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신동국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신동국 전문가입니다.

신동국 전문가
자생한방병원
한의학
한의학 이미지
Q.  산후우울증에 한방치료가 도움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한방신경정신과 전공의 신동국 한의사입니다.아내분이 산후 기운이 없고 의욕이 없어보이셔서 걱정이 많으시겠습니다. 말씀주신 상황과 증상은 한의학으로 많은 도움을 드릴 수 있습니다. 학술적으로 우울증은 2주 이상 깨어있는 시간동안 지속적인 우울감과 무력감을 호소할 때 진단하며, 모든 일에 의욕이 없고 흥미가 없이 생활하게 됩니다. 특히 산후에는 임신과 출산과정에서 누적된 피로에 더하여 심리적으로도 불안정한 상태로 쉽게 이행하게 됩니다.(육아에 대한 육체 정신적 스트레스 + 모성애와 관련된 개인적 자괴감)한의학은 우울증 치료에도 효과가 매우 좋으며 특히 산후에 발생하는 육체적, 정신적 피로와 우울상태의 개선에 도움을 드릴수 있습니다. 환자분 상황을 한의사가 적절하게 진단하여 침, 부항, 뜸, 약침, 필요시 현재 상태에 맞는 한약, 정신지지요법, 운동요법을 시행하여 아내분의 증상 개선에 도움을 드릴 수 있을 것입니다. 흔히 한의원에서 쉽게 접할수 있는 침치료가 우울감 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여러 논문들이 발표되어 왔고 기사도 여럿 있으니 참고하시어 가까운 한의원이나 한방신경정신과 전문 한의원(한방신경정신과전문의가 개설) 혹은 한방병원에 내원하시어 자세한 진찰및 상담 받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우울증 개선 참고 기사:http://www.mindpost.or.kr/news/articleView.html?idxno=5617https://www.youtube.com/watch?v=bjOEUOANbJ8
한약
한약 이미지
Q.  주기적으로 한약을 먹으면 간이나 신장에 무리가 가나요?
안녕하세요. 한방 신경과 전공의 신동국 한의사입니다.흔히들 잘못 알려진 사실이 한약은 신장에 안좋다. 한약은 간에 안좋다 라는 대중적 인식이 특정 세력에 의해 많이 퍼지게 되었습니다.하지만 한약이 신장과 간을 안좋게한다는 말은 전혀 사실이 아닙니다. 1. 우선 콩팥에 대해 말씀을 드려보겠습니다.오히려 한약이 급성신부전의 치료와 만성신부전 환자의 관리에 효과가 있어 일본이나 중국, 대만등 한의학을 공유하고 있는 나라들에서는 한약을 콩팥질환에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https://www.akomnews.com/bbs/board.php?bo_table=news&wr_id=26396)한약이 콩팥 안전하며, 오히려 콩팥과 간에 생긴 질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데, 일본의 경우 의사가 한약을 쓸수 있어서 우리나라로 치면 양의사가 한약을 처방하여 콩팥기능부전을 치료한 사례를 발표한 논문도 많습니다.("Kampo medicine can improve quality of life and prolong hemodialysis implementation in patients with advanced-stage chronic kidney disease", kampo란 한방이라는 뜻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10.1002/tkm2.1291)2. 또한 한약은 간에 안좋을까요? 논문에 따르면 대한민국 기준, 일반 양약에 의한 간손상 비율은 56.1%, 한약에 의한 간독성 비율은 24.4%로 나타납니다.양방의사들이 한약에 의한 간손상을 주장하는 논문 근거들은 약으로 인한 간손상을 나타내는 기준 점수(RUCAM-score)를 임의로 기준을 낮추어 한약이 일으키는 간독성을 사실보다 많아보이게 퍼센트를 높인 것입니다. 