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소설 기법 중 내러티브 기법은 어떤 기법이고 어떤 효과를 기대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말그대로 narrative.. 어떤 이야기가 죽 써내려가서 독자에게 전달된다는.. 것인데.. E. Hemingway의 The Old man and The Sea를 읽어보시면, 고기잡이인 노인의 바다로 나가서 돌아오기까지의 스토리가 죽 계속 독자에게 전달되는.. 그러한 형태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그리고 이것을 더욱 몸으로 완전히 느끼고 싶으시다면, 노인과 바다도 좋지만, E. Hemingway의 진정한 역작이라고 할수있는 The Snow of Kilimanjaro.. 를 꼭 읽어보시기를 희망드립니다!!!!!!!
Q. 우리나라 고대가요인 구지가와 해가의 공통점 및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구지가와 해가 모두 어떤 우리민족의 전통 관습의 하나인 해상에 대한 기원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용왕이라던지 거북이라던지 (거북이는 대표적인 장수생물입니다...) 이런 해상에 대한 제사나 기원의 성격을 가진 노래이며, 이는 아마도 배경이 된 가야/신라의 해상으로의 경제활동 군사/정치활동에 있어 해상에서의 안전이 무엇보다도 중요했을 것이라는 점을 더욱 뒷받침해주고 있습니다.차이점은 구지가는 가야가 배경이고, 해가는 신라가 배경이며, 시대는 역시 가야/신라가 존재하던 우리나라 고대시대가 되겠습니다...
Q. 우리나라 운문문학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운문문학이라고 한다면 역시 시(The Poem)이 되겠습니다. 이 시라는 장르, 그리고 우리나라 작품이라고 한다면,단연, 다음의 두 인물을 들고 싶습니다. 너무 탁월하기 때문입니다.이상 : 그 독특함과 Creativeness, 그리고 천재성이 탁월합니다.백석 : 여우난골족, 가키사키의 바다..등등 정말 언어가 아닌 그 이상의 무엇을 담아낸 그의 시는 가히 압도적이라고 하겠습니다..
Q. 메밀꽃 필 무렵에의 내용 및 전반적인 작품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어떤 내용인가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우선 이 소설을 잘이해하려면 장돌뱅이, 즉 보부상 개념을 알아야하겠습니다. 일종의 상인의 직업으로 전국을 계속 돌아다녀야하는 떠돌이..라는 개념을 내포한 직업인데, 주인공 허생원이 이 장돌뱅이입니다.그리고 전체 소설의 주제도 이 장돌뱅이라는 역마살/떠돌이 운명과 같이하며, 그 극적인 장면에서 Key Point로 나오는, 유명한 가요제목이 연상되는 '이적 - 난 왼손잡이야'가 참 인상깊게 떠오르는 등 상당히 지금의 기준으로 봐서도 절묘하게 잘 설계된 스토리와 배경세팅, 상징 등을 사용하며, 실제로 스토리만 알려하지 마시고 작품을 읽어보시면 문장하나하나가 상당히 이 장돌뱅이의 문화라고나 할까, 서민적이면서도 아름다운 그런 묘사와 대화 등이 참 감칠맛이 나는 명작이라고 하겠습니다...
Q. 책을 인용했다고 할때 어느정도 가져와야 인용으로 보나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본인의 창작물에 대하여 어떤 필요성에 의하여 인용을 할수는 있으나, 인용 그자체를 자신의 창작으로 이용하면 바로, 문학뿐만 아니라.. 작곡 등 음악분야에서도 자주 이슈가 되는 표절이 되겠습니다. 그러므로 어떤 양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나의 창작물에 대하여 보충설명을 하기위한 용도로 한정되어야한다고 하겠으며, 반드시 출처를 밝혀야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