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부모 세대의 가난 대물림을 막기 위해서는 투자 밖에 답이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투자 밖에 없다고 볼 수는 없지만, 투자가 접근성은 좋은 것 같습니다.사업으로의 성공, 전문직 도전 등등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사실 일반인이 접근하기에는 어렵다고 보여질 수 있습니다.다만, 투자는 소액으로도 접근할 수 있으니 모두가 시작해볼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합니다.물론 잃을 수도 있으니 신중하고, 공부해야 하는 건 매한가지지만, 도전해볼 가치는 충분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Q. 자산을 관리할 때 정기예금 종류는 이율과 상관없이 오히려 손해에 가깝나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금리가 중요하기는 합니다.다만, 사람들이 그렇게 이야기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예금금리가 낮고,점점 낮아지는 추세인 반면, 물가상승률은 계속 올라가고 있기 때문에,그렇다면 예금을 하는 행위는 오히려 마이너스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다만, 위험자산에 투자하고 싶지 않다거나, 하락할 가능성이 있는 투자처가 싫다면예금을 선택해야 하기는 합니다. 그럴 때, 금리가 가장 좋은 예금을 찾아 가입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Q. 특정 코인 악재 뉴스가 터졌는데 가격이 그대로거나 오히려 오르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다양한 요인들이 있겠지만, 이미 반영되어 있던 악재일 수도 있습니다.보통 가격을 결정하는 요인들은 이미 선반영되고, 기사 또는 대중에게 알려지는 것은그보다 훨씬 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에 그 후 해소가 되었다면 무방할 수 있습니다.또, 악재이기는 해도 장기적으로 큰 문제가 없을 수 있습니다.실제로 상장폐지될 코인들이 급등하는 흐름을 보이는 경우가 많은데요.희소성문제, 재상장 가능성 등에 배팅하는 경우 때문에 상승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이렇듯 다양한 요인으로 악재 뉴스가 있음에도 상승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