일방적인 공격을 위해 만들어낸 것이죠.일본에 사례와 논문을 말씀드린 이유는, 일본의경우 우리나라와 다르게 한의사제도가 없어서 한방과 양방의 밥그릇싸움이 없고 양방의사가 한약을 연구하고 많이 사용할수 있습니다. 같은 의학을 배운 일본의사와 한국의사 중 일본의사는 한약이 좋다고 하고 한국의사는 왜 한약과 한의사를 그렇게 공격하는지 생각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3. 그럼 이렇게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맞습니다. 한약이 아무리 천연물이고 양약에 비해 안전하다지만 당연히 약이므로 간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이에 대해서는 Systematic review on herb-induced liver injury in Korea 논문으로 설명 가능합니다. 해당 논문에 따르면 '간손상을 유발한 한약물' 중 '환자가 한의사의 처방 없이 스스로 복용한 단일 한약재'가 89.3% 로 나타났습니다.다시말하면 한의사가 처방하는 한약은 대부분 여러가지 약재로 이루어진 맞춤형 복합 처방이기에 더욱 안전한 것입니다.첨언하자면, 이미 간염과 간경화->간암처럼 간세포가 파괴되며 간수치가 상승하고, 간의 섬유화가 일어나서 간이 딱딱해지는 간장질환에도 치료약으로도 이미 한약이 이용되어 효과를 내고 있습니다. 생간건비탕을 베이스로 만들어진 "청간플러스"라는 한약은 이미 대전대한방병원 암센터에서 자가면역성 간질환, 지방간염, 간경화, 간암을 대상으로 치료약으로 투여되고 있고 간기능 개선과 간섬유화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이미 논문으로 증명되고 있습니다.양약도 한약도 약이므로 당연히 일정 기준치 이상을 복용한다면 건강에 해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다만 한의사의 진단아래, 환자분의 상태를 파악하여 처방되는 한약은 환자분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처방되기 때문에 증상과 질환의 개선을 위해 한약 복용을 고민하고 계시다면 걱정마시고 가까운 한의원 혹은 혈액검사가 가능한 한방병원에서 진료받으시고 한의사에게 직접 안전한 한약을 처방받으시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한약
한약 이미지
Q.  감기에 자주 걸리는 아이, 홍삼을 먹여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한방 신경과 전공의 신동국 한의사입니다.어린이가 홍삼을 복용하여도 괜찮을지에 대해 문의를 주셨습니다.어린이들도 안전하게 복용할수 있는 홍삼 건강기능 식품이 많이 나와있고, 아이가 홍삼 증상에 맞다면 복용하여도 좋습니다.한의사가 약으로 사용하는 홍삼은 소화기가 많이 허약해서 입맛도 없고 밥을 잘 먹지 않으며, 식후에도 소화가 안되며 기운이 없고 손,발, 배가 차며 추위를 많이 타고 자주 어지럽고(기립성저혈압 포함), 심장기능이 떨어질때 주로 사용하는 약재입니다.질문자분의 자녀분이 위에서 언급한 증상들이 3가지 이상 있다면 복용하여도 괜찮을 것입니다.다만 홍삼 드시고 복부 그득함, 팽만감, 불편감, 잦은 트림, 두통, 어지럼의 불편한 증상을 호소하시게 될 경우 흔한 부작용이니 바로 중단하시길 권해드립니다.또한 아이의 성장문제로 홍삼을 먹이고 싶으신경우 혹은 홍삼 복용후에도 원하는 효과가 미진할 경우에는 가까운 한의원 및 한방병원에서 혈액검사 및 상담 후 아이에게 꼭 맞는 한약처방을 받으시는 것이 건강 관리에 더욱 도움이 되실것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건강하세요~ 감사합니다.
