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최성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전문가입니다.
최성훈 전문가
고려병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피부과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네일하다가 다쳤는데 병원을 가야할까요?ㅜㅜ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올려주신 사진만으로는 다소 제한적이나 염증 반응이 의심되므로 병원을 방문하여 진찰과 처치를 받을 것을 권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항문 농양 수술후 12일후에 대장내시경해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농양수술 후 아직 피랑 소량에 고름이 조금씩 거즈에 묻어 나오는 상태라면 대장 내시경 검사 후 내시경에 자극을 받아 증상이 더 심해질 수 있으므로 치료가 끝난 후 검사를 받을 것을 권합니다.상처거 덧나지 않도록 혈당 관리를 철저히 하기 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사람이 많은 곳에 있으면 몸이 경직되고 떨리는 느낌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고3이면 한참 학업과 미래에 대한 고민과 스트레스가 많을 것 같습니다.적어주신 증상으로 미루어 공황장애나 광장 공포증과 같은 심인성 질환이나 과도한 긴장으로 인한 근육통의 동반 가능성이 생각되므로 정신건강의학과 상담을 받아볼 것을 권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이건 무슨 증상인가요? 단순 피로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과도한 스트레스나 걱정으로 인한 심인성 원인으로 인한 증상이 먼저 생각된데요.수면 시간 부족이나 수면의 질이 좋지 못한 경우에도 주의력 저하나 낮시간 졸림증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수면 환경을 잘 조성하고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노력해보고 증상의 호전이 없다면 신경과 진료나 정신건강의학과 상담을 고려하기 바랍니다.
피부과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이거 뭔가요 다리에 이렇게 올라왔는데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올려주신 사진에서 병변이 또렷하지 않습니다.알레르기 보다는 벌레에 물렸을 가능성이 생각되므로 감염이 되지 않도록 긁지말고 상처 주변을 청결하게 씻고 벌레물림약을 도포해보기 바랍니다.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해보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피부과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여드름딱지 떼고 패치 붙였는데 또 딱지가 생기면 흉터 안 남나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이미 생긴 딱지른 억지로 반복적으로 제거할 경우 흉터가 생길 가능성이 증가합니다.가급적 흉터를 줄이기 위해서는 스스로 압출을 피하고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고 압출 전 피부를 깨끗이 세안하고 사용할 도구를 소독하며 압출 시 적절한 압력을 줘야 하겠고 즉시 패치를 붙이는 것이 좋습니다.
내과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지방변인지 점액변인가 궁금해서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올려주신 사진에서 지방변이나 점액변은 관찰되지 않습니다.다만 변이 무른 상태로 식이섬유가 풍부한 식사를 하고 기름지거나 자극적인 음식이나 카페인의 섭취, 음주, 흡연을 피할 것을 권합니다.증상이 반복될 경우 대장내시경과 CT 검사가 필요할 수 있겠습니다.
피부과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피검사했는데 이거 어떤 현상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올려주신 사진으로 미루어 체혈 후 적절하게 압력을 가해주지 않아 혈액이 일부 혈관 밖으로 세어 나와 생긴 증상으로 더 커지지 않는다면 큰 문제가 되진 않겠습니다.다만 분해되어 사라질 때까진 수 일이 걸릴 수 있겠습니다.
내과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가슴이 답답하고 숨 쉬기가 불편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적어주신 내용으로 미루어 역류성 식도염과 연관성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질문자의 나이가 10대라면 심장 질환의 가능성은 낮겠으나 지속되는 경우 심장과 폐의 검사가 필요하겠고 이상이 없다면 역류성 식도염이나 기능성 소화장애에 대해 치료를 받아보기 바랍니다.그 외 공황장애 등 심인성 질환의 가능성도 있으므로 정신건강의학과 상담도 고려할 것을 권합니다.
내과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음식을 많이 먹어도 변이 나오지 않는 날이 있던데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일반적으로 섭취한 음식이 대변으로 배출될 때까지 약 24-72시간 정도가 걸리며 개인의 소화 능력이나 섭취한 음식의 종료, 장 건강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습니다. 즉 식사를 한다고 해서 즉시 배변의 신호가 오는 것은 아닙니다. 평소 변비가 생기지 않도록 물을 자주 마시고 식이 섬유가 풍부한 식단의 식사와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며 좋은 배변 습관을 길들이기 바랍니다.
126
127
128
129
1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