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흉하거나 특이한 신체부위는 유전되기 쉽나요?
우리가 성형수술을 많이하는 한국인으로서, 흉한 유전자가 강하고, 유전되기 쉽다고 느껴집니다. 한국 여성, 아이돌, 연예인들은 성형수술을 많이 합니다. 흉한 신체부위의 종류는 곱슬머리, 큰 코, 두껍고 도톰한 입술입니다. 반대로 예뻐보이는 신체부위는 직모, 작은 코, 얇은 입술입니다. 사람의 유전자 강약 차이는 서양인 얼굴, 까만 피부, 곱슬머리, 큰 코, 도톰한 입술, 흑발, 어두운 갈색 머리, 흑안, 갈안은 유전자가 강하고, 반대로 동양인 얼굴, 연한 피부, 직모, 작은 코, 얇은 입술, 금발, 밝은 갈색머리, 벽안, 녹안, 회안 유전자는 약하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전적 특징이 강하게 전달되는 이유는 그 특성의 유전자가 우성이기 때문입니다. 우성 유전자는 재조합 과정에서 더 강하게 표현될 수 있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컨데, 곱슬머리나 큰 코와 같은 특성은 해당 특성을 결정하는 유전자가 우성일 경우, 자손에게 더 강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런 특성들이 흔히 사회적 또는 문화적 관점에서 부정적으로 보이는 경우가 있지만, 유전학적으로는 단순히 우성과 열성의 차이일 뿐입니다. 특이한 신체 부위가 더 잘 유전된다고 말하기보다는, 그 특성을 결정하는 유전자가 우성인 경우에 해당되고 더 자주 나타날 수 있다고 보는게 맞습니다.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특이한 형질이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해당 형질이 부모로부터 자식에게 전달될 수 있습니다. 어떤 형질은 특정 유전자의 조합에 의해 나타나며, 이는 부모로부터 자식에게 유전될 수 있습니다.
또한, 특이한 형질이 유전적으로 전달되는 이유 중 하나로는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있습니다. 돌연변이는 유전자 내부의 변화로써 새로운 형질이 나타나게 될 수 있습니다. 때로는 이러한 돌연변이가 특이한 형태의 외모를 유전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흉하고 특이한 신체부위라고 유전되기 쉬운 것이 아닙니다. 곱슬머리, 큰 코 등등 흉한 신체부위라고 생각하는 것은 개인적인 가치관에 따른 생각으로 보입니다. 머리카락의 경우 직모를 유발하는 유전자와 곱슬머리를 유발하는 유전자가 있으며, 곱슬머리 유전자가 직모 유전자에 대해 우성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곱슬머리 표현형을 가지게 되는 것입니다. 이때 유전자 측면에서 우성이라는 것은 우등하다는 것이 아니라 다른 유전자와 함께 있을 때 먼저 표현되는 유전자를 말합니다. 또한 피부색과 눈동자 색 등은 멜라닌 색소의 양에 의해 달라지며, 서양인의 경우 푸른 눈이 많은 이유는 멜라닌을 형성하는 유전자 'OCA-2(Oculoctaneous albinism Ⅱ)' 변이로 진한 갈색의 눈동자가 푸른 눈동자로 바뀌게 된 점과 멜라닌 색소량이 동양인에 비해서 적기 때문입니다.
유전적 특성의 표현과 유전은 복잡한 과정이며, 특정 형질이 "흉하다" 또는 "예쁘다"고 일반화하기는 어렵습니다. 이는 개인의 주관적 인식과 문화적 기준에 따라 다릅니다. 유전자의 강약은 과학적으로 정확한 개념이 아니며, 유전자 발현은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복잡한 과정입니다. 일부 특성이 더 자주 나타나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해당 특성을 결정하는 유전자가 우성이거나 해당 지역의 유전자 풀에서 더 흔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성형 수술의 인기는 사회문화적 요인, 미의 기준, 경제적 요인 등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받습니다. 유전적 다양성은 인류의 적응과 생존에 중요하며, 모든 특성은 진화의 과정에서 나름의 이점을 가졌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우선 현대사회에 맞춰 흉하다고 생각되어지는 미의 기준 자체가 과거보다 엄격한 편에 속하고 SNS나 미디어에 노출된 극한의 아름다움을 가진 사람들을 본 이상 일반사람들은 그저 평범하거나 흉하다고까지 느끼기 마련입니다.
즉, 심리적인 영향으로 흉하다고 여겨질만한 요소들이 평가되고 유전된다고 생각하고있지만 과거에는 지극히 평범한 인간들이 가지고있는 기본적인 특질에 불과한 것입니다.
그 사람에게 매력을 느끼는 사람이 있을 수 있고 아닌 사람이 있어서 만났을 때 호감과 비호감을 느끼며 상호작용을 하는것이 과거 인간사회였지만 현재는 외적인 비호감자체를 삭제시키고자하는 수술적인 방법을 많이 사용합니다.
정리하면 유전율은 과거나 지금이나 거의 동일한수준이지만 부정적인 요소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는 사회심리학적인 이유가 더 크다고볼 수 있습니다.
오히려 과거보다 더 나은 식습관개선과 교정 및 환경개선등으로인해 유전적인 부분을 커버하는 비수술적 후천적인 환경을 조성해주는 방법들도 동원되고있으니 과거보다 더 나은환경이라고 보는 학자들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