한의학
한의학 이미지
Q.  손바닥 가운데 통증 해결 침 맞아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한방 신경과 전고으이 신동국 한의사입니다.손바닥 가운데의 통증으로 고생하고 계시군요.손바닥의 통증은 양상에따라 여러원인으로 나누어 질수 있습니다. 움직이지 않는데 뻐근한 통증이라면 손바닥을 구성하는 근육의 허혈성 통증일수 있고, 움직일때마다 손바닥 가운데가 아프다면 손바닥 내부의 근육의 과도한 긴장에 의한 것일수 있고, 아니면 손바닥의 통증이 감각신경성 통증으로 찌릿하고 화닥거리고 쑤시는듯한 통증일수도 습니다.또한 손바닥의 통증은 그 부위에 따라 또 여러원인으로 나누어집니다. 손바닥의 가운데인지, 엄지두덩쪽에 가까운지, 새끼두덩쪽에 가까운지... 정말 다 그 원인이 다릅니다.위에서 말씀드린 원인분류에 따라 손바닥 가운데를 맞으실수도, 손바닥을 지배하는 감각신경이 포착된 곳에 맞으실수도, 손바닥 근육을 지배하는 운동신경이 포착된 곳에 침을 맞으실 수도 있습니다.따라서 통증이 너무 고생스러우시다면, 가까운 한의원이나 한방병원에 내원하시어 한의사의 전문적인 진료와 상담을 받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한약
한약 이미지
Q.  한의학은 과학에 바탕된 의학인가요?
안녕하세요. 한방 신경과 전공의 신동국 한의사입니다.한의학은 과학인가요? 라는 물음을 주셨습니다. 굉장히 어렵게 보면 어려운 질문이고, 쉽다면 아주 쉽습니다.먼저 과학이 무엇일까요? 아마 어떤 대상에 대한 현상을 관찰하고 귀납적 혹은 연역적 연구 방법을 통해 객관적 사실을 도출해내는 학문 분야라고 해야할까요?? 저도 중고교 시절 과학을 배웠고, 한의대 6년을 공부하면서 생물학 생화학 미생물학 해부학 조직학, 그리고 임상 각과까지 과학의 영역이라고 '흔히 여겨지는' 공부를 해왔습니다. 지금도 한의사로서 인체를 공부할 때 최신 지견과 논문결과들을 공부하고 있으니, 현재도 과학적으로 공부하고 있는것이겠지요..?.. 음.. 근데 과연 제가 원론적인 지식은 짧다 보니까 '과학에 대한 개념'을 '정의'할 수는 없을것 같습니다.해당 질문에 답변드리고 싶은 말씀은, 한의학은 인체를 객관적으로 설명하는 의학으로 그 치료 방법은 재연성이 굉장히 높다는 점입니다. 의학의 영역에서는 주장이 있으면 반드시 증명되어야 합니다. 그런 점에서 한의학은 역사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증명되어왔고, 현대의 근거중심의학(EBM)이라는 기준에서 수많은 논문이 한국뿐 아니라 일본의사, 미국의사, 영국의사 등 해외 여러 의사들에 의해 쓰여지고 있으며, 임상현장에서 많은 환자들에게 그 효과가 지속해서 재연되고 있습니다.즉 현대의 한의학은 조선시대 처럼 기가 어떻고 혈이 어떻고, 음양오행이 어떻고.. 이런식으로 철학적으로 설명되는 분야가 아닙니다.말씀주신바와 같이 한의학연구원이나, 각 대학의 한방병원들은 한의학의 인체관~임상현실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증명되고 있습니다. 옛날 한의학적 언어들이 현대의 용어와 정확히 같지 않지만, 그 한의학 의서에서 지칭하는 많은 의학용어들은 현대생리학을 기초로 바라보았을때, 어떤 개념인지 알수 있습니다. 경락은 인체의 혈관이고, 소음은 심장~콩팥의 순환 배출 시스템, 태양은 교감신경계의 지배를 통해 체온을 조절하는 시스템. 뭐 이런것이죠. 한의학적 용어는 인체내에 실체가 있는 장기나 시스템을 설명하는 그시대의 언어입니다. 한의사는 6년간 한의대에서 해부 조직 생리 병리 분자생물학 등등의 여러 학문을 배우면서 한의학 의서도 함께 배우기에 이런 한의학 용어가 현대의학에서 어떤 부분과 시스템을 가리키는지 알수 있게 되는것입니다.너무 어려운 질문에 대해 최대한 설명드리고자 노력하였으나 과연 이게 충분한 설명인지, 질문자분꼐 도움이 되셨을지 모르겠습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하빈다.
