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대한민국 정부의 동일노동 동일임금 정책발표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네, 딱 들었을 때 좋은 개념이다 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다만, 비판하는 쪽에서 주장하는 것은 보통 "사람의 성과와 숙련을 반영하지 못한다" 입니다.같은 일을 하는 사람에게 같은 임금을 준다는 개념이기 때문에 직관적으로 더 열심히 노력하는 사람이 적어질 수도 있으며,연공이 늘어가면서 발생하는 숙련도를 적시에 반영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를 표명하는 것입니다.이러한 우려가 보완된다면 좋은 취지의 제도가 될 수도 있습니다.예를 들어 동일 직무 내에서도 숙련도를 반영하고, 더 잘 또는 열심히 한 사람에게 추가 베네핏을 주는 방식 등입니다.
Q. 요즘은 현금하고 지갑을 안들고 다니는데 언제쯤 현금이 없어 질까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현재로서 완전히 현금이 사라지는 일은 한참 걸리지 않을까 싶습니다.아무리 빨라도 20년 정도는 현금이 융통될 것이고, 그때도 사실 완전히 사라질 것이라는 보장은 못할 것 같습니다.실제로 카드, 계좌이체, 모바일결제 등 다양한 대체 수단이 나왔고실제 현금을 사용하는 곳들이 드물기는 하지만 아직도 여전히 많은 곳에서 사용하고 있기도 합니다.또, 어르신들은 여전히 현금이 편하신 분들이 많습니다.그리고 법정 화폐라는 이유만으로도 현금은 존재할 가능성이 있기도 할 것 같습니다.언젠가 특정 국가부터 하나씩 현금을 소멸시킨다면 불가한 일은 아니겠지만 매우 어려운 일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Q. ISA VS 직투 현재 제 상황에 어떤게 이득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상황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순 있지만 골자만 두고 보면 ISA가 나을 가능성이 있기는 합니다.ISA는 만기해지 시 9.9%, 3년 미만 해지 시 15.4%의 세율을 적용받습니다.반대로 미국직투의 경우에는 연 250만원 수익까지는 비과세이지만,이를 초과하는 금액부터는 22%를 부과받게 됩니다.즉, 질문자님께서 운용하는 자금과 예상 수익, 매도하실 금액 등을 고려하여 생각이 필요합니다.금액이 상당히 커서 미국직투 시 매년 22%의 세금을 과도하게 납부할 것 같다면 ISA 중도해지가 나을 수 있습니다.추가로, 미국 직투 시 세금은 증권사를 통해 신청하여 대리 처리할 수 있습니다.
Q. 오너리스크가 있는 주식은 어떤주식들인지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오너리스크가 큰 기업은 아래와 같은 것들로 볼 수 있습니다.사법리스크: 오너들의 사법리스크가 있는 기업입니다. 횡령, 배임, 주가조작 같은 범죄 행위와 연류되어 있다면 이러한 사실, 조사만 받아도 주가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지배구조: 흔히 말하는 가족기업은 조금 위험할 수 있습니다. 견제할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입니다.오너 개인의 사생활: 오너의 평판도 꽤 중요한 오너리스크로 구분됩니다. 오너의 말 한마디, 행동이 주목을 받는 세상이기 때문에 오너가 SNS, 외부활동 등에서 어떤 활동을 하느냐도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