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6g가 실제 상용화 되는 시기는 언제로 보는건가요?

통신망의 발달에 따라 실제 5g시대에서 6g시대의 도입이 가능해졌다고 하는데, 실제 상용화 되기까지의 그리고 통신망 구축도 가능한 상황인건가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6G는 국제 표준 일정에 따라 국가별로 2028년~2030년을 목표로 상용화될 것으로 보여진다고 합니다. 뭐 정확한 상용화 시점은 표준화 및 기술 개발 일정이 확정되어야 알겠지만 얼추 비슷한 시점이 아닐까 싶네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6G는 세계적으로 2030년 전후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이 진행 중이며 한국 미국 일본 등이 핵심 기술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아직은 표준이 완전히 확정되지 않았고 테라헤르츠 대역 사용과 위성 통합 통신망 구축 등 기술적 과제가 남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

    질문의 답변을 간략하게 정리해 보면, 6G는 지금 연구 표준화 단계이고 본격적인 상용화는 보통 2030년 전후로 예상합니다. 업계 로드맵은 2025~2027년 기술 검증, 2027~2029년 표준 확정 2029~2030년 초기 상용 시작으로 잡고 있어요. 이는 5G 때처럼 10년 주기로 세대가 바뀌는 흐름과도 맞습니다. 6G망 구축은 5G 기지국을 그대로 쓰는 게 아니라 주파수(테라헤르츠 대역등)와 장비가 바뀌므로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고, 처음에 일부 국가/도시에서 시험 서비스 형태로 깔리고 점차 확대될 가능성이 큽니다.

    정리해 보면 6G는 이론이 아니라 실제 준비 중이지만 전국 단위로 깔린 완전한 6G 시대는 2030년 이후 단계적으로 온다고 보는게 맞을듯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5g에서 6g도입까지는 아마도 5-10년 예상됩니다. 더 높은 주파수를 활요해서 더 좋은 데이터를 보내주는데요. 이럴경우 데이터가 장애물에 흡수나 반사 되면서 데이터의 왜곡이나 감쇠가 될수 있습니다. 그래서 더 많은 중계기가 필요하고 그로인해서 더 많은 중계기를 설치하고 또한 소형 중계기들이 추가로 설치 되어야합니다. 그리고 이런 주파수 감쇠등에 주파수를 채집하기 위한 다중안테나나 차폐등의 기술도 더욱 개발되어야되서 5-10년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전문가입니다.

    이러산 것은 5g의 상용화 실패로 인해 회의적인 시선이 많은 편입미다. 따라서 언제 어떻게 상용화가 될지 또는 상용화의 지역이 어디까지 될지는 알수 없습니다. 서울 및 수도권 정도만 활성화가 되지 않을까 합니다. 5년정도의 미래에는 이러한 것이 가능하지 않을까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정훈 전문가입니다.

    먼져, 기술 개발 현황으로 6G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연구 개발 중이며 기술적으로는 도입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상용화 시기와 더불어 국제 표준화는 2030년 경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실제 이동통신 세대 발전은 10년 정도의 시간이 걸리고 5G가 2019년 전후에 상용화 된 근거도 있기 때문이죠.

    ​ 또, 통신망 구축은 아직 전략 수립 및 기술 개발에 있으며, 5G망을 활용하고 위성 통신을 포함하는 등 준비되고 있는 단계입니다. 그 이유는 테라헤르츠(THz) 대역 등 100GHz 이상의 초 고주파 대역 사용이 필요한데, 아직 이 주파수 대역에 적합한 기술 개발 및 통신 장비 구축에 시간이 더 필요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