한의학
한의학 이미지
Q.  침치료를 받으면 일시적인 효과인걸까요?
안녕하세요. 한방 신경과 전공의 신동국 한의사입니다.육아로 정말 고생이 많으시겠습니다. 질문자분의 질문이 그저 글로만 느껴지질 않습니다. 왜냐면 저도 올해 딸이 태어났는데, 와이프가 갓난쟁이를 돌보느라 아주 정신없이 하루를 보내다 보니 여기저기가 아프고 힘들어 하는 모습을 봅니다. 저는 그때그때 상황에 맞게 침치료와 부항치료를 해주고 있고, 산후보약을 처방해서 와이프 건강을 계속 챙기고 있고 그나마 제가 신경을 쓰니까 와이프도 한결 낫다고 하고 있습니다.질문으로 돌아오면, 1.한의원에서 침치료가 효과가 있을지 문의 주셨습니다.-->당연히 효과가 있고 환자분의 통증과 불편감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 침치료의 효과 기전은 첫번째로 아픈부위에 자극을 주면서 혈액 순환이 해당 부위에 늘어나게 되고 주변에 근육과 인대, 힘줄의 단축된 양상을 풀어주는 기계적 효과가 있습니다.둘째로 뇌에서 통증을 느끼는 역치에도 영향을 주어서 뇌가 통증을 느끼는데에 좀 더 둔감하게 반응하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뇌에 미치는 영향은 하버드의대와 한국한의학연구원이 공동으로 연구한 손목터널증후군의 침치료 효과의 기전을 분석한 논문에 증명되어 있습니다.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61017)셋째로 침치료의 진통효과 외에도, 내장기관의 자율신경적 생리현상을 조절하는 척수와 뇌에 자극을 주어 우리 몸이 회복하는 능력을 도와주는 것으로 효과가 밝혀졌습니다. Mechanisms of Acupuncture Therapy in Ischemic Stroke Rehabilitation: A Literature Review of Basic Studies 논문에 따르면 침치료는 중추신경계의 신경발생과 세포증식을 촉진하며, 혈관생성인자를 자극하고, 뇌혈관을 확장시켜 뇌혈류 공급을 늘립니다. 또한 신경화학물질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고 밝혀졌습니다.2. 침맞은 그 순간만 일시적인 걸까요?- 우리몸의 근골격계 통증은 대부분이 '많이 사용해서 ' 발생합니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내 몸이 버틸 수 있는 범위 이상으로 많이 사용해서' 아파집니다. 침치료를 받으면 그당시 통증은 줄어들고, 육아와 여러 집안일을 병행하는데 침맞은 날은 도움이 될 수도 있으나 그다음날, 그 다다음날에는 효과가 유지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침맞고 난 후 가만히 쉬는게 아니고 일을 계속 하실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의미가 아예 없는것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침치료를 받으면서 육아와 집안일을 하시다보면 통증이 더 악화되는 걸 막을 수 있고, 상태에 따라 꾸준히 치료 하신다면, 육아와 집안일을 하면서 몸을 쓰지만 그래도 점진적으로 통증이 점차점차 줄어들게 될 수 있습니다. 정형회과 치료만으로는 불만족스러우시다면 가까운 한의원 및 한방병원에 내원하셔서 진료 및 상담 받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육아로 정말 많이 지치실텐데... 그래도 아이가 커가면서 엄마바보가 되어가고, 엄마와 아이의 유대감이 쌓여가고, 한순간 한순간 또 너무나도 행복한 추억이 쌓여가는 일상속에서 건강관리 잘 하셔서 행복한 가정생활 이어나가시길 간절히 기원합니다. 답변에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하빈다.
