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ASDXC
ASDXC

주식을 물적분활을 할경우 보통 주식은 어떻게 주가가 되는가요

주식같은 경우에는 인적분활도 있고 물적 분활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런데 주식을 물적분활을 할경우 가지고 있던 주식은 오르는게 보통인가요

아님 내려가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물적분할은 대체로 주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분할된 자회사가 상장할 경우 모회사 지분가치가 희석되고, 기존 주주가 신설회사 주식을 받지 못해 기업가치가 분산된다는 우려 때문에 투자 심리가 악화됩니다. 실제로 많은 사례에서 물적분할 공시 직후 또는 자회사 상장시 주가가 하락하는 느림들이 많이 나타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물적분할 후에는 보통 단기적으로는 부정적인 흐름이 많습니다.

    국내에서는 많은 경우가 상장 전에 물적분할을 한다고 생각하기도 하는데,

    그럴 경우에는 기존 주주들의 가치가 희석되기 때문입니다.

    물론 예외적으로 가치를 재평가 받고, 오르는 경우도 있지만 드문 경우입니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회복하고 다시 상승하는 경우들도 있으니 무조건 나쁘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물적분할은 모회사가 일부 사업부를 자회사로 분리하는 구조로, 단기에는 불확실성으로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분할 후 자회사 상장, 사업 확대가 성공하면 장기적으로 모회사 가치 회복 또는 상승이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해당 투자한 기업이 물적분할을 하게되면 엄청난 리스크로 작용합니다 즉 주가의 엄청난 악재입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LG화학의 LG에너지 솔루션 물적분할 사례이며 이때부터 이런 이슈가 커지면서 지금은 함부로 물적분할을 못합니다

    물적분할이라는것은 기업의 여러 사업부가 있는데 이 사업부중에서 하나를 분할시켜서 회사를 만들게 되며 이를 독립적으로 분할시키는게 아니라 해당기업의 자회사로 분할하는것을 물적분할이라고 합니다

    즉 A라는 기업에 투자시 A라는 기업의 사업부가 잇는데 이를 B라는 회사로 분할시키고 B라는 회사가 A라는 회사의 자회사로 편입되는구조입니다 문제는 이경우에 A회사가 모회사이고 B회사가 자회사 이므로 A주주들은 B회사의 주주도 아니며 B회사의 지분도 갖지 않게 되는 문제가 생깁니다 즉 B회사가 떨어져 나가며 A회사의 자산과 밸류에이션의 가치가 하락하는 악재로 발생하게되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물적분할을 하면 기존 회사가 일부 사업부를 떼어내서 자회사를 만들고 그 지분을 100퍼센트 들고 있게 됩니다. 주주 입장에서는 새로 생긴 회사 주식을 직접 받는 게 아니라 기존 회사 주식만 계속 갖게 되는 구조입니다. 시장에서는 이걸 두고 가치가 자회사 쪽으로 옮겨간다고 보는 시각이 많아서 모회사 주가가 눌리는 경우가 꽤 있습니다. 특히 자회사를 상장하려는 계획이 알려지면 모회사 지분가치 희석 우려가 붙어 더 부정적으로 반응하는 흐름이 나올 때도 있습니다. 물론 사업 구조가 단순해져서 효율성이 올라간다고 판단하면 반대로 주가가 반등하는 사례도 있긴 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을 물적분할하게되면 특정 사업분야가 해당기업에서 분할되어 나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가장 유명한 것이 카카오 그룹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카카오의 경우 물적분할을 통해 카카오 관련 된 부서만 몇십개가 되는 것으로 처음에 카카오의 주가는 십만원이 넘었지만 지금 현재 카카오의 주가는 3만원 정도 합니다. 이러한 것은 결국 기존의 알짜배기 사업이 분할되니 그만큼의 가치가 주가에서 분할되어 나간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물적분할시 주식은 어떻게 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시장은 기업이 물적분할을 하게 되면

    대체적으로 악재로 보며 그래서 주가가 내려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분할된 회사 상장시 주식의 추가발행으로 기존 모회사 주주들의 지분가치가 희석될 수 있어서 물적분할을 하게되면 주가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을 물적분할 할 경우, 일반적으로 모회사 주식의 주가는 하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물적분할이 주주 가치를 훼손한다는 인식 때문인데, 특히 핵심 사업 부문을 분할하는 경우 그 영향이 더욱 큽니다. 물적분할은 기존 회사가 특정 사업 부문을 분리하여 신설 법인을 설립하고, 이 신설 법인의 지분 100%를 기존 회사가 소유하는 방식입니다. 이 과정에서 기존 주주들은 신설 법인의 주식을 직접 받지 못하고, 모회사 주식만 계속 보유하게 됩니다. 많은 경우 기업들은 성장성이 높고 미래 가치가 큰 알짜 사업 부문을 물적분할합니다. 이 경우 기존 모회사 주식에는 껍데기만 남게 되어, 투자자들이 모회사 주식의 성장 동력을 잃었다고 판단하게 됩니다. 자연히 모회사 주식의 가치는 떨어지고 주가는 하락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물적 분할은 기존의 특정 사업부를 떼내서 자회사로 만들고 그 자회사의 지분을 기존 회사가 100%로 소유하는 구조로, 보통 가치 이전 논란 때문에 주가가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단기 불확실성 증가 등의 요인 때문에도 주가가 하락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