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rogermaan
rogermaan

한국 원불교의 역사가 그렇게 오래지는 않은 것으로 앎니다 누가 원불교를 창시 하였나요

고려시대 조선시대에는 원불교란 말을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 원불교는 그리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 같은데 원불교는 언제 누구에 의해서 창시된 종교인지 그 배경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시간여행자75
      시간여행자75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원불교는 1916년 4월 28일에 여러 종교 및 사상의 수행자였던 소태산 박중빈이 창시한 새로운 종교로 일원상의 진리와 함께 불법의 생활화, 대중화, 시대화를 추구한다고 합니다.

      이름이 원불교라 불교 내 하나의 종파로 오해할 수 있지만, 불교계에서도 다르게 보고 있는 별개의 종교라고 합니다.

      창시자가 불교, 동학, 도교, 유교, 기독교의 경전을 두루 공부하던 수행자였는데, 그 중 석가모니의 가르침에 가장 감명을 받아 불교의 법문과 논리가 사상적 기반이 된 것은 맞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불법연구회라는 이름으로 사람들을 모았고, 임시 교명으로 사용하다가 1943년 6월 1일 박중빈은 대종사의 이름으로 열반(사망)하였고, 2대 대종사로 정산 송규가 이어받았고, 일제에서 해방된 후 1948년에 원불교라는 정식 교명을 선포하였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원불교는 1916년 소태산, 박중빈이 창시한 한국의 신 불교입니다.

      20살이 되던 1910년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고 22살때 부터 도사를 만날 생각을 접고 근심에 가득찼는데 이후 혼자 수행을 계속하나 상황은 악화되고 몸도약해져 온 몸에 종기가 나고 밥도 제대로 못먹는 등 폐인처럼 지내다가 1916년 음력 3월 26일 새벽 조용히 묵상하던 중 큰 깨달음을 얻으며 그동안의 의심이 풀리고 정신이 맑아지며 기운을 차렸습니다.

      이후 불교 , 동학, 유교, 도교, 기독교의 경전들을 구해 열람했고 내가 깨달은 바는 옛 성인들이 먼저 깨달았구나 하며 그중 석가모니의 가르침이 제일이며 석가모니는 성인들 중의 성인이라 했습니다.

      내가 스승의 지도 없이 도를 얻었으나, 발심한 동기로부터 도 얻은 경로를 돌아 본다면 모든 일이 은연 중 과거 부처님의 행적과 말씀에 부합되는 바 많으므로 나의 연원을 부처님에게 정하노라 하고 불법을 주체로 삼아 완전 무결한 큰 회상을 이 세상에 건설한다고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후기에 해원상생과 후천개벽을 외치고 일원상의 진리를 주장한 대종사 박중빈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최제우의 동학과 강일순의 증산교와 함께 조선 후기의 신흥 민족 종교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원불교는 일제 강점기인 1916년 소태산 박중빈이 창시한 신흥 종교이며 2016년 개교 100주년을 맞았습니다 부처의 가르침을 종교의 근원으로 표방하나 창시자가 금강경을 독학해서 창시 했던 터라 최제우의 영향을 받은 도적인 영양 있어 종단의 성립과 조직 운영에서 기존의 불교와는 관련이 없는 신흥종교의며 완전한 불살생을 강조하는 불교와 달리기 연고없이 살생을 말라는 규칙이 있습니다 2016년 창교 100주년을 기념해 원불교 대사전 발간, 문화예술단체 육성, 출판 영상물 제작 보급, 원불교 앱 개발, 익산성지 장엄사업, 영산성지 장엄사업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원불교 창시한 소태산 박중빈 대종사(1891~1943)는 1891년 5월 5일

      전라남도 영광에서 부친 박성삼과 모친 유정천의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7세부터 자연현상과 인생에 대하여

      특별한 의심을 품고, 스스로 도(道)에

      발심하여 20여 년간 구도하여 1916년(원기 1년) 4월 28일, 큰 깨달음(大覺)을 이루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