한의학
한의학 이미지
Q.  허리통증은 침을 맞으면 효과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한방신경과 전공의 신동국 한의사입니다.반복적인 허리통증과 하지부 저림과 같은 디스크 증상으로 고생이 많으시겠습니다.허리, 목부위가 삐끗하여 발생하는 단순 염좌부터, 만성 요통 경추통, 허리, 목 디스크 협착증까지 한의원, 한방병원에서 진행하는 침치료, 한방물리치료는 그 효과가 매우 뛰어난 편이며 다른 처치 및 치료에 비해 훨씬 안전합니다.질문자분의 증상 강도나 척추 상태에 따라 침치료, 약침치료를 비롯한 한방 물리요법과 한약등의 약물요법이 적용될 수 있고, 한약치료의 경우 양방 진통소염제와 다르게 위장관을 보호하면서 주변 허리척추 조직을 강화 시켜주는 가벼운 약부터, 강한 한방진통소염제까지 다양한 범주가 있기 때문에 이는 한의사와 직접 상담하시길 권해드립니다.아마 위장 기능이 안좋으시고 자주 통증이 있으나 걷지 못 할 정도의 상황이 아니라면 한방물리요법만으로도 도움이 되실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침치료의 효과 기전은 첫번째로 아픈부위에 자극을 주면서 혈액순환이 해당부위에 늘어나게 되고 주변에 근육과 인대, 힘줄의 단축된 양상을 풀어주는 기계적 효과에 더하여 뇌에서 통증을 느끼는 역치에도 영향을 주어서 뇌가 통증을 느끼는 데에 좀 더 둔감하게 반응하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뇌에 미치는 영향은 하버드의대와 한국한의학연구원이 공동으로 연구한 손목터널증후군의 침치료 효과의 기전을 분석한 논문에 증명되어 있습니다.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61017)다만, 침 치료는 아무래도 바늘이 살을 뚫고 해당 타겟 부위(근육, 인대, 힘줄)를 자극하는 치료이므로 시술 당시에, 어느 정도의 통증이 있을 수 밖에 없으며, 침 자극이 익숙하지 않으실 경우에 침 치료 시 긴장하게 되어 침 맞고 난 후에 뻐근한 감이 하루~이틀 정도 지속되기도 합니다. 침을 맞고 더 안 좋아지거나 하는 것을 아니니 걱정 않으셔도 됩니다.통증이 심하시다면 가까운 한의원 및 한방병원에 내원하시어 정확한 검사 이후 침 치료를 받아보시고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빨리 쾌차하셔서 건강하고 행복한 나날들 보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한약
한약 이미지
Q.  소화력이 약한데 숙지황을 복용 해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한방 신경과 전공의 신동국 한의사입니다.1. 숙지황은 소화력이 약하신 경우 드시지 않으시길 권합니다. 식후 소화불량이 심하게 올 수 있습니다.2. 9증9포한 숙지황도 소화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소화가 잘 되지 않는 경우에는 숙지황 뿐만이 아니고 건지황, 생지황도 한의사의 처방이 아니면 복용을 자제하시길 바랍니다.숙지황을 포함한 지황류의 한약재는 대체로 피부가 건조하거나, 변비경향이 있거나 하지에 힘이 빠지거나 입이 자주 마르거나 머리가 빠지는 등의 증상이 있을 때 아주 효과적인 약재이나 위장관이 약한 환자분의 경우 다른약으로 대체하여 사용합니다.현재 호소하시는 증상이나 질환에 대한 한의학의 도움이 필요하신 경우라면, 가까운 한의원 및 한방병원에 내원하시어 한의사의 전문적인 진단과 상담을 받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한약
한약 이미지
