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비행기 안에서의 과태료 부과 우리나라도 가능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도입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생각합니다.문화의 차이인데, 길에서 담배를 피거나, 꽁초를 버리면 벌금을 물리는 나라들이 꽤 많은 것과 비슷하다 생각합니다.얼마든지 국내에도 도입될 수 있지만, 인식의 변화가 생겨야 하고,다소 천천히 그러한 문화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는 생각합니다.쉬운 일은 아니겠지만 좋은 문화라고 하면 인식을 서서히 바꿔가는 것도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Q. 국내 주식은 어떤 대형주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대형주는 보통 시가총액 순으로 구분하는데요.그렇게 따졌을 때, 미국은 말씀하신 테슬라, 애플도 대형주이지만요즘에는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더 시가총액이 높습니다.국내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삼성바이오로직스, LG에너지솔루션, 현대차 등의 순서로 볼 수 있겠습니다.
Q. 감액해서 전세계약서 작성 시 확정일자.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네, 일단 감액된 금액으로 계약서를 다시 쓰고 확정일자를 다시 받을 경우에는기존 계약서에 따른 확정일자가 아닌 신규 계약에 따른 확정일자가 적용됩니다.이에 임대인이 별도로 무언가를 하지 않았다면 문제가 없지만, 우선순위가 밀릴만한 일이 있었다면불리하게 작용될 소지가 있어 확정일자를 별도로 받지 않는 것이 나을 수 있습니다.다만, 은행에서는 흔히 재계약 시 새로운 확정일자를 요구하곤 합니다.이는 어느 분 말이 맞다고 보긴 어렵고, 은행마다 다 다른 정책을 쓰기 때문에 이 부분은 지점을 한군데만 가보지 마시고, 다른 곳도 가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또, 이러한 사정을 말해도 받아야 한다고 하면 우선순위 변동 현황을 알아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Q. 우리나라는 왜 베이커리 중심으로 빵업계가 형성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과거에는 공장빵 비중이 더 컸지만, 베이커리 비중이 지속적으로 커지는 것은 맞습니다.과거에는 당연히 대기업에서 생산하는 공장빵이 대부분의 빵 생산을 담당했고,현재는 즉석 베이커리 매장은 물론 개인 카페 등에서도 베이커리를 담당하며 비중이 커지고 있습니다.일단 소비자들의 취향이 바뀐 것인데, 즉석에서 생산하는 베이커리 빵이 맛도 더 있을 뿐더러건강과 품질이 더 좋다는 인식이 생겼고, 그럼에도 프랜차이즈화가 되면서 가격도 저렴해진 것이 큽니다.
Q. 신규 코인이 상장하면 대부분 첫 고점을 찍고 지속적인 하락을 하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코인, 주식 두 케이스 모두 신규 상장된 경우 당일은 좋은 흐름을 보이다가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경우들이 많습니다.이유는 일률적으로 말하기는 어렵지만, 보통 첫날은 거래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관심이 몰리면서가격의 등락이 엄청나게 커지는 것이지만, 이후에는 거래량이 쭉 빠지는 것이 큽니다.또한, 말씀하신 무료로 풀었던 코인의 경우에는 대부분 차익실현을 하기 위해 매도하려는 심리가 커지니자연스럽게 하락폭이 커질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Q. 안녕하세요 ~ 보통 주식은 어떤종목을 장기투자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딱 정해진 것은 없고, 개인에 상황에 맞춰 투자하면 좋은데요.금액은 한번에 크게 투자해도 좋지만 리스크를 최소화하려면 조금씩 모아가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장기투자의 개념은 사람마다 다른데, 1년만 넘어도 장기로 보는 경우도 있고,누군가는 10년 이상은 가지고 있어야지 라고 생각하기도 합니다.개인적으로 투자하신 기업 별로 다르게 생각해도 된다고 봅니다.그렇다 보니 우량주 같은 안정적인 기업에 투자하실 수도 있고,미래가치가 높은 벤처기업에 투자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