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수려한백로159
수려한백로159

침팬지와 보노보노는 서로를 어떻게 인식할까요? 비슷하다고 여길까요?

사람이랑 가장 가까운 유인원이 침팬지와 보노보로 알고 있습니다. 이 둘은 체격 차이가 좀 나기는 하지만 외형은 꽤 비슷하더라구요. 물론 생태적인 부분에서 많이 다른 부분이 있지만 처음 보면 거의 구별하기 힘들 정도로 비슷해 보입니다. 자연 상태에서 이 두 종족은 만날 기회가 없을 것 같기는 한데, 동물원 같은 곳에서 인위적인 상황에 의해서 서로를 만났을 때 어떻게 서로를 인식할지 궁금하네요. 같은 종족은 아니라는 건 알겠지만 뭔가 비슷하다고 느끼고 소통도 가능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침팬지와 보노보는 인간과 98% 이상 유전자를 공유하고 있는 인간과 가장 가까운 유인원인데요, 보노보는 침팬지속에 속하는 생명체이며 과거에는 피그미침팬지라고도 불리며 아종으로 분류되기도 했습니다. 보노보는 침팬지에 비해서 성격이 더 온순하고 크기가 작다고 합니다. 유전적 사촌 관계인 침팬지와 보노보는 서로 손발 등을 사용하는 몸짓으로 다양한 의사표현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 침팬지와 보노보는 외형적으론 비슷한 유인원 입니다. 동물원과 같은 인위적인 상황에서 이 두 종이 처음 만났을 때 서로를 적으로 인식하진 않겠지만 동족으로도 인식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다만 유사한 종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이들의 행동에서는 상당한 차이를 보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침팬지는 비교적 공격적이고 지배적인 사회 구조를 가지고 있는 반면 보노보는 더 평화롭고 서로 동등한 관계를 선호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차이는 두 종 사이의 상호 작용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침팬지와 보노보는 서로를 어느 정도 비슷하다고 인식할 수 있지만 서로를 완전히 이해하거나 융합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제 답변이 수려한백로님에게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한번 부탁드리겠습니다.

  • 침팬지와 보노보는 외형상 매우 유사하지만, 서로를 완전히 동일한 종으로 인식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이들은 시각, 청각, 후각 등 감각기관을 통해 미세한 차이를 인지할 수 있습니다. 특히 냄새를 통해 타종을 구별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또한 소리, 행동방식, 표정 등에서 나타나는 작은 차이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유사성이 크기 때문에 서로를 완전히 다른 종으로 여기기보다는, 이웃하는 다른 집단 정도로 인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부 제한적인 소통과 상호작용도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개체 간 위계질서 확립 과정에서 갈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번식기에는 동종 간에만 교미하려 할 것입니다. 서로의 존재를 인정하되, 동일 종으로 섞여 살아가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