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만 32세 저축금액은 얼마정도 되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사람마다 상황(주거, 대출, 연봉 등)이 다르기 때문에 꼭 몇살에 얼마를 모아야 한다고 말하긴 어렵지만,현재 나이에 꽤 준수하게 모으신 것으로 보여집니다.사실 월 급여에서 50%만 모아도 굉장히 잘 모은건데, 평균적으로 30대 남성 급여를 생각하면 7년간 재테크를 하지 않으면 말씀하신 금액도 모으기가 불가할 수 있습니다.이에 잘 해오셨고, 위를 바라보면 당연히 부족한 부분이 있을 수 있지만,지금처럼 잘 해나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Q. 주식, 코인은 개미털기 패턴이 반복되잖아요~개인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개인적으로 그럴 때 휘둘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개미털기라고 말하는 것부터가 그때에 매도하면 안된다는 것을 말합니다.결국 외국인과 기관 같은 곳은 추후 주가를 올릴 것이고,싸게 매도한 소액투자자들만 손해를 보는 것은 흔한 패턴입니다.하락장에서 무서워 매도하고, 상승장에서 올라타는 것은 심리적으로 편안하지만,수익에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Q. 거리또는 가로수길에 과실나무로 교체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취지 자체는 되게 좋으나, 실질적인 문제때문에 어려운 것도 있습니다.과일나무를 거리에 심게 되면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생깁니다.위생, 안전, 미관 등의 문제: 과일이 익어 떨어지면 위생적으로도 좋지 않고, 사과나 배같이 다소 무거운 과일이 머리 등으로 떨어지면 다칠 수 있습니다. 또, 도로에 다수의 과일이 떨어져 있다면 이 역시 위험할 수 있습니다. 미관에도 당연히 좋지 않을 것입니다.유지보수: 매번 과일나무를 관리하는 비용이 커집니다. 방제하고 수확하고, 위생관리하는 등 수많은 인력이 들어갈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에 가로수는 보통 키우고, 관리하기 쉬운 나무로 설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Q. 코인, 주식 선물 하는 사람들은 왜 자꾸 청산되는데도 계속 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 100명중 2명이 되고 싶어서 일 것 같습니다.투자를 할 때, 대부분은 벌고 싶고 벌 것이라 생각하고 하는데요.절대 본인이 잃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하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또, 국내 일반 투자자들이 레버리지 투자에 굉장히 많이 투자를 하고 있는데,여기서도 볼 수 있듯 우리나라 사람들이 고수익에 베팅하는 경우가 정말 많은 것 같습니다.그러한 일환으로 늘 도전하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