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개는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인가요?
무지개는 비가 온 다음에 생기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근데 비가 오는 와중에도 무지개가 생기는 걸 봤어서요. 무지개가 어떻게 생성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햇빛이 대기 중의 수증기에 의해 굴절, 반사, 분산되면서 나타나는 기상학적 현상입니다.
즉, 비가 온 뒤 또는 비가 약하게 오는 중이라도 공기 중 물방울이 프리즘의 역할을 하며 햇빛을 굴절시켜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보는 투명한 빛은 빨주노초파남보의 빛이 섞여있는 상태입니다.
각 색깔빛은 파장이 모두 다릅니다.
파장이 다르기 때문에 굴절각도도 다릅니다.
공기중에 있는 물방울들로 인해 빛이 굴절되고
각 색깔빛들은 굴절각이 다르기 때문에 합쳐져있던 빛들이
빨주노초파남보로 분산되어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태양빛이 비를 만나면서 만들어집니다. 태양빛은 모든 색상의 빛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빛은 비나 물방울과 같은 물체를 만나면 굴절(refraction)됩니다. 이 굴절은 빛의 파장이 물체를 통과할 때 속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며, 이 과정에서 빛이 스펙트럼으로 쪼개져서 붉은색부터 보라색까지 다양한 색상으로 나뉘어집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다양한 색상의 빛이 물방울 내부에서 반사되면서, 무지개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이때, 빛이 물방울 내부에서 반사되는 각도와 나가는 각도가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색상의 빛이 서로 다른 각도로 반사되어 무지개가 형성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