Q.  한약은 하루에 2번 언제 먹는게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한방 신경과 전공의 신동국 한의사입니다.한약을 지으셨는데 먹는 시기가 궁금하셨군요, 정확히는 공복에 먹어도 되는지가 궁금하신것 같습니다.이는 한약을 처방한 한의사 선생님께 한번 문의해 보신 후 지도를 따르시길 권해드립니다.한약도 양약과 마찬가지로, 환자분이 고통받고 있는 증상이나 질환에 따라 약의 종류가 다 다르며, 약마다 식전에 먹는 것인지, 식후에 먹는 것인지, 아니면 자기전에 먹으면 되는것인지 다 다릅니다.예를들어 공진단이나 경옥고같은 보약류라면, 될수 있으면 식전에 먹도록 지도합니다. 특히 아침 공복에 먹어야 약의 효과를 더 크게 낼수 있습니다. 한약마다 다르지만, 보통의 경우라면, 흔히 보약이라고 일컬어지는 피로개선 한약은 식전에 드셔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하지만 질환을 치료하는 치료제 약들은 대개 위에 부담을 줄수 있을 가능성이 있어 식후에 먹는 것이 좋습니다.말씀드린 사항은 일반적인 한약의 대분류에 근거하여 대강을 설명드렸을 뿐, 정확하게 환자분께서 어떤 증상으로 어떤 한약을 처방 받으셨는 지에 따라 공복에 먹어도 괜찮은지, 아니면 식후에 먹는 것이 환자분 몸에 무리가 없을 것인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꼭 처방해주신 한의사 선생님께 한번 더 문의 하시길 권해드립니다. 만약 다음 한의원 방문까지 시일이 좀 걸리실 경우, 점심 식후에 한번, 저녁 식후에 한번 이렇게 복용하시다가 한의사 원장님을 뵙고 티칭받으신대로 복용하시는것도 무리는 없을 것입니다.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한약
한약 이미지
Q.  산후보약이 정말 도움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한방 신경과 전공의 신동국 한의사입니다.산후 보약에 대해 문의를 주셨습니다. 산후 보약은 단순하게 몸을 보해주는 약 그 자체를 넘어서 크게보면 4가지정도의 범주를 가집니다.출산 후 현재는 괜찮으나 흔히 일컬어지는 산후풍을 예방임신 출산의 과정에서 많이 피로해진 몸의 전반적인 기운을 북돋아주거나,(일반적인 인식인 산후 보약)산후 발생한 여러 통증 및 부종(손목 통증, 손저림, 손발 극심한 냉감, 두통, 목, 허리통증, 골반통 등등)혹은 여러 산욕기 부인과적 질환(예를들어 출산후 오로배출의 문제)의 치료.산후 보약이라고 일컬어지는 한약은 산모가 호소하는 증상을 개선하는데 그 치료 목적을 두며, 이 부분은 양방산부인과에 비해 한의학이 치료 효과로도 우위를 가지는 부분입니다. 특히 산후 신생아 ~ 영아기 아이를 돌보는 엄마의 역할은 굉장한 체력 소모와 수면의 부족을 가져온다는 점에서 여러 산후 나타나는 증상을 개선하고 예방하는데 한약이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산후에 산모에게 좋은 약재는 환자분의 상태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들어, 붓기가 잘 빠지지 않는 경우에는 익모초가, 산후 자궁이 제자리를 제대로 잡지 못하고, 오로배출도 잘 되지 않는다면 녹용이 도움이 됩니다. 식사량이 줄면 사인, 황기 등등입니다. 즉 산후 보약을 처방 받으실 때는, '산후에는 이게 좋다'라는 공식처럼 있는 것이 아니고, '산후에 산모가 어떤 상태인데, 그때는 어떤 한약재가 산모를 일상생활로 무리 없이 빠르게 회복 시켜 줄 수 있느냐'가 중요한 것입니다. 따라서 질분자분의 상태에 맞게 처방되기 위해서는 한의사의 진료를 거쳐서 산후 보약을 처방받으시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일 것입니다.또한 많은 산모가 출산후 모유수유를 하시는데, 양약도 그러하듯, 한약도 그 종류에 따라 모유수유기에 먹으면 안되는 한약이 있고 먹어도 괜찮은 한약이 있으며 한의사가 환자분 몸상태를 진단하고 필요한 목적에 따라 처방하게 됩니다.다시 말씀드리면 산후에 쓰는 한약은 환자분의 상태에 맞게 처방을 하기 때문에 한의원이나 한방병원 혹은 한방부인과 전문의 원장님이 운영하시는 한의원에 내원하시면 질문자님의 상태에 맞게, 모유수유상황까지 감안해서 산후보약을 처방해 주실 것입니다.저도 제 아내가 아이를 올해 초에 출산했는데, 임신전, 출산전, 출산후 모유수유기에도 각각 시기에 맞는 한약을 계속 처방해서 와이프 몸상태를 관리하고 있습니다.만약 산후 건강관리를 위해 한약의 도움을 희망하신다면, 걱정하지 마시고 한의원, 한방병원에 내원하시어 상담 받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