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과학에서의 생명활동의 정확한 뜻이 무엇인가요
세포호흡이라고 명칭이 되는 것은 우리가 숨을 쉴때 호흡하는 이유가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건데요. 같은 의미 입니다. 세포는 "산소"를 흡수하고 매개체로 이용하여서 그것을 가지고 우리가 흔히 생물학에서 말하는 에너지 , ATP를 합성합니다. 세포호흡을 위한 세포내 소기관들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만, 가장 중요한 것은 미토콘드리아입니다. 세포내부의 기질에서 당분해(에너지로쓰이는 포도당의 분해)를 시작으로 미토콘드리아의 크리스타 구조를 가지는 기질에서 더욱 많은 양의 ATP를 산소를 매개체로 합성하게 됩니다. 이때 세포의 기질에서 합성된 피루브산은 산소와함께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사용되며 최종적으로 많은 양의 ATP가 생성됩니다. 세포호흡에 필수적인 물질이라고 하면, 산소, 포도당, 그외 ATP 합성효소, 전자전달계 등이 필요합니다.
Q. 미생물 배지에 항생제를 넣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첫째, 미생물 특히 특정 세포를 번식하여 세균주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그외 균들, 박테리아 또는 효모에 의한 오염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사전 예방차원에서 키우고자 하는 미생물 외 영향을 주는 항생제를 소량 사용합니다. 항생제의 종류에 따라 표적 세균주는 달라질수 있으므로 적절하게 사용합니다. 둘째, 목적에 따라 일부러 노출시켜 내성을 가진 세균주로 만들기도 합니다. 세번째, 세균의 유전자재조합을 수행하였을때 적절하게 재조합이 완료되었는지 검증할때 항생제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특정항생제에서 자라지 못하는 균에다가 저항성유전자를 삽입후 배지에서 번식시키면 죽지않고 살아남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Q. 우리몸속 피가 흐르는 동맥과 정맥은 어떻게 다른가요?
동맥은 심장으로부터 나오는 혈액을 얘기합니다. 폐와 신장을 거치면서 산소를 포함하고 노폐물이 없는 깨끗한 상태로 이는 몸속 곳곳에 있는 모세혈관으로 뿜어져 나가면서 산소와 영양분을 보내줍니다. 이러한 산소와 영양분을 온몸의 세포가 사용하고 난 뒤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내뿜게 되는데 이러한 것들이 모여서 다시 심장으로 모여드는 혈관이 바로 정맥입니다.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이 피부랑 겹쳐서 파란색으로 되어 피부표면에서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심장서 모세혈관까지는 높은 압력으로 밀어주게 되지만 , 모세혈관에서 다시 심장으로 모여드는 과정에서는 압력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동맥은 매우 튼튼한 구조로 되어있는 반면, 반대로 압력이 없는 정맥은 판막이라고 해서 역류를 막는 구조를 띄고 있습니다. 우리가 어떤 필요에 따라 주사를 동맥이 아닌 정맥에 맞는 이유도, 혈압도 낮고 혈류도 낮은 데다가 눈에 잘 띄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