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손용준 전문가
마이크앤제스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3월 28일 작성 됨
Q.
근로자의 날이 처음 제정된것은 언제이고 제정된 배경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에서는 근로자의날이 1958년 대한노총연맹 창립일인 3월10일을 '노동절'로 정했으며, 1963년 4월 17일에 ㄱㄱ가 최고 회의에서 '근로자의 날'로 이름을 바꾸었다고 합니다. 이것이 1973년 3월 30일에 제정·공포되었으며, 이후 1994년부터는 다시 5월1일을 근로자의 날로 기념하고 있습니다.
역사
2024년 3월 28일 작성 됨
Q.
가야에서 만든 금관은 몇 개가 전해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가야유적에서는 아직 정식 발굴조사를 통하여 금관이 출토된 적은 없고 금동관(金銅冠)과 은관(銀冠)만 출토되었다고 합니다. 금동관 가운데 고령 지산동32호분 출토품은 가야문화를 대표하는 작품이며 제작 의장(意匠)에서 가야 금관과 공통하는 면모를 보여준다 합니다. 이 금동관은 초화형(草花形)의 세움장식〔立飾〕이 특징이며 신라의 금동관에 비한다면 세움장식의 형태나 장식이 간략하다고 합니다. 현존하는 2개의 가야금관은 6세기 무렵 대가야 왕의 금관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가야의 빼어난 공예기술과 예술적 안목을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역사
2024년 3월 27일 작성 됨
Q.
이집트 상형문자 해석의 계기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집트 상형 무자의 해석은 로제타 석 덕분 입니다. 프랑스 역사가이자 언어학자인 Jean-François Champollion 도 한 몫을 했는데 그는 이집트 문명에 바쳐진 과학인 이집트학의 아버지로 간주됩니다. 16세의 나이에 샹폴리옹은 이미 라틴어와 고대 그리스어 외에 6개의 고대 동양어를 알고 통달했습니다. 대담한 이집트 학자 Champollion은 일생 동안 이집트 상형 문자를 해독하는 데 빠르게 집착했는데 이 아름다운 이집트 유물의 번역본은 로마 제국이 멸망하는 동안 사라졌습니다. 그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Champollion은 이집트 파라오 프톨레마이오스 5세의 통치를 시작하는 법령을 읽을 수 있는 로제타 스톤을 사용했습니다. 이 법령("멤피스 법령"으로 알려짐)은 상형 문자 형태로 그리스어와 이집트어. 1822년에 샹폴리옹은 이 돌을 기반으로 상형문자 사전을 만들어 그리스 문자와 비교했고 그는 상형문자가 단순한 문자가 아니라는 것을 처음으로 깨달았다고 합니다. 실제로 이러한 기호는 문자, 소리, 숫자 또는 전체 단어를 나타낼 수 있는데 고대 이집트를 이해하는 열쇠가 마침내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역사
2024년 3월 27일 작성 됨
Q.
인류가 계속 사족보행을 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인류는 직립 보행으로 자유로워진 두 손을 이용하여 도구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두뇌 용량이 커져 지능이 발달하게 되었으며 또, 언어를 사용하여 의사 소통을 하고 문화를 발전시킬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만일 계속 해서 사족 보행을 했더라면 인간의 도구는 사용이 불가능 했을 것이고 문화도 침팬지의 그것과 그리 달라 지지 않았을 것이라 추정 됩니다.
역사
2024년 3월 27일 작성 됨
Q.
김영삼 대통령시절 쿠테타없이 하나회를 숙청할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이 본격적인 하나회 숙청에 들어간 때는 취임 11일째 되는 날인 1993년 3월8일 이었다고 합니다. 이 순간까지 군 수뇌부는 물론 청와대 비서진 중 단 한 명도 김영삼의 의도를 몰랐다고 하며 김영삼은 철저히 비선 조직들과 일을 의논하다가 3월 6일 오후 늦은 시각 권영해 국방부 장관에게 "3월 8일 오전 7시 30분까지 청와대로 오라"고 지시했고 이 자리에서 바로 욱국 참모 총장과 기무 사령관을 교체 하는 등 하나회 핵심 인사들을 해고 해 버리면서 숙청 작업을 진행 합니다.
596
597
598
599
60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