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사회적 소수자의 권리에대하여 우리 사회는 어떻게 존중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을 버려야 함 사회적 소수자가 처한 상황을 이해하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자세 확보 사회적 차원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차별을 금지하는 법률과 불평등을 해소하는 제도 마련 지속적인 교육과 의식 개선 활동 지원합니다. 모든 사람들은 인종, 성별, 성 정체성, 종교, 장애 등에 상관없이 평등한 권리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사회적 소수자들도 이러한 권리를 보장받아야 합니다. 그래서 차별 금지를 해야 하는데 사회적 소수자들은 종종 차별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인권 보호는 차별을 금지하고 모든 개인들이 안전하고 존중받는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Q. 닉슨 독트린 선언이 어떻게 우리나라의 번개 사업과 연결되었던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닉슨 행정부의 대외정책 상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전후 미국 대외정책의 기본노선이었던 봉쇄정책에 입각한 국제주의를 시어도어 루즈벨트 대통령 이후 미국 외교무대에서 종적을 감춘 현실주의 관점에서 재해석했다고 합니다. 이로부터 등장한 게 바로 키신저의 3각 외교 구상이다.3각 외교와 같은 발상이 닉슨 행정부 때 처음 등장한 것은 아니었고 우리는 여기서 1953년 애치슨 국무장관이 애치슨라인 선언에서 대만을 제외한 의미를 복기할 필요가 있습니다. 애치슨 국무장관이 대만을 애치슨라인에서 제외했던 이유는 중국 내에서 발생한 중국 공산당정권 등장이라는 정치변화를 고려해서 이에 대해 발 빠르게 대처할 필요성을 인정했기 때문이고 이는 여건만 허락한다면 중국 공산당과의 관계개선을 통해 제2의 문호개방을 달성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였는데 하지만 한국전쟁 발발로 애치슨의 구상은 실현되지 못했고 닉슨독트린과 키신저의 3각외교로 상징되는 미국의 한반도 디커플링 정책은 언제나 그랬듯이 남한과 북한을 접근시키는 구심적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합니다. 남한과 북한은 동아시아 정세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최고위급 수준의 접촉을 시도했고 그 결과로 나온 게 바로 7.4 공동성명 입니다. 유신체제의 등장으로 빛이 바래지긴 했지만, '자주, 평화통일, 민족대단결'의 3원칙을 천명한 7.4 공동성명은 남북이 한반도문제에 공동으로 대응할 수 있음을 보여준 긍정적 시도로 여겨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