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손용준 전문가
마이크앤제스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4월 12일 작성 됨
Q.
조선시대에 후궁인 빈은 그 수에 제한이 없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의 왕 가운데 후궁을 가장 많이 둔 왕은 태종으로 19명을 두었다고 합니다. 다음으로 광해군이 14명, 성종이 13명, 고종이 12명, 연산군과 중종은 11명, 정종은 8명의 후궁을 두었다고 합니다. 이것으로 볼 떼 조선 시대 후궁에 대한 제한은 없었다고 추정 됩니다.
역사
2024년 4월 12일 작성 됨
Q.
이성계장군의 요동정벌 반대 근거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성계가 요동을 정벌을 반대하는 4가지 이유인 4불가론은 우선 작은나라가 큰나라를 치는 것은 불가능하고 둘째 여름에 군사를 일으키기 불가능 하고 셋째 요동으로 군사를 일으키면 왜구가 쳐들어올 수 있고 마지막으로 장마철이라 활의 아교가 녹아 풀어지며 군사들이 전염병에 시달릴 염려가 있어 불가 하다는 것이 그 이유라고 합니다.
역사
2024년 4월 12일 작성 됨
Q.
신화의 뜻이 무엇인가요 신화라는 것을 어떻게 해석을 하면 되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화는 한 나라 혹은 한 민족으로부터 전승되어 오는 예로부터 섬기는 신을 둘러싼 이야기를 뜻한다고 합니다. 한국에서는 보통 이와 같이 예로부터 전해오는 이야기들을 전설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역사
2024년 4월 12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에 불교보다 교회가 많아진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 나라의 종교 비율을 보면 전체 인구의 20%가 개신교를 믿고 있으며, 불교를 믿는 사람은 전체의 17%이다. 천주교를 믿는 사람은 전체의 11%, 기타 종교를 믿는 사람은 2% 입니다. 이렇게 기독교가 불교 보다 많아진 이유는 기독교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한 생활형 종교 이고 불교는 사람들과의 관계 보다는 개인의 참선을 통한 종교 이기 때문 입니다.
역사
2024년 4월 12일 작성 됨
Q.
조선 선조는 어떤 평가를 받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14대 왕 선조 (1552~1608년)에 대한 세간의 평가는 극과 극을 달립니다. 그는 학문과 문화의 전성기를 이끈 군주와 이순신같은 인재를 등용한 군주라는 평도 있지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마자 도성을 버리고 자신의 안위에만 급급했던 군주였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456
457
458
459
4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