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밤바다의 파도가 반짝이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결론적으론, 대비차이인것같습니다. 짙은어둠의 바다와 아주밝은 달빛의 조화입니다. 낮에 보아도 햇빛에 반사되는 바다표면의 일렁이는 파도의 물결은 보석이 밀려오는 듯한 황홀감을 선사하곤 합니다. 하지만 밤에 보이는 것은 그 느낌이 다를 수밖에요. 투명한 바닷물은 밤에는 투명하면서도 어두운 유리표면같다고 할까요, 무척이나 차가워보입니다. 하지만, 달빛이 쏟아진다면요? 어둠속에 펼쳐지는 달빛의 대비는 더욱 강해져서 강렬하게 다가옵니다. 그런데 보름달이라니요... 너무나 황홀환 광경인데도 불구하고 이 보름달에 비친 해수면의 가짜보름달이 파도에 흐트러지면서 보석처럼 금빛가루처럼 흩어진다니 낮에 보았던 것과 사뭇 다른 깊은 경이로움을 주게 될 것입니다. 오랜만에 멋진 장면을 상상하게 되어서 감사합니다. 이런말이 떠오르네요. 잡지못하는 보름달을 느껴보고자 물위에 반사된 달이라도 만져본다 라는...
Q. 박테리아와 세균 차이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손국현 과학전문가입니다.박테리아 , 세균.. 눈에 보이지도 않는데 우리를 괴롭히고있지요...아 ,, 굳이 먼저 말씀드리면 박테리아의 한국어 명이 세균입니다~ ^^ 같은 단어에요. 그러니 구분하는건 의미는 크게 없습니다만,,, 특이한점은 박테리아는 영어보다는 라틴어입니다. 복수명은 박테리아 , 보통은 매우많게 존재하기 때문에 , 혹은 단일로존재하진 않기때문에 흔히 박테리아 라고 얘기합니다. 잘쓰이진 않으나 , 단수, 즉 딱 하나의 박테리아를 박테리움 이라고 합니다. ~
Q. 비는 구름에서 물이 모여서 내리는게 비라고 아는데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도 구름이지만, 습도가 매우 높은것도 한몫합니다. 영국은 서안해양성 기후 를 띄고 있습니다. 일년 내내 서쪽에서 동쪽으로 부는 편서풍에 의한 대서양 습기를 머무는 특성이 있구요, 이는 지형적인 위치에도 형성이 불구한 날씨임에도 이런 기후가 형성됩니다. 또한 멕시코만에서 오는 북대서양 난류에 의해 일년 내내 서늘하고 습하고 또한 비가 잦게 됩니다. 지형적으로는 영국 서족은 대서양 난류가 있어 동쪽보다 따뜻한편이고 , 반대로 동쪽은 시베리아찬기류로 비가잦고 구름이 자주끼며 온도는 비교적 낮습니다. 전체적으로 겨울은 10도 이하로 떨어지지도 않고 , 여름은 30도가 넘지 않는 어쩌면 참 좋은 날씨이기도 하지만 위에 말씀드린것처럼 습한 것때문에단점인 거지요. 다만 일교차는 상당히 심하기도 해서 감기에 주의해야하고 겉옷을 항상 준비해야하는 날씨입니다. 우산도말이죠. 항상불규칙적이기 때문에 예측도 어렵습니다.
Q. 왜 토끼의 변은 작고 동글동글 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과학전문가입니다.토끼똥이 동그런것은대변에 함유된 수분이 적기때문에 소화가 되고 뱃속 내장에서 이동되는 과정에서 동그란 형태로 빚어진다고 해야할까요 ㅎㅎ 수분이 너무 많으면 죽처럼 되고 끈적거리지만, 적당한 수분량이면 동그랗게 반죽이 된다고 해야할까요... (드럽죠)염소나토끼는 장이 길고 먹는 것 소화되는것까지 이모든것이 식물의 고섬유질에 최적화 된 상태로 진화되었기 때문입니다. 긴 장내에서 수분이 다 흡수되어지면 일반적인 사람의 똥과는 다르게 퍽퍽하고 동그란 형태가 되어 배출되는데 , 잘 생각해보면 사람도 변비가 있을 경우 이런 퍽퍽한 똥그란 변을 보게 되는 경우가 있을 겁니다. 다 응가가 수분을 빼앗겨서 그런것이니 , 작성자님도 그랬던 경험을 생각해보세요. \아 물론 너무 심하면 동그랗다 못해 돌이되기도 하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