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평안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평안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전진환 전문가
한의원 원외탕전실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2년 9월 3일 작성 됨
Q.
과민성대장증후군 어떤한약이 좋을지
안녕하세요. 전진환 한약사입니다.우선 한의원 내원도 괜찮지만 약국에서 먼저 시도해봄직한 한약제제들을 추천드리고자 합니다.과민성 대장증후군이 있어 설사와 복통이 지속된다면 "위풍탕" 제제(제품 예 : 장편환, 편장환 등)이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과민성 대장증후군 외에도 상복부(명치) 부근도 불편하고 배에서 소리가 자주 나는 편이시면 "반하사심탕" 제제도 복용하시면 괜찮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특히 위풍탕 제제는 장염 기운에도 많이 나가는 약이기 때문에 약국에서 쉽게 구하실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감사합니다!
2022년 9월 3일 작성 됨
Q.
당뇨,고혈압의 경우 한약도 평생 먹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전진환 한약사입니다.우선 당뇨나 고혈압이 아닌 경우에도 한약을 지속적으로 계속 복용하는 것은 간에 무리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당뇨나 고혈압에 복용하는 양약은 대체로 약리작용을 보이는 단일성분으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간에서 대사를 거쳐 배설되는 과정이 비교적 쉽습니다.하지만 한약은 여러가지 약재가 혼합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간에서 대사를 거치는 과정이 복잡한 경우가 잦습니다. 즉, 약동학적으로 한약은 몸에서 대사가되어 배출되는 과정까지 부담이 많기 때문에 평생 복용하는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감사합니다!
2022년 9월 3일 작성 됨
Q.
유아 녹용 섭취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전진환 한약사입니다.녹용은 성장부진인 유아에게 효과적인 약재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혈액순환과 신진대사를 돕기는 하지만 이로 인해 열이 오르는 현상이 간혹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녹용은 식품으로 구할 수도 있어 쉽게 접할 수 있지만 과한 용량을 복용했을 때에는 앞서 말씀드린 열감, 홍조 등의 부작용이 일어날 우려가 있습니다.따라서 자녀분이 녹용을 섭취하게 된다면 이전에 한의원에서 상담을 통해 적당량의 녹용 섭취량을 논하실 필요가 있다고여겨집니다. 감사합니다!
2022년 9월 3일 작성 됨
Q.
인삼을 복용할 때 체질마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전진환 한약사입니다.우선 홍삼은 인삼을 쪄서 말린 것으로 주성분인 진세노사이드의 함량 및 구성에 약간의 변화가 생깁니다. 따라서 수삼에 비해 홍삼은 부작용이 덜한 것은 사실입니다. 다만 홍삼도 인삼의 성분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부작용에서 완벽히 자유롭지는 않습니다.인삼이나 홍삼을 복용할 때 주의해야할 점은 고혈압약을 복용 중인 환자와 당뇨약을 적용 중인 환자는 인삼이나 홍삼을 피해야합니다.인삼이나 홍삼은 혈압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고혈압약을 복용 중인 환자는 고혈압약의 효과가 경감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인삼과 홍삼은 혈당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어 당뇨약을 적용중이라면 저혈당이 올 수 있습니다. 간혹 인삼과 홍삼이 혈당을 높인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인삼 자체가 혈당을 높이진 않으며 부재료로 첨가된 당 성분으로 인한 혈당상승이라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감사합니다!
2022년 9월 3일 작성 됨
Q.
차즈기 효능에 대해 알고 싶읍니다.
안녕하세요. 전진환 한약사입니다.우선 차즈기는 본초학에서 자소엽으로 불리우는 약재입니다. 본래 차즈기는 어패류를 먹고난 뒤 생기는 식중독 증세를 해결하는데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피부에 강한 항염증작용이 있어 화장품의 원료로도 종종 사용됩니다.차즈기가 눈에 좋은 것으로 알려진 것은 최근의 연구 결과입니다. 차즈기의 루테올린 성분은 눈의 모양체근에 작용하여 눈의 피로를 해결해주는데 좋은 역할을 합니다. 말씀주신 루테인은 차즈기의 루테올린 성분과 다르게 눈의 황반변성을 막아 시력이 감퇴하는 것을 막는 역할이 주가 됩니다. 따라서 차즈기는 시력감퇴보다는 눈의 피로를 회복할 때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차즈기는 건조한 상태로 하루 20g을 넘지 않고 차로 우려내어 드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과량 복용시 갈증이 생길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감사합니다!
176
177
178
179
18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