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쌍 반발 이론이 분자의 입체 구조를 결정하는 방식의 중요성은??
안녕하십니까.
전자쌍 반발은 전자쌍 간 거리 최소화를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가 분자의 반응성과 물리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의견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전자쌍반발이론은 분자의 입체형태를 결정하는 주요 이론 입니다
해당 이론은 꺼질에 있는 전자쌍 들이 서로 최대한 멀리 떨어져 있도록 위치하며 그결과 분자가 가장 안정된 형태를 취한다는 이론 입니다. 루이스 구조식으로 알 수 없는 3차원의 분자구조를 예측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구조를 예측하여 분자의 극성을 파악하여 끓는점, 용해도 같은 화학적 물리적 성질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전자쌍 반발로 결정되는 입체배치는분자가 어떤 방향에서 접근하기 쉬운지 즉 반응 중심의 공간적 개방성을 바꾸어 반응 속도와 선택성을 크게 좌우합니다 또한 전자쌍 배치에 따른 극성 변화는 끓는점 용해도 점도 같은 물리적 성질을 결정하며 비공유 전자쌍이 많을수록 분자는 더 굽어지거나 비대칭 되어 극성이 커지고 상호작용도 강해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
전자 쌍 반발력의 원리는 전자 쌍간에 정전기적 반발력을 최소화하여 분자가 가장 안정적인 구조를 형성하려 하는 것입니다.
원자핵 주변에 존재하는 전자쌍들은 서로 음전하를 띠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한 서로 멀리 떨어지려고 합니다.
하여 이 반발력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구조가 결정됩니다. 공유전자쌍 수에 따라 입체구조가 달라지게 됩니다.
공유 전자쌍 수가 2개이면 선형 구조가 되고 전자 쌍수가 3개이면 삼각형 구조가 되고 전자 쌍수가 4개이면 사면체 구조가 됩니다. 이렇듯 전자쌍 수에 의하여 결정 구조가 달라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