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에 멸종위기 종으로 지정된 것들은 무엇이며 몇종이나 되나요?
2023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된 종은 총 282종입니다.멸종위기 야생생물은 서식지 파괴, 남획, 기후 변화 등의 원인으로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을 의미하며, 멸종위기종은 법정 보호종으로, 멸종위기 야생생물1급과 2급으로 나뉩니다.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은 멸종 위기 정도가 심각하여 현재의 위협 요인이 제거되지 않을 경우 멸종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종입니다. 대표적인 포유류에는 늑대, 대륙사슴, 바다사자, 반달가슴곰, 붉은박쥐, 사향노루, 산양, 수달, 스라소니, 여우, 표범, 호랑이가 포함되어 있으며, 조류에는 황새, 노랑부리저어새, 두루미, 흑두루미, 매, 참매, 독수리, 흰꼬리수리, 검은머리갈매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은 현재의 위협 요인이 지속될 경우 가까운 미래에 멸종될 가능성이 높은 종입니다. 역시 대표적으로 포유류에는 담비, 무산쇠족제비, 물개, 물범, 삵, 작은관코박쥐, 큰바다사자, 토끼박쥐, 하늘다람쥐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Q. 바다에 사는 신비한 생물이라고 하면 해마가
결론부터 말씀드려 해마는 물고기입니다.해마는 분명 독특한 생김새를 가지고 있지만, 분명한 물고기의 특징들을 가지고 있습니다.아가미 호흡이나 지느러미, 비늘, 알을 낳아 번식, 일생을 물속에서 보내는 등 물고기의 특징을 가지고 있고 실제 물고기로 분류됩니다.물론 해마는 다른 물고기들과는 다른 독특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습니다.대부분의 물고기와 달리 몸을 세우고 헤엄치며 꼬리를 이용하여 해초나 산호에 몸을 고정하고 암컷이 수컷의 배에 있는 주머니에 알을 낳으면 수컷이 부화시켜 새끼를 낳습니다.이러한 특징들은 해마가 다른 물고기들과는 다른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진화한 결과라고 할 수 있긴 하지만 결론적으로 해마는 분명한 물고기입니다.
Q. 물벼룩도 딸기즙, 달걀 노른자, 소주에 영향을 미치나요?
먼저 물벼룩은 인간과 소화 체계가 다르지만, 세포 수준에서는 유사한 부분이 많습니다. 물벼룩도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생화학적 반응은 인간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따라서 딸기즙, 달걀 노른자, 소주에 들어있는 특정 성분이 물벼룩 세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그러나 이를 단정지어 말할 수는 없습니다.무엇보다 딸기즙, 달걀 노른자, 소주에 들어있는 어떤 성분이 물벼룩의 심장 박동수를 감소시킨 것인지 정확하게 밝히기는 어렵습니다. 다양한 성분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게다가 실험 물질이 물벼룩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정확하게 파악하기는 어렵습니다. 심장 박동수 감소 외에 다른 생리적 변화가 일어났을 수도 있습니다.또한 실험 자체도 문제가 있어보입니다. 각 물질을 어떤 농도로, 얼마나 오랫동안 물벼룩에게 노출시켰는지 정확하지가 않습니다.특히 아무 물질도 처리하지 않은 물벼룩의 심장 박동수를 측정해야 합니다. 즉, 대조군과 비교해야 실험 물질의 효과를 정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또한 한번의 실험으로 결과를 얻을 수는 없습니다. 반복실험이 필요합니다.마지막으로 물벼룩 개체별로 심장 박동수 변화가 어떻게 나타났는지도 중요합니다. 개체 차이가 크다면 결과 해석에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