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백신 불평등 및 보급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백신 불평등이란 백신 개발 및 생산 능력, 구매력 등의 차이로 인해 국가 간 또는 국가 내에서 백신 접근성에 불평등이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저소득 국가나 개발도상국에서 백신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발생합니다.그리고 백신 보급 문제는 백신이 개발되고 생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필요한 사람들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백신 생산량 부족, 유통망 미비, 냉장 보관 시설 부족, 의료 인력 부족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백신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백신의 생산능력을 확대하고, 백신 배분 시스템을 국제 협력기구를 통해 재구축할 필요가 있습니다.그리고 백신불평등이 해결되어야 하는 이유라면 무엇보다 인도적 차원이 큽니다. 즉, 감염병으로부터 모든 사람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고, 팬데믹 상황을 종식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이죠.
Q. 감염병 대응과 의료 인프라 개선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보통 감염병에 대한 대응은 예방, 치료, 관리 이렇게 세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일반적으론 감염병 예방은 백신 접종, 개인위생 관리, 감염병 유행 시 정보 제공 및 행동 요령 안내 등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치료는 그 이름 그대로 환자 격리 및 치료, 의료진 감염 관리, 치료제 개발 및 공급 등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마지막으로 관리는 감염병 발생 현황 감시, 역학 조사, 감염병 확산 방지 조치 등을 통해 이루어집니다.그리고 이러한 세단계의 감염병 대응을 위해서는 충분한 의료 인프라가 필수적입니다. 의료 인프라 개선은 병상 확보, 의료 인력 양성, 의료 장비 확충, 감염병 전문 병원 설립 등을 포함하고 있죠.만일 충분한 의료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은 상태라면 앞서 말씀드린 세단계의 대응은 효과적으로 이뤄질 수 없으며 펜데믹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입니다.
Q. 새우는 간(肝, liver)이 없다는데 진짜인가요?
네, 새우는 간이 없습니다. 하지만, 간의 기능을 하는 기관이 있는데, '중장선'이라는 기관입니다.즉, 새우는 간이 없지만, 소화와 해독 작용을 담당하는 '중장선'이라는 기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장선은 간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며, 새우의 생존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죠.그러나 중장선이 간의 기능을 완벽하게 대신하지는 못하며, 간에 비해서는 해독 등력이나 소화효소의 생산 등이 제한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