 모기 같은 벌레가 꼬일 수 밖에 없는 물질을 방출하는데, 바로 호흡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입니다.사람이 숨을 쉴 때 내뱉는 이산화탄소는 모기가 먹이를 찾는 데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모기는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를 감지하여 먹잇감을 찾아내는데, 특히 밤에 모기가 사람을 쉽게 찾아내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또한 사람의 피부에서 분비되는 땀에는 젖산, 암모니아, 카르복실산 등의 다양한 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물질들이 모기를 끌어모으게 되는데, 사람마다 체취를 구성하는 화학물질의 종류와 비율이 다르기 때문에, 어떤 사람은 모기에 더 잘 물리고 어떤 사람은 덜 물리는 경향을 보이기도 하는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바퀴벌레는 죽어도 알을 깔 수 있나요?
바퀴벌레는 죽으면서도 알을 낳거나, 알주머니를 분리할 수 있습니다.그리고 그 알주머니는 조건만 맞다면 부화가 가능한 것이죠.암컷 바퀴벌레는 생명의 위협을 느끼거나 죽음에 임박하면 몸에 지니고 있던 알주머니를 떨어뜨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종족 번식을 위한 본능적인 행동입니다. 게다가 암컷이 살충제 등을 먹고 죽었을 경우, 그 알집에서 부화하는 새끼들은 해당 독극물에 내성을 가질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하지만 어떤 환경에서든 알주머니가 부화하는 것은 아닙니다. 알주머니는 따뜻하고 습한 환경에서 부화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서 말씀하신 정화조는 어둡고 습하며 온도가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는 환경이라 바퀴벌레 알이 부화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될 수도 있는 것이죠.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지금 살아있는 새 중 가장 큰 알을 낳는 새가 타조라면 파충류 중에서는 누가 제일 큰 알을 낳아요?
답변에 오류가 있어 수정합니다.현존하는 파충류의 알 중 가장 큰 알은 코모도왕도마뱀의 알입니다.앞서 말씀드린 바다악어보다 큰 평균 11.25cm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한번에 15~30개정도의 알을 낳아 7~8개월 후 부화하게 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먹이사슬에서 기생연쇄는 어떤 것을 말하는건가요?
기생 연쇄란 생산자로부터 시작하여 점차 몸집이 작은 개체로 이어지는 연쇄를 의미합니다. 보통 먹이사슬이 생산자에서 1차 소비자를 거쳐 2차 소비자로 이어질 때는 몸집이 커지거나 비슷해지는 형태로 이어지는 것에 비해 대조적이죠.기생 연쇄는 주로 몸집이 큰 숙주 생물로부터 시작됩니다. 이 숙주는 생산자일 수도 있지만, 다른 동물을 잡아먹는 소비자일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숙주로부터 그 숙주에 기생하는 생물, 그리고 그 기생 생물에 다시 기생하는 더 작은 생물로 이어지는 형태로 진행됩니다. 쉽게 말해, 큰 개체에서 작은 개체로 에너지가 전달되는 방식입니다.그래서 일반적인 포식-피식 관계에서는 에너지가 상위 영양단계로 이동할수록 크게 감소하지만, 기생 연쇄에서는 숙주 한 개체에 여러 기생 생물이 붙어살기 때문에 에너지 전달 효율이 다소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현실에서도 기생 연쇄는 매우 흔하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숲의 사슴이나 소와 같은 대형 포유류에게는 진드기가 기생합니다. 이 진드기의 몸속에는 또 다른 미생물이 기생하여 진드기를 통해 숙주에게 질병을 옮기기도 합니다. 이 경우, 포유류(숙주)에서 진드기(기생 생물)를 거쳐 미생물(초기생 생물)의 기생 연쇄가 성립되는 것입니다.
2062072082092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