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에게 감정을 잘 조절하지 못하는데 정서적 안정감을 주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놀이심리상담사입니다.아이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주기 위해서는 감정을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정 카드나 그림책을 통해 다양한 감정을 배울 수 있게 해주세요. 감정을 표현할 때 비판하지 말고, "슬펐구나" "화가 나셨구나"와 같이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 주세요. 또한, 규칙적인 일상과 안정된 환경을 제공해 주며, 스트레스가 있을 때는 심호흡이나 간단한 명상 등을 통해 진정할 수 있도록 돕는 것도 좋습니다. 아이와 함께 편안한 대화 시간을 갖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Q. 아이와 놀이를 통해 협동심을 키울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놀이심리상담사입니다.아이와 협동심을 키울 수 있는 놀이로는 함께 완성할 수 있는 퍼즐, 역할 놀이, 팀워크가 필요한 게임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가족이 함께 퍼즐을 맞추거나, 역할을 나눠 주고 협력하는 역할 놀이를 통해 서로 도와야 하는 상황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공 던지기나 팀을 나눠서 미션을 수행하는 놀이를 하며 자연스럽게 협력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아이가 자신의 역할을 다하고, 서로 도와가며 목표를 이루는 즐거움을 느끼게 하는 것입니다.
Q. 아이와 함께 할 수 있는 취미활동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놀이심리상담사입니다.아이와 함께 할 수 있는 취미활동으로는 그림 그리기, 만들기, 요리하기, 그리고 자연 탐험이 좋습니다. 함께 그림을 그리고, 점토나 종이로 만들기를 하며 창의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요리 활동은 간단한 레시피로 아이와 함께 준비해 보는 것도 재미있고, 자연 탐험을 통해 산책이나 공원에서 동식물을 관찰하며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또, 보드게임이나 퍼즐을 하며 협력과 집중력을 기를 수 있는 활동도 좋은 선택입니다.
Q. 유치원 잦은 결석은 아이에게 어떤 영향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놀이심리상담사입니다.유치원 잦은 결석은 아이의 사회성, 정서 발달,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친구들과의 상호작용 기회가 줄어들어 사회적 기술과 협력 능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학습 진도가 늦어져 기초 지식이나 생활 습관 형성에 지장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규칙적인 일과에 참여하지 않으면 자율성이나 책임감을 배우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학교 생활 적응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므로, 결석을 줄이고 일관된 출석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 사회성이 떨어지는 아이 , 사회성을 길러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놀이심리상담사입니다.사회성이 떨어지는 아이에게는 다양한 사회적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친구들과 함께하는 그룹 활동이나 놀이를 통해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감정 표현과 상대방의 감정 이해를 가르쳐 주세요. 또한, 아이가 잘할 수 있는 사회적 상황을 찾아 성공적인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부모가 모범을 보이며, 대화 시 경청과 존중을 실천하는 것도 아이에게 큰 영향을 미칩니다. 단계적으로 경험을 쌓으며 자신감을 키울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